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79
발행년 : 200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생명윤리정책연구 Vol.1 No.1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60162991 

생명윤리에서 생명권과 자기결정권 = Lebens- und Selbstbestimmungsrecht in Bioethik


  • 제어번호 : 60162991
  • 저자명 : 이석배
  • 학술지명 : 생명윤리정책연구
  • 권호사항 : Vol.1 No.1 [2007]
  • 발행처 :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81-99(19쪽)
  • 언어 : Korean
  • 발행년도 : 2007년
  • KDC : 510
  • 등재정보 : KCI등재후보
  • 주제어 : 생명윤리 ,인간의 존엄 ,생명권 ,자기결정권 ,설명의무 ,Bioethik ,Menschenwu¨rde ,Lebensrecht ,Selbstbestimmungsrecht ,Aufkla¨rungspflicht


초록 (Abstract)

Art. 10 der koreanischen Konstitution schu¨tzt und beinhaltet die Menschenwu ¨rde, die in Charter of the United Nations, EMRK seine Entsprechung findet. Davon leiten sich die zwei Sa¨ule ab: das Lebens und das Selbstbestimmungsrecht.
Das menschliche Leben geho¨ rt zu den ho¨ chsten Rechtsgu¨tern, die durch die Konstitution garantiert werden. Was die Rechtsgu¨ter ≫Leib≪ und ≫Leben≪ betrifft, garantieren die Konstitution und das Strafrecht jedem Menschenein Recht auf Leben und auf ko¨rperliche Unversehrtheit. Das Recht auf ko¨rperliche Unversehrtheit kann zum leiblichen Selbstbestimmungsrecht werden.Grundsa¨ tzlich darf niemand mit dem Leib eines anderen Menschen ohne die Einwilligung des Betroffenen verfahren, unabha¨ngig davon, ob dieser Verfahrensakt die Gesundheit des Menschen verbessert oder nicht. Danach geho¨rt die Aufkla¨rung zu den Hautpflicht des Arztes. Jeder a¨rztliche Heileingriffist auch zwar mit Blick auf das Selbstbestimmungsrecht nur zula¨ ssig, wenn der Patient nach der a¨rztlichen Aufkla¨rung in diesen eingewilligt hat. Dabei geht es um die Patientenautonomie.
Dagegen ist ein Ungeborene kein Mensch. Er unterscheidet sich von Menschen. Er ist kein Menschenwu¨rdetrager und kein Objekt des absoluten Lebensschutzes. Das Geburtsereignis entscheidet im Strafrecht u¨ber die Anwendung zweier grundverschiedener Normenkomplexe: der Vorschrift u¨ber den Schwangerschaftsabbruch bzw. den Embryonenschutz zum einen und der To¨tungsund Ko¨rperverletzungstatbesta¨nde zum anderen. Wa¨hrend Leib und Leben des geborenen Menschen lu¨ckenlosen Strafschutz genieβen, werden die Leibesfrucht und die Embryonen nur sehr fragmentarisch geschu¨tzt.
Dieser Beitrag vertritt zur Anwendung des Schutzes menschlichen Lebens vor der Geburt eine “mittlere Position”. Aus einem objektivrechtlichen Versta ¨ndnis des menschlichen Lebens heraus werden im Ergebnis “Abstufungen des Lebensschutzes” entwickelt.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 II. 환자의 자기결정권과 생명보호

    1. 법의 관점에서 자기결정권과 생명권

    2. 의료윤리의 관점에서 자기결정권과 생명권

    3. 말기환자에 대한 의사의 임무

    III. 의사의 설명의무

    1. 설명의무의 내용

    2. 의사의 진료거부권

    IV. 생성중인 생명의 경우

    1. 생성중인 생명과 인간의 존엄

    2. 태아의 생명ㆍ신체보호와 자기결정권

    V. 결론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79 20 죽음과 죽어감 생전유언, 의료지시서, 자연사법(natural death act) 입법의 사회적 함의 / 이인영 2008  64757
    378 8 환자 의사 관계 자율성 존중의 원칙 : 정치적 이념과 철학적 이념 / 최경석 2015  52562
    377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고통에 대한 의사의 정당한 태도 / 유호종 2004  46030
    376 8 환자 의사 관계 독일의 환자사전의사표시법 / 이석배 2010  19874
    375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신장 공여자의 공여 후 적응 경험 / 강다해솜 외 2016  18235
    374 20 죽음과 죽어감 마약성 진통제 사용과 부신기능부전 / 정지훈, 최윤선, 김정은, 김이연 2014  14318
    373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의 기준과 절차 : 대법원 2009. 5. 21. 선고 2009다17417 판결이 가지는 문제점을 중심으로 / 이석배 2009  7188
    372 8 환자 의사 관계 응급의료거부죄의 해석과 정책 / 이석배 2009  6810
    371 2 생명윤리 의료영역에서 인간의 존엄, 생명, 생명권의 관계 / 이석배, 김필수 2012  4417
    370 1 윤리학 현행 형집행정지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이석배 2013  4158
    369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후견주의와 환자의 자기결정권 - 의사의 설명의무를 중심으로 - / 이석배 2007  3836
    » 8 환자 의사 관계 생명윤리에서 생명권과 자기결정권 / 이석배 2007  3698
    367 15 유전학 GMO의 윤리적 문제 / 이종원 2014  2589
    366 1 윤리학 노인자원봉사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 / 김충묵 외 2016  2537
    365 15 유전학 갈락토스혈증의 신생아 선별검사 후 진단 알고리즘 / 손영배 2015  2515
    364 15 유전학 유전자 조작 생물(GMO)에 대한 초,중,고 학생들의 인식 조사 / 이혜정, 이진경, 민윤숙, 최진영, 심규철 2010  2345
    363 1 윤리학 칸트 법철학에서 형벌이론과 사형제도 정당화에 대한 연구 / 김세빈 2016  2314
    362 15 유전학 [번역문] 유전자 형질변환 식품의 실험에 대한 철학적 견해 / Andrew Woodfield 2015  2313
    361 18 인체실험 배아복제 기술의 윤리적 문제와 줄기세포 연구의 한계 / 김광연 2015  2246
    360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 코디네이터의 직무분석 / 김형숙 외 2014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