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6
발행년 : 200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고려법학 Vol.49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75514111 

의료후견주의와 환자의 자기결정권 - 의사의 설명의무를 중심으로 - = Paternalismus und Patientenautonomie in der Medizin


  • 제어번호 : 75514111
  • 저자명 : 이석배 ( Seok Bae Lee )
  • 학술지명 : 고려법학
  • 권호사항 : Vol.49 No.- [2007]
  • 발행처 :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935-963(29쪽)
  • 언어 : -
  • 발행년도 : 2007년
  • KDC : 360.05
  • 등재정보 : KCI등재
  • 주제어 : 패러다임 ,Paradigma ,설명의무 ,Aufklarungspflicht ,informed concent ,의사-환자의 관계 ,Arzt-Patient Beziehung ,환자의 자기결정권 ,Selbstbestimmungsrecht des Patienten ,후견주의 ,Paternalismus



초록 (Abstract)

Angesichts der großen Veranderungen, die vor allem in der vergangenen Jahrhundert in der Arzt-Patient-Beziehung stattgefunden haben, wird oft von einem Paradigmenwechsel weg vom Paternalismus hin zu einer an der Autonomie des Patienten orientierten Haltung gesprochen. Betrachtet man die Situation der Medizin und der Heilberufe genauer, wird man zu einer anderen, differenzierteren Auffassung gelangen. Heutzutage nimmt die Selbstbestimmung des Patienten in ihrer ethisch und rechtlich hochsten Bedeutung, aber auch in ihrer empirisch-praktischen Begrenzung, eine zentrale Position ein. Das Selbstbestimmungsrecht gilt es zu wahren, gleichzeitig aber auch der arztlichen Verantwortung gerecht zu werden, die sich aus der Fachkompetenz zwangslaufig ergibt. Vor diesem Hintergrund laßt sich die vernachlassigte Frage stellen, ob und wie den Rechten des Patienten auch Pflichten entsprechen und welche diese sein konnen. Diese Fragen werden anhand praktisch relevanter Problemfelder - Beteiligung an Therapieentscheidungen, Delegation von Selbstbestimmung, Recht auf Wissen bzw. Nichtwissen, Grenzziehung gegenuber den Wunschen des Patienten - untersucht. Der Arzt muss dabei nicht den Patienten uber alle Information aufkaren. Dafur muss er mit dem Patienten vielen Dialogen fuhren. Diese kommunikative Kompetenz hilft dem Patienten, durch den Gesprachaufbau dem Patienten die Moglichkeit zu deben, aufgrund der ihm erlauterten Fakten eine eigenverantwortliche Entscheidung. Durch die Anwendung Mechanismen moderner Kommunikation, das die Begegnung mit dem Patienten auf der gleichen sprachlichen Ebene einschließt, kann der Arzt das Vertrauen gewonnen werden. Durch dieses Verfahren konnen der Patient und der Arzt bessere Entscheidung treffen, die nicht nur um Patientenwohl, sondern auch um arztlichen Auftrag sorgen kann.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후견주의와 환자의 자기결정권 - 의사의 설명의무를 중심으로 - / 이석배 2007  3835
35 15 유전학 GMO의 윤리적 문제 / 이종원 2014  2573
34 15 유전학 유전자 조작 생물(GMO)에 대한 초,중,고 학생들의 인식 조사 / 이혜정, 이진경, 민윤숙, 최진영, 심규철 2010  2345
33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환자의 수술 후 영양상태가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 하지수, 최스미 2013  1249
32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에서의 RNA간섭 치료법의 전망 / 김재영 2015  1225
31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암환자에서 혈장 내독소 농도가 생존기간에 미치는 영향 / 이진아 외 4인 2014  979
30 20 죽음과 죽어감 일개 호스피스 병동에서 비타민 D 결핍 현황 및 관련인자 / 문경환 외 6인 2014  975
29 18 인체실험 배아줄기세포 연구에 대한 불교적 관점 / 윤종갑 2012  913
28 15 유전학 성범죄 사건에서 정액 검사와 유전자 분석에 대한 다양한 결과 / 김진영 외 2016  898
27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유방암 환자에서 발생한 흉막 전이에 의한 거대 종양 1예와 호흡곤란의 치료 / 이나리 2014  849
26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인의 전통 죽음관 / 권복규 2013  838
25 1 윤리학 비췀과 췰드리스의 생명의료윤리학 논의에서의 넓은 반성적 평형에 대한 비판적 고찰 / 목광수 2014  538
24 20 죽음과 죽어감 암환자 가족돌봄자의 외상 후 성장 / 최순옥 2014  534
23 15 유전학 임상유전학의 ‘신 놀이’ 비판 : 도덕적 트랜스휴머니즘의 정립을 위한 시론 / 이을상 2014  515
22 1 윤리학 도덕적 자연주의와 나쁜 것의 윤리학 : 니체 윤리학의 자연주의적 재구성 / 전경진 2012  504
21 18 인체실험 배아줄기세포연구의 생명윤리담론 분석 : 한국 기독교와 불교를 중심으로 / 박상언 2012  498
20 20 죽음과 죽어감 심폐소생술금지 결정 시점에서의 임상적 특성: 일개 종합병원 종양내과 사망한 암환자를 대상으로 / 강나영 외 2016  485
19 14 재생산 기술 생명공학기술과 대리모의 행위성 / 이은주 2008  484
18 13 인구 저출산의 정치경제학 : 프랑스 제3공화국 전반기의 인구위기와 〈프랑스 인구증가를 위한 국민연합〉 / 오경환 2010  461
17 15 유전학 유전자 변형식품에 대한 고객인식과 구매의도 관계에서 지각위험 조절효과 분석 / 유영애, 우성근, 권기완 2014  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