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37
발행년 : 2011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생명윤리 Vol.12 No.1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82664431 

규범 중심의 생명윤리 논의에 대한 비판  :  행위의 통합성을 중심으로 = Critical Approach to Rule Centered Bioethics : focused on the integrity of the activity


  • 제어번호 : 82664431
  • 저자명 : 김수정(Kim Soo-Jung)
  • 학술지명 : 생명윤리
  • 권호사항 : Vol.12 No.1 [2011]
  • 발행처 : 한국생명윤리학회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19-32(14쪽)
  • 언어 : Korean
  • 발행년도 : 2011년
  • KDC : 570
  • 등재정보 : KCI등재후보
  • 주제어 : 목적 ,의도 ,도덕적 품성 ,덕 윤리 ,통합성 혹은 진정성 ,telos ,end ,intention ,purpose ,moral characters ,virtues ethics ,integrity or authenticity



초록 (Abstract)

생명윤리 논의들은 인간존중, 악행금지, 선행, 정의 라는 네 가지의 주요한 원칙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각각의 생명의료 쟁점들에 대한 개별 원칙들의 적용은 해당 쟁점의 성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장기기증은 분배적 정의에 초점을 두는 반면 인간대상연구들은 인간존중, 악행금지, 정의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그러나 원칙에 중심을 둔 접근은 인간 행동의 복잡한 구조를 간과하고 개별 사건들에만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다. 생명의료기술은 통합적으로 간주되어 온 인간의 활동에 개입하여 인간의 존재 방식을 파편화시키는 위험이 있다. 생명윤리는 각각의 생명의료기술이 인간활동에 개입하는 다양한 방식을 검토하고 그것의 의미와 사회적 함축을 고찰해 보아야 한다. 생명의료 쟁점의 심각함은 그 영향이 개인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사회와 인간 역사에까지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다. 생명의료기술의 인간 생명에 대한 다양한 개입은 다양한 윤리적 쟁점을 만들어 내며 인간 활동, 인간의 본성, 인간 생명의 본래적 가치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위협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논문은 원칙 중심의 생명윤리 논의를 비판하고 가치 중심의 접근을 제안할 것이다. 첫째, 인간 행동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이해를 제시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유덕한 행위자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이해와 도덕적 인간에 대한 칸트의 이해, 그리고 인간의 목적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이해와 인간의도에 대한 밀의 이해를 비교할 것이다. 둘째, 인간행위의 복합성, 인간 감정의 중요성, 그리고 인간의 목적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인간성장호르몬과 스포츠에서 스테로이드를 통한 강화와 같이 생명의료기술의 개입을 고찰해 볼 것이다. 마지막으로는 생명의료기술로 인한 인간 활동의 분절화와 소외에 반해서 스포츠의 진정성과 의료라는 직업의 본질적 가치를 옹호할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Ⅱ. 덕 윤리에 대한 소개

    Ⅲ. 생명의료기술의 구체적 적용에 대한 비판적 고찰

    Ⅳ. 결론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 2 생명윤리 규범 중심의 생명윤리 논의에 대한 비판 : 행위의 통합성을 중심으로 / 김수정 2011  274
    196 19 장기 조직 이식 병원간호사의 간호윤리 가치관 및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에 관한 연구 / 김예진, 이명남 2011  689
    195 8 환자 의사 관계 생명윤리에서 생명권과 자기결정권 / 이석배 2007  3698
    194 1 윤리학 생명윤리에 대한 형법적 보호의 범위와 한계 / 이석배 2008  1472
    193 12 낙태 낙태 논의에 있어서 태아의 존재론적 위상과 도덕적 위상 / 유호종 2003  266
    192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윤리지침의 유용성, 한계, 구속성 / 유호종 2003  181
    191 1 윤리학 생명윤리법에서의 도덕성과 합법성 논의 : 생명윤리법에서 정언적 원리의 정초와 관련해서 / 이인영 2011  444
    190 1 윤리학 회고적 시각에서 본 생명윤리 관련 법규 변천 / 이인영 2013  254
    189 2 생명윤리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 구성 및 운영의 개선방안 / 이인영 2006  107
    188 1 윤리학 이항녕 선생과 법과 도덕 : 생명윤리법을 중심으로 / 이인영 2013  338
    187 1 윤리학 유네스코 '생명윤리와 인권보편선언'의 권고사항과 국내 실천을 위한 제언 / 이인영 2006  230
    186 14 재생산 기술 생식세포, 배아에 대한 쟁점사항 및 입법논의 / 이인영 2009  273
    185 1 윤리학 생명과학기술의 발달에 따른 형사입법의 회고와 전망 / 이인영, 김성천 2007  427
    184 15 유전학 유전자검사와 유전자치료에 관한 쟁점사항과 사회적 수용도 / 이인영 2005  429
    183 2 생명윤리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에 대한 운영평가와 향후 정책제언 / 이인영, 이정애, 이동익, 양윤선 2008  245
    182 9 보건의료 고령화시대 노인인권에 대한 기독교윤리적 고찰 / 이연순 2015  671
    181 2 생명윤리 기독교대안학교 운영체계안 제시 : 생명공동체윤리사상에 입각한 교육을 중심으로 / 류미아 2015  360
    180 9 보건의료 "핀핀코로리(ぴんぴんころり)의 비밀": 일본 나가노현 사쿠시에서의 생명정치와 노년의 자기윤리 / 김희경 2015  744
    179 15 유전학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전부개정(안)과 바이오뱅크를 이용한 연구에서의 피험자 보호방안 / 이정현 2010  283
    178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안에 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 / 고준기, 조현, 이강호 2014  3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