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0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의료법학회지 Vol.18 No.2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99949189 

이종이식연구를 위한 단일법 제정에 대한 검토 = A Study on the Legislative for Activation and Regulation in The Study of Xenotransplantation


  • 제어번호 : 99949189
  • 저자명 : 양지예
  • 학술지명 : 한국의료법학회지
  • 권호사항 : Vol.18 No.2 [2010]
  • 발행처 : 한국의료법학회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145-176(32쪽)
  • 언어 : Korean
  • 발행년도 : 2010년
  • KDC : 517
  • 등재정보 : KCI등재
  • 주제어 : 이종장기이식 ,초급성 면역거부 ,인수공통감염 ,실험동물 ,추적조사 ,xenotransplantation ,hyperacute rejection ,ZOONOSES ,laboratory animal ,follow-up study


초록 (Abstract)

생명공학발전의 결과물 중 하나인 이종장기이식(Xenotransplantation)은 부족한 이식 장기를 공급할 유력한 대체 방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하지만 이종이식에 관하여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직 소수에 불과하며, 국내에서 이종이식 또는 바이오장기 등은 일반적으로 생소한 개념이다. 본 연구는 이처럼 사회적으로 이종이식 자체에 대한 인식이 희박한 가운데, 이에 대한 인식 제고와 담론형성이 필요하다는 입장에서 출발하였다. 긍정적인 가능성을 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종이식은 몇 가지 해결하여야 할 숙제를 안고 있다. 먼저 자발적인 의사에 의하여 공급되는 인체장기와는 달리 자발적 의사가 결여된 동물의 장기를 이용한다는 점, 그리고 인간의 유전자를 포함하도록 조작된 형질전환 동물을 이용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윤리적인 거부감을 해결하여야 한다. 그리고 이종장기이식의 실용화에 가장 큰 장애가 될 수 있는 초급성 거부반응을 극복하는 기술적인 문제가 아직 완전히 해결되었다고 볼 수 없으며, 인류에게 큰 재앙이 될 수도 있는 신종 전염질환이 발생할 위험마저 안고 있다. 무엇보다 이러한 윤리적인 문제나 발생가능성이 있는 사회적 위험들에 대하여 사회 전반적인 합의가 없다는 것이 근본적인 문제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논문은 이종이식이 여전히 장기수급의 유효한 대체수단이라는 전제 하에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관련 연구를 활성화시킬 필요가 있다는 입장에 있다. 먼저 이를 증명하기 위하여 이종이식의 필요성에 대하여 다루었으며, 극복하여야 할 문제점 및 해결방안 최종적으로는 연구지원을 위한 윤리자문기구, 행정기관의 설립 및 임상시험 지침의 제공을 내용으로 하는 단일법 제정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법제화를 위하여 논의하여야 할 쟁점들에 관하여 다루었으며, 꾸준한 문제제기를 통하여 이종이식과 관련된 학계의 관심을 제고함으로써 이후 더 깊고 다양한 논의를 통해 국민적 합의 도출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국문초록】

Ⅰ. 들어가며

Ⅱ. 이종이식 연구의 필요성

Ⅲ. 이종이식의 현재

Ⅳ. 이종이식의 법제적 검토사항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848 17 신경과학 약리학적 기분 향상에 관한 신경윤리학적 고찰 / 추병완 2019  481
847 12 낙태 낙태에 대한 한국 교회의 입장 / 이경직 2007  482
846 5 과학 기술 사회 과학 기술이 인간을 진화시키고, 대체할 수 있을 것인가 / 김남욱 2018  482
845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피험자에게 발생하는 이상반응 관리 절차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이미성 2010  483
844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병동 말기 암환자 가족의 돌봄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김계숙 2016  483
843 2 생명윤리 샌델의 생명윤리에 관한 법철학적 고찰 / 박성민 2015  483
842 4 보건의료 철학 간호사의 도덕적 민감성과 노인간호실천과의 관계 / 홍소형 외 2016  483
841 4 보건의료 철학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딜레마와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 오미선 2019  483
840 14 재생산 기술 생명공학기술과 대리모의 행위성 / 이은주 2008  484
839 20 죽음과 죽어감 국내병원의 사전의료의향서 및 심폐소생술금지요청서 현황 / 김애리 2016  484
838 19 장기 조직 이식 종설 : 조직 및 장기 재생 분야에서의 3D 프린팅 기술의 적용 현황 / 안치범 외 2015  484
837 1 윤리학 가족관계등록법의 문제점 및 그 개선방안 : 신분등록제도의 개편을 중심으로 / 문흥안 2013  485
836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와 장기이식에 대한 기독교 윤리학적 이해 / 박희찬 1998  485
835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여성의 죽음 결정과 죽을 권리 / 이동옥 2015  485
834 20 죽음과 죽어감 심폐소생술금지 결정 시점에서의 임상적 특성: 일개 종합병원 종양내과 사망한 암환자를 대상으로 / 강나영 외 2016  485
833 9 보건의료 간호사와 간호관리자의 포괄간호서비스 제공경험 : Giorgi의 현상학적 접근 / 주명순 2016  485
832 12 낙태 착상전유전자진단과 산전유전자진단에 대한 형법적 제재의 정당성 / 이석배 2012  487
831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의 윤리적 측면 / 구인회 2005  487
830 9 보건의료 메르스와 지카바이러스의 대응을 바탕으로 해외유입 신종 감염병 예방 시스템 구축 방안 / 김자영 2016  487
829 15 유전학 세균 유전체에서 유전 물질의 상호교환에 대한 이해 / 김이환 2016  4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