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2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노년학 Vol.32 No.1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094603 

노인의 연령에 따른 삶의 질 가치와 사전의사결정(Advance Directives)에 대한 인식 및 선호도 = The Value in Quality of Life and Recognition and Preferences for Advance Directives by the Elderly's Age


  • 제어번호 : 100094603
  • 저자명 : 김정선
  • 학술지명 : 韓國老年學
  • 권호사항 : Vol.32 No.1 [2012]
  • 발행처 : 韓國老年學會
  • 발행처 URL : http://www.tkgs.or.kr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1-23(23쪽)
  • 언어 : -
  • 발행년도 : 2012년
  • KDC : 338
  • 등재정보 : KCI등재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연령에 따른 삶의 질 가치와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인식 및 선호도의 차이를 파악함으로써 사전의사결정제도 도입과 관련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실천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근거를 제시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대상자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65세-84세 노인 총 398명을 임의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노인들의 기본적인 삶의 질 가치는 65-74세와 75-84세 두 집단 모두 단순히 오래 사는 것보다 삶의 질에 더 많은 가치를 두었으며 노후의 삶의 질 가치에서는 존중받는 치료, 존엄성 있는 치료에서 집단간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선호도에서 치료에 대한 최종 의사결정자는 두 집단 모두 본인으로 나타났고 사전의사결정제도 도입은 두 집단 모두 찬성하였으나 그 정도에서는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사전의사결정서 내용에 대해서는 두 집단 모두 질병말기상태에서 생명연장치료나 진통제 투여, 진단과 예후에 대한 모든 정보, 뇌사나 식물인간상태 시 치료, 원하는 사망 장소가 포함되기를 원하였으나 장기기증 희망여부나 시신기증 희망여부에 대해서는 원하지 않았다. 사전의사결정서 작성시기로는 두 집단 모두 평상 시 건강할 때 미리 작성해 두는 좋다고 하였고 사전의사결정서 철회가능성에 대해서는 두 집단 모두 철회가능하다고 하였으며 사전의사결정제도의 의료비용 절감 기여에 대해서도 두 집단 모두 그렇다고 하였으나 그 정도에서는 집단간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법적대리인제도에 대해서는 두 집단 모두 찬성하였고 소생가능성 없는 상황에서의 정보제공 또한 두 집단 모두에서 진단과 예후에 대한 설명을 듣기 원하였으나 그 정도에서는 집단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를 통해 볼 때 본 연구는 이미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였으나 사전의사결정제도와 관련된 국민적 합의가 아직 도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어느 생애주기보다 죽음과 관련된 취약성이 높은 노인들의 사전의사결정과 관련된 인식과 선호도에 대한 근거를 제시함으로써 효율적인 사전의사결정을 위한 교육콘텐츠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188 20 죽음과 죽어감 지역사회 노인에게 적용한 사전의료의향서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 강보람 2016  133
    3187 9 보건의료 혈액제제의 투여로 인한 HIV 감염에 있어 인과관계의 증명책임 / 최민수 2012  133
    3186 13 인구 저출산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 연구 : 전국 및 16개 시·도를 중심으로 / 서상록 2009  133
    3185 9 보건의료 헬스케어 데이터 시각화 연구 - 모바일 헬스케어 서비스를 중심으로 /노은지 외 2016  133
    3184 20 죽음과 죽어감 생애 말 연명의료에 대한 중환자실 간호사의 인식: 내용 분석 연구 / 고진강 2017  133
    3183 9 보건의료 고령화시대 영국 국가보건의료서비스(NHS)의 과제와 전망 / 닐런트 2017  133
    3182 1 윤리학 EU의 개인정보보호법제와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기본원칙 / 이형석 2018  133
    3181 20 죽음과 죽어감 사망 관련 비용(Cost of Dying)에 대한 경제적 분석 - 과잉 진료와 삶의 질을 중심으로 - 1) / 안영 외 2017  133
    3180 14 재생산 기술 재생산권에 대한 제한원칙으로서의 위해원칙의 한계/김정아 2015  134
    3179 1 윤리학 한,중,일 3국의 학교폭력에 대한 비교 / 이현승 2016  134
    3178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에 의한 임신의 주산기 예후 / 이준호 2015  134
    3177 13 인구 저출산,고령화 사회와 입법적 과제 : 저출산 문제의 헌법적 이해와 접근 방향 / 이장희 2015  134
    3176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대한 태도분석 2005  134
    3175 9 보건의료 지역사회 일차의료 중심 만성질환자 관리사업 세부 영역별 성과 평가방안 연구/ 윤영호 외 2014  134
    3174 5 과학 기술 사회 디엔에이(DNA)신원확인정보의 수집 및 관리에 관한 제문제 / 서주연 2015  134
    3173 5 과학 기술 사회 로봇과 인공지능 시대의 시민윤리와 도덕교육적 함의 -인공지능형 로봇의 활용을 중심으로- / 송선영 2017  134
    3172 2 생명윤리 응급구조학과 학생의 도덕적 민감성이 생명의료윤리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김순희 외 2017  134
    3171 13 인구 저출산 · 고령화 시대 의료 정책 및 법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김민지 외 2016  134
    3170 10 성/젠더 종교개혁의 ‘개혁적’ 성윤리 탐색 - 루터와 칼뱅의 남녀관계성과 결혼 및 성적 결합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 이창호 2017  134
    3169 8 환자 의사 관계 커뮤니티케어에서 의사의 역할이 왜 중요한가? / 이건세 2019  1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