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51
발행년 : 2013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법학논총 Vol.37 No.4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99907874 

현행 형집행정지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Die Problematik um die Unterbrechung der Freiheitsstrafe


  • 제어번호 : 99907874
  • 저자명 : 이석배 ( Seok Bae Lee )
  • 학술지명 : 법학논총(Dankook Law Review)
  • 권호사항 : Vol.37 No.4 [2013]
  • 발행처 :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Institution of Law Dankook University)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271-292(22쪽)
  • 언어 : Korean
  • 발행년도 : 2013년
  • 등재정보 : KCI등재
  • 주제어 : die Unterbrechung der Freiheitsstrafe ,suspension of punishment: 형집행정지 ,der Aufschub des Strafvollzuges ,형집행연기 ,das Recht des Gefangenen ,the right of prisoner: 수형자의 권리 ,Kommission fur die Unterbrechung der Freiheitsstrafe ,형집행정지심의위원회 ,das Ausstellen unr


초록 (Abstract)

Vor der kurzen Zeit wurden die Koreaner vor offenem Arger an einem Fall der Unterbrechung der Freiheitsstrafe: Eine Gefangene, die eine Morderin und die Ehefrau des GeschAftsfuhrers eines großes Firma ist, blieb im VIP-Zimmer eines Uni-Klinikum durch die Unterbrechung der Freiheitsstrafe. Aber sie war eine Nylon-Patientin. In Korea gab es fruher auch bei MilionAren bzw. Politikern zweifelhate Unterbrechungen der Freiheitsstrafe, die wirtschAftliche und/oder politische Macht haben; z.B. die Sohne der zwei Korea-PrAsidenten, viele Parlamentsabgeordneten, CEOs der Großunternehmen und Direktors der offentlichen Organisationen usw. Durch offentliche Meinung wird Anspruch auf Reform des Unterbrechungssystem der Freiheitsstrafe erhoben. Einerseits hat die StaatsanwaltschAftdie ReformplAne gefasst. Zwei Entwurfe der kStPO wurde andererseits am Parlament eingebracht. Die beiden wollen das Verfahren der Unterbrechung der Freiheitsstrafe durch ‘Kommission fur die Unterbrechung der Freiheitsstrafe’ strenger machen. In diesem Beitrag wurden die Problematik um die Unterbrechung der Freiheitsstrafe in der Praxis, insbesondere die im Verfahren, und die Fragepunkte von Entwurfe der kStPO aus Gesichtpunkt von Recht des Gefangenen auseinander gesetz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 1 윤리학 현행 형집행정지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이석배 2013  4158
50 15 유전학 GMO의 윤리적 문제 / 이종원 2014  2573
49 15 유전학 유전자 조작 생물(GMO)에 대한 초,중,고 학생들의 인식 조사 / 이혜정, 이진경, 민윤숙, 최진영, 심규철 2010  2345
48 18 인체실험 물리적 인장 자극에 의한 줄기세포의 분화에 동반되는 미토콘드리아의 특성 변화에 관한 고찰 / 신지원 외 2015  1172
47 15 유전학 공공 유전체 데이터베이스 확립 과정에 나타난 정보 공유와 사유화 사이의 긴장 / 조은희 2015  998
46 18 인체실험 착상 전 유전진단으로 획득된 비정상 배아를 이용한 유전질환 인간 배아줄기세포 수립 연구 동향 / 설혜원 외 2015  890
45 14 재생산 기술 인공자궁과 그 법적 함의 - 이 특수한 가정적 현실을 둘러싼 법적 접근을 위하여 / 안성준 2016  621
44 5 과학 기술 사회 의료 관련 발명의 특허법적 보호와 쟁점 / 김원준 2012  563
43 18 인체실험 재생의학 기술 개발을 위한 세포접착 제어를 통한 중간엽 줄기세포의 기능 조절 연구 / 강정미 2016  547
42 15 유전학 임상유전학의 ‘신 놀이’ 비판 : 도덕적 트랜스휴머니즘의 정립을 위한 시론 / 이을상 2014  515
41 15 유전학 한국인 유전성 유방암 가계에서 BRCA1/2 유전자 돌연변이 사실에 대한 가족과의 의사소통 실태 / 강은영 외 2011  509
40 1 윤리학 생명윤리 법제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에 관한 연구 / 안영하, 서순택, 우제창, 오정균, 엄애용 2014  489
39 19 장기 조직 이식 종설 : 조직 및 장기 재생 분야에서의 3D 프린팅 기술의 적용 현황 / 안치범 외 2015  482
38 15 유전학 유전상담과 전문 유전상담사 수요에 대한 전국적인 조사 / 정윤석 외 2007  477
37 15 유전학 체육철학 : 유전자도핑과 생명윤리 -스포츠를 중심으로- / 이문성 2014  444
36 15 유전학 산전 유전자 검사 / 한유정 외 2011  437
35 15 유전학 유전자검사와 유전자치료에 관한 쟁점사항과 사회적 수용도 / 이인영 2005  428
34 15 유전학 유전자 변형식품에 대한 고객인식과 구매의도 관계에서 지각위험 조절효과 분석 / 유영애, 우성근, 권기완 2014  427
33 1 윤리학 생명과학기술의 발달에 따른 형사입법의 회고와 전망 / 이인영, 김성천 2007  426
32 14 재생산 기술 일본「재생의료안전법」이 한국 생명윤리 관련 규제에 주는 시사점 / 김보배 2015  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