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37
발행년 : 200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생명윤리정책연구 Vol.1 No.1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60162991 

생명윤리에서 생명권과 자기결정권 = Lebens- und Selbstbestimmungsrecht in Bioethik


  • 제어번호 : 60162991
  • 저자명 : 이석배
  • 학술지명 : 생명윤리정책연구
  • 권호사항 : Vol.1 No.1 [2007]
  • 발행처 :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81-99(19쪽)
  • 언어 : Korean
  • 발행년도 : 2007년
  • KDC : 510
  • 등재정보 : KCI등재후보
  • 주제어 : 생명윤리 ,인간의 존엄 ,생명권 ,자기결정권 ,설명의무 ,Bioethik ,Menschenwu¨rde ,Lebensrecht ,Selbstbestimmungsrecht ,Aufkla¨rungspflicht


초록 (Abstract)

Art. 10 der koreanischen Konstitution schu¨tzt und beinhaltet die Menschenwu ¨rde, die in Charter of the United Nations, EMRK seine Entsprechung findet. Davon leiten sich die zwei Sa¨ule ab: das Lebens und das Selbstbestimmungsrecht.
Das menschliche Leben geho¨ rt zu den ho¨ chsten Rechtsgu¨tern, die durch die Konstitution garantiert werden. Was die Rechtsgu¨ter ≫Leib≪ und ≫Leben≪ betrifft, garantieren die Konstitution und das Strafrecht jedem Menschenein Recht auf Leben und auf ko¨rperliche Unversehrtheit. Das Recht auf ko¨rperliche Unversehrtheit kann zum leiblichen Selbstbestimmungsrecht werden.Grundsa¨ tzlich darf niemand mit dem Leib eines anderen Menschen ohne die Einwilligung des Betroffenen verfahren, unabha¨ngig davon, ob dieser Verfahrensakt die Gesundheit des Menschen verbessert oder nicht. Danach geho¨rt die Aufkla¨rung zu den Hautpflicht des Arztes. Jeder a¨rztliche Heileingriffist auch zwar mit Blick auf das Selbstbestimmungsrecht nur zula¨ ssig, wenn der Patient nach der a¨rztlichen Aufkla¨rung in diesen eingewilligt hat. Dabei geht es um die Patientenautonomie.
Dagegen ist ein Ungeborene kein Mensch. Er unterscheidet sich von Menschen. Er ist kein Menschenwu¨rdetrager und kein Objekt des absoluten Lebensschutzes. Das Geburtsereignis entscheidet im Strafrecht u¨ber die Anwendung zweier grundverschiedener Normenkomplexe: der Vorschrift u¨ber den Schwangerschaftsabbruch bzw. den Embryonenschutz zum einen und der To¨tungsund Ko¨rperverletzungstatbesta¨nde zum anderen. Wa¨hrend Leib und Leben des geborenen Menschen lu¨ckenlosen Strafschutz genieβen, werden die Leibesfrucht und die Embryonen nur sehr fragmentarisch geschu¨tzt.
Dieser Beitrag vertritt zur Anwendung des Schutzes menschlichen Lebens vor der Geburt eine “mittlere Position”. Aus einem objektivrechtlichen Versta ¨ndnis des menschlichen Lebens heraus werden im Ergebnis “Abstufungen des Lebensschutzes” entwickelt.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 II. 환자의 자기결정권과 생명보호

    1. 법의 관점에서 자기결정권과 생명권

    2. 의료윤리의 관점에서 자기결정권과 생명권

    3. 말기환자에 대한 의사의 임무

    III. 의사의 설명의무

    1. 설명의무의 내용

    2. 의사의 진료거부권

    IV. 생성중인 생명의 경우

    1. 생성중인 생명과 인간의 존엄

    2. 태아의 생명ㆍ신체보호와 자기결정권

    V. 결론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197 2 생명윤리 규범 중심의 생명윤리 논의에 대한 비판 : 행위의 통합성을 중심으로 / 김수정 2011  274
    196 19 장기 조직 이식 병원간호사의 간호윤리 가치관 및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에 관한 연구 / 김예진, 이명남 2011  688
    » 8 환자 의사 관계 생명윤리에서 생명권과 자기결정권 / 이석배 2007  3695
    194 1 윤리학 생명윤리에 대한 형법적 보호의 범위와 한계 / 이석배 2008  1472
    193 12 낙태 낙태 논의에 있어서 태아의 존재론적 위상과 도덕적 위상 / 유호종 2003  266
    192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윤리지침의 유용성, 한계, 구속성 / 유호종 2003  181
    191 1 윤리학 생명윤리법에서의 도덕성과 합법성 논의 : 생명윤리법에서 정언적 원리의 정초와 관련해서 / 이인영 2011  444
    190 1 윤리학 회고적 시각에서 본 생명윤리 관련 법규 변천 / 이인영 2013  254
    189 2 생명윤리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 구성 및 운영의 개선방안 / 이인영 2006  107
    188 1 윤리학 이항녕 선생과 법과 도덕 : 생명윤리법을 중심으로 / 이인영 2013  338
    187 1 윤리학 유네스코 '생명윤리와 인권보편선언'의 권고사항과 국내 실천을 위한 제언 / 이인영 2006  230
    186 14 재생산 기술 생식세포, 배아에 대한 쟁점사항 및 입법논의 / 이인영 2009  273
    185 1 윤리학 생명과학기술의 발달에 따른 형사입법의 회고와 전망 / 이인영, 김성천 2007  426
    184 15 유전학 유전자검사와 유전자치료에 관한 쟁점사항과 사회적 수용도 / 이인영 2005  428
    183 2 생명윤리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에 대한 운영평가와 향후 정책제언 / 이인영, 이정애, 이동익, 양윤선 2008  245
    182 9 보건의료 고령화시대 노인인권에 대한 기독교윤리적 고찰 / 이연순 2015  670
    181 2 생명윤리 기독교대안학교 운영체계안 제시 : 생명공동체윤리사상에 입각한 교육을 중심으로 / 류미아 2015  360
    180 9 보건의료 "핀핀코로리(ぴんぴんころり)의 비밀": 일본 나가노현 사쿠시에서의 생명정치와 노년의 자기윤리 / 김희경 2015  744
    179 15 유전학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전부개정(안)과 바이오뱅크를 이용한 연구에서의 피험자 보호방안 / 이정현 2010  283
    178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안에 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 / 고준기, 조현, 이강호 2014  3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