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3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2 No.5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40138571 

성인 간이식 환자에서 신기능 이상의 빈도와 예후인자 = Incidence and Risk Factors of Renal Dysfunction after Liver Transplantation in Adult


  • 제어번호 : 40138571
  • 저자명 : 김성균, 김형직, 이정표, 이상구, 김연수, 안규리, 한진석, 김성권, 이정상, 서경석
  • 학술지명 :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 권호사항 : Vol.22 No.5 [2003]
  • 발행처 : 대한신장학회
  • 발행처 URL : http://www.ksn.or.kr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574-580(7쪽)
  • 언어 : Korean
  • 발행년도 : 2003년
  • KDC : 513.000
  • 등재정보 : KCI등재
  • 주제어 : Liver transplantation ,Renal failure ,Risk  factors


초록 (Abstract)

배 경 : 진행된 간질환의 치료로 간이식은 보편적으로 시행되고 있으며, 이식 후 생존율도 향상되어 간이식 후 장기 생존자가 증가하고 있다. 간이식 후 신기능 이상은 흔히 나타나며 예후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에 대한 국내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서울대학교병원에서 간이식 수술을 받고 6개월 이상 생존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신기능 이상의 빈도와 위험인자에 대해 알아보았다.
방 법 : 1996년 11월부터 2001년 7월까지 간이식을 받은 만 15세 이상의 성인 환자 중 6개월 이상 생존한 62명을 대상으로 신기능의 변화를 알아보고 신기능 이상을 가져오는 위험인자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후향적으로 수행하였다.
결 과 : 대상 환자는 남자가 44명 여자가 18명이었으며 나이는 45세 (증앙값, 16-64세)였다. 이들의 추적 관찰 기간은 17개월 (증앙값, 6-63개월)이었다. 간질환의 원인은 B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한 간경변 43명, 간암 11명, C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한 간경변 2명, 알콜성 간경변 2명, 윌슨병 1명 그리고 담도폐쇄증 1명이었다. 면역억제제는 tacrolimus (48명) 혹은 cyclosporine (14명)과 프레드니솔론 병합요법을 사용했으며, 26명의 환자들은 추적 기간 중에 신독성이 있는 칼시뉴린 억제제의 용량을 줄이면서 mycophenolate mofetil (MMF)를 투여 받았다. 간이식 후 6개월 후 사망한 환자는 1명이였으며 간암의 재발과 폐 전이에 의해 사망하였다. Cockcroft-Gault법을 이용한 크레아틴 청소율로 알아본 환자들의 신기능은 정상 신기능군 (Ccr>90) 8명 (13%), 경도의 신기능 이상군 (60<Ccr<90) 27명 (43.5%), 중등도의 신기능 이상군 (30<Ccr<60) 27명 (43.5%)이었으며 중증의 신기능 이상 (Ccr<30) 환자는 없었다. 중등도의 신기능 이상군과 그렇지 않은 군을 비교하였을 때 수술 전 크레아티닌 청소율 (p=0.007)과 3개월째 크레아티닌 청소율 (p=0.032)이 증등도 신기능 이상군에서 유의하게 낮았으며, 성, 나이, 면역억제제의 종류, 혈청 농도, 양, 수술 직후의 발생한 급성신부전, 수술 후 6개월간의 급성신부전의 횟수는 차이가 없었다. 신독성이 있는 칼시뉴린 억제제의 용량을 줄이면서 MMF를 투여 받은 환자들은 그렇지 않은 환자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으나 (p=0.057), 신기능이 회복되는 경향을 보였다.
결 론 : 간이식 수술을 받고 6개월이 지난 환자에서 신기능 이상은 87%로 매우 흔하며 중등도 이상의 신기능 이상도 43%에서 나타났다. 그리고 중등도 이상의 신기능 이상의 위험인자로 늘 수술 전 신기능 이상과 수술 후 3개월째 신기능 이상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칼시뉴린 억제제의 신기능 이상을 줄이기 위한 MMF 투여에 대한 대규모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3748 20 죽음과 죽어감 성년후견제도와 사회복지제도의 연계방안에 관한 연구 / 박상현 2016  451
3747 10 성/젠더 입원약정서의 연대보증조항에 대한 환자의 건강권 측면에서의 검토 / 홍관표 2015  451
3746 23 연구윤리 한국 의생명과학 연구윤리제도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 최병인 2006  451
3745 14 재생산 기술 여성 난임환자 20례의 임상결과보고 / 조성희 2015  450
3744 5 과학 기술 사회 나노기술이 던지는 새로운 철학적 문제들에 대한 고찰 / 이중원 2016  449
3743 1 윤리학 전부개정 된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의 연구대상자 보호 측면에서의 의의와 한계 / 김은애 2014  449
3742 14 재생산 기술 자궁내막암에서 선택적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조절제 (ulipristal acetate) 의 항암효과/고아라 2016  448
3741 1 윤리학 연구논문 : 주민등록번호 변경규정 마련을 위한 입법적 과제 -헌법재판소 2015. 12. 23. 2013헌바68 중심으로- / 김종세 2016  448
» 19 장기 조직 이식 성인 간이식 환자에서 신기능 이상의 빈도와 예후인자 / 김성균, 김형직, 이정표, 이상구, 김연수, 안규리, 한진석, 김성권, 이정상, 서경석 2003  448
3739 12 낙태 14일 이전 배아의 도덕적 지위 / 유호종 2001  448
3738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법제화의 한계와 문제점 / 신동일 2014  448
3737 20 죽음과 죽어감 응급실 의료진의 임종 돌봄태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 남금희 외 2016  447
3736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AI)의 법인격 주체 가능성의 이론적 기틀에 대한 기초 연구 / 한희원 2018  446
3735 13 인구 저출산 사회의 원인 및 경제적 파급 효과 분석 / 김현무 2010  446
3734 14 재생산 기술 생명과학기술에 관한 인간존엄침해여부 논증 : 인간배아복제의 헌법적 허용가능성을 중심으로 / 차수봉 2011  445
3733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 장기 기증자 가족의 의료 비용 부담과 국가 보조금 / 이재헌, 이원정, 이나경, 이재명 2015  445
3732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제언 / 김현주, 허정식 2013  445
3731 20 죽음과 죽어감 자문형 호스피스-완화의료에서의 전문간호 실무 프로토콜 개발 / 허윤정 2014  444
3730 15 유전학 체육철학 : 유전자도핑과 생명윤리 -스포츠를 중심으로- / 이문성 2014  444
3729 1 윤리학 생명윤리법에서의 도덕성과 합법성 논의 : 생명윤리법에서 정언적 원리의 정초와 관련해서 / 이인영 2011  4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