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비교사법 Vol.22 No.1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535850 

GMO의 비의도적 유출과 개발기업의 책임 = GMOs’ Unintentional Release and Biotechnology Corporate"s Liability - In re Genetically Modified Rice Litigation


  • 제어번호 : 100535850
  • 저자명 : 김은진(KIM, Eun-Jin)
  • 학술지명 : 比較私法
  • 권호사항 : Vol.22 No.1 [2015]
  • 발행처 : 한국비교사법학회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503-526(24쪽)
  • 언어 : Korean
  • 발행년도 : 2015년
  • KDC : 360
  • 등재정보 : KCI등재
  • 주제어 : 유전자조작벼 소송 ,책임 및 복구 ,유전적 오염 ,경제적 손실 원칙 ,유전자변형생물체와의 공존 ,실질적 동등성 ,환경방출 ,Genetically Modified Rice Litigation ,Liability and Redress ,Genetic Contamination ,Economic Loss Doctrine ,GMO &amp ,Non-GMO Coexistence ,Substantial Equivalence ,Environment Release



초록 (Abstract)

GM작물 재배의 역사가 20년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그 안전성에 관한 논란은 지속되고 있다. 그로 인해 생물다양성협약이 채택될 당시 생물다양성을 위협할 지도 모른다는 우려로 인하여 바이오안전성의정서가 채택,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GM작물 재배로 인해 야기될 위험에 대한 안전관리에 관한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고 사후관리에서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책임과 복구에 대해서는 합의가 이루어지지 못하다가 2010년에야 비로소 채택되어 시행예정에 있다. 이 추가의정서는 그 중요도에도 불구하고 핵심적인 내용을 국내법에 위임함으로써 통일적인 책임 및 복구 제도를 기대하기는 어렵다는 한계를 가진다.
GM작물 최대 재배국인 미국은 재배 이후 끊임없이 불법적 유출의 논란이 있었으나 실질적 동등성의 원칙에 따라 별도의 규제를 하지 않는 원칙을 고수해 왔다. 그러나 2006년 GM 벼의 비의도적 환경방출로 인한 사건은 그동안의 원칙에 일정 정도 수정을 가할 수밖에 없도록 하였다. 불법적 유출에 따른 개발자의 책임을 명확히 하게 된 것이다.
추가의정서의 채택과 미국에서의 GM벼의 판례는 각국에서 GM작물로 인해 야기될 책임문제에 대한 기준을 법제화하는 데 큰 의의를 지니는 것이다. 왜냐하면 국내법에의 위임으로 인해 야기될지도 모르는 각국 국내법의 상이함으로 인한 마찰의 가능성을 미국의 판례를 통해 조정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미국이 의정서 상의 당사국이 아니기 때문에 의정서 상의 책임과 의무를 강제하기 힘들었다는 점, 최대 재배국이 인정하는 책임법제가 선례로서 의의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 의해 의정서의 실효성이 한층 더 높아졌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추가의정서와 미국의 판례에 비추어 GM작물에 대한 적절한 책임법제를 신속히 마련할 필요가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서론

    Ⅱ. 미국의 GMO벼 사례

    Ⅲ. 환경 방출과 추가의정서 상의 책임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968 5 과학 기술 사회 AI는 왜 여성의 목소리인가? - 음성인식장치 테크놀로지와 젠더화된 목소리 / 이희은 2018  287
    2967 9 보건의료 빅데이터 기반의 생체신호 분석 플랫폼 개발 / 고동희 2016  287
    2966 2 생명윤리 국가연구개발과제 생명의학윤리 감독체계에 대한 인식조사 및 제언 / 강영희, 이상미, 권광일, 김은영, 허우성 2014  287
    2965 2 생명윤리 생명윤리의 실천 방안 연구 : 중학교 도덕교과를 중심으로 / 고경수 2007  287
    2964 12 낙태 낙태죄 폐지에 대한 법적 이해에 대하여 / 신동일 2018  286
    2963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제도의 개선 및 활용성 제고 방안 : 호스피스 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 결정에 관한 법률’을 중심으로 / 정순태 2016  286
    2962 19 장기 조직 이식 인체조직법 개정의 의의와 법적 쟁점/김현철, 윤이레 2015  286
    2961 8 환자 의사 관계 정형외과 의료소송 판결문 분석을 통한 경향 파악과 원인 분석 / 이원 2013  286
    2960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 결정과 환자 자기결정권에 대한 가정전문간호사의 태도와 인식 / 권예옥, 안성희 2013  286
    2959 20 죽음과 죽어감 미국과 일본의 장기요양제도에 대한 비교 고찰/김찬우,신수경 2018  285
    2958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과 환경윤리 - 인공지능의 도덕적, 법적 권리 / 김명식 2018  285
    2957 9 보건의료 의약품 해외 인허가 과정에서의 장애요인 분석 / 윤근영 2018  285
    2956 9 보건의료 장기요양 인정자의 사망 전 의료 및 요양서비스 이용 양상 분석 / 한은정 외 2018  285
    2955 19 장기 조직 이식 한국의 심장이식 현황 / 박국양 1999  285
    2954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와 자율성의 한계/이인국 2016  285
    2953 2 생명윤리 스포츠과학연구에 있어서 생명윤리의 쟁점과 과제 / 김동규, 김현수 2014  284
    2952 9 보건의료 국산의약품의 해외 시장진출을 위한 인·허가제도 연구-태국 / 윤근영 권진원 이의경 2018  284
    2951 4 보건의료 철학 임상 간호사의 윤리적 민감성 측정도구 개발 / 정민영 2017  284
    2950 4 보건의료 철학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중 안전사고 경험에 따른 환자안전관리 지식, 태도, 수행자신감 정도 / 문미영 2018  284
    2949 9 보건의료 한국 메르스 발생기간 동안 일개 국가지정 입원치료병원 근무 간호사의 정신건강상태와 관련 요인 / 박지선 2016  2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