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6
발행년 : 2013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기초간호자연과학회지 Vol.15 No.4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113345 

간이식 환자의 수술 후 영양상태가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the Immediate Postoperative Nutritional Status in Liver Transplant Recipients in SICU on Clinical Outcome


  • 제어번호 : 100113345
  • 저자명 : 하지수 ,최스미
  • 학술지명 : 기초간호자연과학회지
  • 권호사항 : Vol.15 No.4 [2013]
  • 발행처 : 기초간호자연과학회
  • 발행처 URL : http://www.bionursing.or.kr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193-201(9쪽)
  • 언어 : Korean
  • 발행년도 : 2013년
  • KDC : 512
  • 등재정보 : KCI등재
  • 주제어 : Liver transplantation ,Nutritional assessment ,Clinical outcome ,Calorie ,Adequacy ,간이식 수술 ,영양상태 평가 ,수술 후 건강상태 ,에너지 적정성



초록 (Abstract)

  • 간이식은 생존 기간이 1년 미만인 급, 만성 간부전 및 간절제가 불가능한 간암을 치료하는 혁신적인 방법으로(Lee, 2005), 국내에서 뇌사자 간이식과 생체 간이식을 포함하여 현재까지 9,961건(2013.7)이 행해지고 있다(KONOS). 또한 간이식 후 생존율이 향상되어 이식을 필요로 하는 환자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Lee, 2005). 영양결핍은 간이식 환자에게 흔하게 발생한다(Langer et al., 2012). 간이식 환자는 수술 전 음식섭취 부족, 섭취한 영양소의 흡수 불량 그리고 복수로 인한 조기포만감으로 인해 영양결핍이 일어날 위험이 크다(Sanchez & Aranda-Michel, 2006). 또한 영양결핍은 수술 전 사용하는 관장약 혹은 간성 혼수 치료제인 네오마이신 등 약물 사용 부작용(Sanchez & Aranda-Michel, 2007)으로 발생할 수 있다. 영양결핍은 중환자실 재원 기간, 인공 호흡기 적용 시간을 연장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감염 위험을 높여 수술 후 각종 합병증과 사망률의 위험을 높인다(Merli et al., 2009). 또한 영양결핍은 90% 이상의 환자에게서 입원기간을 연장시키고 의료비용을 35%까지 상승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Cha et al., 2009). 그러나 간이식 수술 후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들은 입원기간 동안 부적절한 영양공급을 받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Huynh, Chapman, & Nguyen, 2013). 이는 적절한 영양 요구량과 공급량에 대한 의료진의 인식 및 지식부족 등으로(Kim, Kil, Chu, Jang, Jung, & Seo, et al., 2007; Kim, Kwon, Lee, Kwak, & Kim, 2011) 영양공급이 환자의 요구량에 못 미치기 때문이다(MaClave et al., 2009). 부적절한 영양공급은 간이식 환자의 수술 후 오심, 구토, 위장관 출혈, 설사, 복부팽만 그리고 인공호흡기 치료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Sanchez & Aranda-Michel, 2006). 또한 환자의 중증도, 수술 그리고 대사량 증가가 영양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고(MaClave et al., 2009) 환자의 치료가 영양 보충보다 우선되어 영양상태 유지에 대해 간과할 수 있다(Kim, 2008).


  •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 론
  •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 의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6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후견주의와 환자의 자기결정권 - 의사의 설명의무를 중심으로 - / 이석배 2007  3836
    35 15 유전학 GMO의 윤리적 문제 / 이종원 2014  2587
    34 15 유전학 유전자 조작 생물(GMO)에 대한 초,중,고 학생들의 인식 조사 / 이혜정, 이진경, 민윤숙, 최진영, 심규철 2010  2345
    »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환자의 수술 후 영양상태가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 하지수, 최스미 2013  1249
    32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에서의 RNA간섭 치료법의 전망 / 김재영 2015  1225
    31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암환자에서 혈장 내독소 농도가 생존기간에 미치는 영향 / 이진아 외 4인 2014  979
    30 20 죽음과 죽어감 일개 호스피스 병동에서 비타민 D 결핍 현황 및 관련인자 / 문경환 외 6인 2014  975
    29 18 인체실험 배아줄기세포 연구에 대한 불교적 관점 / 윤종갑 2012  913
    28 15 유전학 성범죄 사건에서 정액 검사와 유전자 분석에 대한 다양한 결과 / 김진영 외 2016  898
    27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유방암 환자에서 발생한 흉막 전이에 의한 거대 종양 1예와 호흡곤란의 치료 / 이나리 2014  849
    26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인의 전통 죽음관 / 권복규 2013  838
    25 1 윤리학 비췀과 췰드리스의 생명의료윤리학 논의에서의 넓은 반성적 평형에 대한 비판적 고찰 / 목광수 2014  538
    24 20 죽음과 죽어감 암환자 가족돌봄자의 외상 후 성장 / 최순옥 2014  534
    23 15 유전학 임상유전학의 ‘신 놀이’ 비판 : 도덕적 트랜스휴머니즘의 정립을 위한 시론 / 이을상 2014  515
    22 1 윤리학 도덕적 자연주의와 나쁜 것의 윤리학 : 니체 윤리학의 자연주의적 재구성 / 전경진 2012  504
    21 18 인체실험 배아줄기세포연구의 생명윤리담론 분석 : 한국 기독교와 불교를 중심으로 / 박상언 2012  498
    20 20 죽음과 죽어감 심폐소생술금지 결정 시점에서의 임상적 특성: 일개 종합병원 종양내과 사망한 암환자를 대상으로 / 강나영 외 2016  485
    19 14 재생산 기술 생명공학기술과 대리모의 행위성 / 이은주 2008  484
    18 13 인구 저출산의 정치경제학 : 프랑스 제3공화국 전반기의 인구위기와 〈프랑스 인구증가를 위한 국민연합〉 / 오경환 2010  461
    17 15 유전학 유전자 변형식품에 대한 고객인식과 구매의도 관계에서 지각위험 조절효과 분석 / 유영애, 우성근, 권기완 2014  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