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60

생명: 과학과 윤리 사이 /박은정

2 생명윤리 조회 수 338 추천 수 0 2016.01.13 17:33:27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생명윤리 
관련링크 : http://www.dbpia.co.kr/Article/NODE06578043 


[DBpia : 연구원 내 무료 열람 가능]


생명윤리 제16권 제2호, 2015.12, 1-16 (16 pages)

생명: 과학과 윤리 사이

Between Bioscience and Bioethics
박은정


  • 발행기관 : 한국생명윤리학회
  • 자료유형 : 전자저널 논문
  • 등재정보 : KCI등재
  • 작성언어 : 한국어
  • 파일형식 : TextPDF
  • KORMARC
  • URL : http://www.dbpia.co.kr/Article/NODE06578043
  • 초록
  • 이 글에서 필자는 오늘날 생명 문제가 과학지식담론에 의해 그 외연이 정해질 수 있는 문제로 바뀌고 있음에 주목한다. 그리고 생명에 관한 과학지식 담론의 우위 속에서 인간의 체험적 삶에 대한 서사(敍事)에서 목적론적 의미 추구가 줄어들고 인과적 설명방식이 늘어난다는 점을 지적한다. 생명과학지식의 생산 및 그 축적과 함께 생명 문제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증대하고 있다는 점, 생명현상과 생명 이슈를 바라보는 관점이 바뀌고 있다는 점에 대해 살펴본다. 이를 바탕으로, 생명현상에 개입하는 과학기술의 증대가 가져오는 불확실성 문제를 다루는데 있어서 과학적 판단과 윤리적 규범적 판단의 차이점을 분석해 본다. 마지막으로, 한 분과과학 진영에 속해있는 연구자로서 우리가 이 불확실성 문제에 어떻게 접근하고 생명 문제를 둘러싼 갈등해결을 위해 어떤 의미의 바람직한 협력을 할 수 있을지 묻는다.
    필자는 지난 2000년대 수년 동안 ELSI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을 통해, 과학기술 연구 분야에서의 ELSI 프로그램은 단순히 실험실에 대한 모니터링이나 평가, 공동연구 요청을 넘어서는 수준에서 기획되어야 한다는 생각을 갖게 되었다. 이런 문제의식 하에 필자는 대안적 ELSI 모델에 대한 기대를 가지고 생명과학기술영역에서 사전예방원칙의 중요성, 내러티브의 생명윤리적 역할, 과학에서 인문학 교육의 제도화 필요성, 자연과학과 정신과학 내지 사회과학의 새로운 파트너십 조건 등에 대해 몇 가지 제안을 하고자 한다.
  • 목차
  • 국문초록
    Ⅰ. 출발점
    Ⅱ. 생명 문제를 대하는 관점의 변화
    Ⅲ. 과학적 판단과 윤리적 판단
    Ⅳ. 판단이 지나칠 때
    Ⅴ. 불확실성을 다루는 방법
    Ⅵ. 과학과 윤리 ‘사이’ 그리고 ‘너머’
    Abstract
  • 키워드
  • 생명윤리, 사회과학, 생명과학지식, 규범적 판단, 과학적 판단, 지식의 불확실성, 내러티브, bioethics, social science, knowledge of bioscience, normative judgment, scientific judgment, uncertainty of knowledge, narrative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80 2 생명윤리 도덕교과서에 나타난 생명윤리교육 실태에 관한 연구 : 『생활과 윤리』를 중심으로 / 이필연 2013  346
    79 1 윤리학 의약품 품목허가제도의 자기결정권, 보건권 침해 여부 : 약사법 제31조 제8항 등 위헌확인을 중심으로 / 차승현 2013  344
    78 5 과학 기술 사회 과학기술 규제·진흥의 딜레마와 정책변동에 관한 연구 / 김인자 2016  339
    77 5 과학 기술 사회 생명윤리에서 위험과 불확실성 / 서정임 2014  338
    76 1 윤리학 이항녕 선생과 법과 도덕 : 생명윤리법을 중심으로 / 이인영 2013  338
    » 2 생명윤리 생명: 과학과 윤리 사이 /박은정 2015  338
    74 2 생명윤리 고등학교 생명윤리 교육의 연구 / 김현진 2004  337
    73 2 생명윤리 초등학생의 집단따돌림 경험 정도와 생명윤리의식과의 관계 / 문미영 2015  336
    72 17 신경과학 뇌 과학의 관점에서 본 배아의 생명권 / 유경동 2014  335
    71 18 인체실험 무작위 임상시험에서 "등가상태"의 개념과 그 의의 / 홍세훈 2013  332
    70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심사위원회와 기관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개선방향에 관한 고찰 / 백수진, 권복규 2007  331
    69 2 생명윤리 한국의 생명윤리학 현황과 나아가야 할 방향 / 최경석 2014  330
    68 1 윤리학 몸의 성서신학적 이해/백운철 2016  323
    67 2 생명윤리 생명존중 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청소년의 생명존중의식과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효과성 연구/안선민, 박경일 2016  323
    66 1 윤리학 생명윤리 문제들에 대한 기독교 윤리학적 소고 : 본회퍼의 『윤리학(Ethik)』을 중심으로 / 전은강 2016  322
    65 2 생명윤리 생명과학과 생명윤리 및 법/주호노 2017  317
    64 2 생명윤리 생물II교과서의 생명윤리교육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연구 / 박혜정 2010  315
    63 2 생명윤리 의료법의 현대적 과제 : 인간대상연구에 있어 동의 관련 규범적 문제;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상의 동의 관련 규정을 중심으로 / 김은애 2014  312
    62 14 재생산 기술 배아연구 잉여 냉동배아를 이용하는 데는 윤리적인 문제가 따르지 않는가 / 임종식 2001  309
    61 15 유전학 유전자검사기술 확대에 따른 국내 유전자 프라이버시 침해의 제 문제/이보형 2017  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