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2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대한이식학회지 Vol.26 No.1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60026400 

원저 : 생체 신장 제공자의 수술 후 장기 추적 결과 = Original Articles : Long Term Outcomes for Living Renal Donors


  • 제어번호 : 60026400
  • 저자명 : 이호균 ( Ho Kyun Lee ) ,박종훈 ( Jong Hun Park ) ,정상영 ( Sang Young Chung ) ,최수진나 ( Soo Jin Na Choi )
  • 학술지명 : 大韓移植學會誌(The Journal of the Korean Transplantation Society)
  • 권호사항 : Vol.26 No.1 [2012]
  • 발행처 : 대한이식학회
  • 발행처 URL : http://www.ksot.org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10-14(5쪽)
  • 언어 : Korean
  • 발행년도 : 2012년
  • KDC : 514.2605
  • 주제어 : 신장 이식 ,생체기증자 ,안정성 ,Kidney transplantation ,Living donors ,Safety



초록 (Abstract)

Background: Kidney donation is a relatively safe procedure with minimal adverse effects. But some reports have described the development of proteinuria and hypertension in donors after nephrectomy. There have been a number of non-Korean studies which conclude that the procedure is relatively safe and a good quality of life is expected for living donors after kidney transplantation, but not enough of these studies have been published in Korea. We evaluated the physiologic and psychosocial impacts after kidney donation in this study. Methods: Between April 1988 and April 2010, we performed 201 living donor nephrectomies and obtained information for 88 (43.7%) of the donors. We measured their 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 (GFR), blood pressure, body mass index, hemoglobin and cholesterol level, and assessed the prevalence of hypertension and proteinuria in this group. These donors completed a questionnaire regarding their health status and psychosocial outcomes after donation. Results: The average time of the donor assessment after nephrectomy was 95.05±85.45 months (range, 6∼261). The left kidney was used in 76 patients (86%). There was a total complication rate of 8%, but no serious complications were observed. Proteinuria was found in 9 patients (10%) and hypertension in 11 patients (11%). GFR decreased from 103.65±25.02 mL/min to 76.12±19.90 mL/min ( P<0.001) and hemoglobin decreased from 13.91±1.62 g/dL to 13.01±1.72 g/dL ( P<0.001). Five patients (6%) developed a post-donation GFR between 40 and 60 mL/min, with 2 patients being observed to have a post-donation GFR below 20 mL/min. In the questionnaire responses, most donors did not report problems affecting routine life or any economic impact. Their donation satisfaction results were very high (92%). Conclusions: Living kidney donors were observed to result in reduced GFR after nephrectomy. Follow-up visits with living kidney donors is essential in order to monitor risk factors related to the deterioration of their residual kidney function.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808 9 보건의료 순환기 약물임상시험 대상자의 서면동의서 이해도와 참여결정후회도 / 윤은화 외 2014  96
807 9 보건의료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불면의 무작위임상시험 해외 연구 동향 / 백영화 외 2013  96
806 7 의료사회학 의료기술의 평가와 급여 결정 방향 / 박종연 2017  96
805 9 보건의료 우리나라 일차의료의 현황과 과제 / 임종한 2013  96
804 9 보건의료 보건의료분야의 인공지능과 소비자이슈 / 정영훈 2017  96
803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의향서의 개념 및 현황: 한국, 일본, 미국 및 네덜란드를 중심으로 / 정영미 2015  96
802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ㆍ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이재석 2016  96
801 15 유전학 정밀의료에서의 개인정보와 정책방향에 관한 연구 / 장세균 2017  96
800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에 대한 입법평론 / 홍완식 2017  96
799 13 인구 출산자녀수에 따른 기혼여성의 추가출산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이광호 2017  96
798 9 보건의료 트럼프 정부 출범에 따른 미국의 의약품 관련 정책 변화 예측 및 한국에의 시사점 / 손경복 2017  96
797 9 보건의료 의료법 등의 리베이트규제와 청탁금지법(김영란법) / 김기영 2016  96
796 9 보건의료 다중 데이터 처리 방법을 위한 의료 빅데이터 처리 시스템 설계 / 김용현 2017  96
795 19 장기 조직 이식 프랑스의 생명윤리법상 장기기증자의 추정동의에 관한 연구 / 이형석 2016  96
794 14 재생산 기술 생식 윤리학에 있어서의 여성주의 방법론 연구 / 이혜정 2007  96
793 18 인체실험 The Proposed Rule for U.S. Clinical Trial Registration and Results Submission/Deborah A. Zarin 2015  96
792 9 보건의료 공공병원과 민간병원 여성근로자의 성차별의식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김은혜 2019  95
791 9 보건의료 감염 예방을 위한 인공신장실 의료 환경에 대한 고찰 - 근거 기반의 디자인 중심으로 / 한수하 외 2018  95
790 9 보건의료 생활습관병 예방관리를 위한 가이드라인 개발 현황과 의사의 역할 / 박지은 외 2018  95
789 9 보건의료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의 자동조정절차 개시제도 도입경과 및 개선방안 / 김성은 2017  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