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8
발행년 : 2011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언론학보 Vol.55 No.6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491816 

장기기증 보도가 장기기증 등록 행위에 미치는 효과 = Effects of Organ Donation Reports on Behaviors of Organ Donors in Korea


  • 제어번호 : 100491816
  • 저자명 : 김병철(Byong Cheol Kim)
  • 학술지명 : 韓國 言論學報(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 권호사항 : Vol.55 No.6 [2011]
  • 발행처 : 한국언론학회
  • 발행처 URL : http://www.comm.or.kr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206-226(21쪽)
  • 언어 : Korean
  • 발행년도 : 2011년
  • KDC : 331
  • 등재정보 : KCI등재
  • 주제어 : 신문 ,TV ,장기기증 보도 ,장기기증 등록 행위 ,시계열 분석 ,그랜저 인과관계 검정 ,organ donation report ,organ donation behavior ,time series analysis ,Granger causality test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장기기증자에 비해 장기이식 대기자가 훨씬 많아 심각한 수급 불균형으로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는 상황에서 장기기증 보도가 장기기증 등록 행위에 미치는 언론의 사회적 영향력에 주목해 신문과 TV의 장기기증 보도가 장기기증 등록자 수를 증가시키는 실체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2000년 1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경향신문, 국민일보, 동아일보, 서울신문, 세계일보, 조선일보, 중앙일보, 문화일보, 한겨레신문, 한국일보 등 10대 중앙 종합일간지와 KBS, MBC, SBS 등 3대 방송사에 게재된 월별 장기기증 보도 건수, 결혼, 소득, 월별 시간 더미 변수 등을 독립변수로 하고 월별 장기기증 등록자 수를 종속변수로 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했다.
연구 결과, 신문의 장기기증 보도(β= 173.61, t = 4.19, p < 0.001)와 TV의 장기기증 보도(β= 140.78, t = 2.68, p < 0.05)가 늘어나면 장기기증 등록자 수 역시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그러나 결혼이나 소득 변수는 장기기증 등록자 수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검증됐다. 또 그랜저 인과관계 검정(Granger causality test)을 실시한 결과, 신문의 장기기증 보도 건수와 TV의 장기기증 보도 건수 모두 장기기증 등록자 수를 선도하는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그 반대 방향으로의 역 인과관계는 통계적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분석됐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2. 선행 연구 검토 및 이론적 논의

    3.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4. 자료의 수집 및 분석 방법

    5. 연구 결과

    6.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8 19 장기 조직 이식 간호대학생의 생존 시와 뇌사 시 장기기증 의도에 관한 구조모형/김은아외 2015  5052
    47 19 장기 조직 이식 잠재 뇌사자에서 성공적 장기 기증과 기증 동의와 관련된 인자/이은우 외 2017  4118
    46 19 장기 조직 이식 한국의 생체장기 기증제도에 대한 윤리적 고찰 / 김명희 2004  715
    45 19 장기 조직 이식 병원간호사의 간호윤리 가치관 및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에 관한 연구 / 김예진, 이명남 2011  689
    44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에 있어 Informed Consent에 관한 연구 : 우리나라와 영국의 동의 체계 및 동의 서식에 대한 비교를 중심으로 / 김은애 2012  636
    43 19 장기 조직 이식 사형수의 장기기증이 갖는 윤리적 쟁점에 관한 연구 / 안상희, 권복규 2012  605
    42 19 장기 조직 이식 청소년의 자기결정권 보장방안 연구 : 생체장기기증을 중심으로 /정수진 2015  598
    41 14 재생산 기술 ‘세 부모 아이’ 대 ‘세 사람 아이’/하대청,차승현,김근,이연호,백수진,김명희 2015  584
    40 19 장기 조직 이식 원저 : 뇌사 장기 기증자 가족의 장기 기증에 대한 긍정성 조사 / 이재헌, 이원정, 이재명 2014  572
    39 14 재생산 기술 연구 목적의 난자 기증에 대한 윤리적 고찰 : 한스 요나스(H. Jonas)의 책임윤리를 중심으로 / 이종민 2012  551
    38 20 죽음과 죽어감 대학생들의 연명치료중지에 대한 인식 및 태도가 장기기증의사에 미치는 영향 / 최령, 황병덕 2012  533
    37 14 재생산 기술 <네버렛미고>를 통해본 복제 인간 윤리 / 김미혜 2017  517
    36 19 장기 조직 이식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과 인체조직기증 및 이식에 대한 태도 / 최화영 2012  471
    35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 장기 기증자 가족의 의료 비용 부담과 국가 보조금 / 이재헌, 이원정, 이나경, 이재명 2015  445
    34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간이식 수혜자의 스트레스와 삶의 질과의 상관관계 연구 /윤혜진,김금순 2013  441
    33 19 장기 조직 이식 사후(死後) 장기기증 : 증여와 희생제의의 관점에서 / 박정호 2011  420
    32 19 장기 조직 이식 한국 장기이식제도의 쟁점과 대안 / 김현철, 김휘원 2013  417
    31 19 장기 조직 이식 종설 : 장기기증을 위한 뇌사자 관리 / 길은미, 박재범 2015  414
    30 14 재생산 기술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 : 여성의 재생산권리와 생명의료과학기술의 관계에 대한 소고 : 보조생식술의 이용을 중심으로 / 김은애 2009  401
    29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 등 이식에 관한 법률」과 장기기증 문화에 대한 검토 / 정화성 2013  3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