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7
발행년 : 2001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대동철학 Vol.15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82652811 

14일 이전 배아의 도덕적 지위 = The Moral Status of an Embryo


  • 제어번호 : 82652811
  • 저자명 : 유호종
  • 학술지명 : 大同哲學(Journal of the DaePhilosophical Association) dong
  • 권호사항 : Vol.15 No.- [2001]
  • 발행처 : 대동철학회
  • 발행처 URL : http://ddpa98.org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317-336(20쪽)
  • 언어 : Korean
  • 발행년도 : 2001년
  • KDC : 100
  • 등재정보 : KCI등재
  • 주제어 : 배아 ,생명권 ,쌍둥이 가능성 ,가능적 존재자 ,Right to Life ,Possibility of ※ Twin. Possible entity


초록 (Abstract)

  • 오늘날 쟁점이 되고 있는 ‘배아의 연구나 이용은 정당화될 수 있는가’라는 물음에 답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배아에게 생명권이 있는가를 따져 보아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인간 성인을 살펴 그 생명권의 근거는 무엇인지 밝힌 다음 이 근거를 배아도 가지고 있는가 확인해 보면 된다.
    성인을 죽이면 주변의 사람들은 극심한 불안과 공포를 느끼게 되므로 이런 해악을 방지하기 위해 성인에게 파생적으로 생명권이 부여된다. 하지만 배아의 죽음은 주변에 극심한 불안과 공포를 불러 일으키지 않으므로 이런 근거에서는 생명권이 있다고 할 수 없다.
    성인을 죽이는 것은 또한 그로부터 정신적인 고차원의 삶을 박탈하므로 성인은 이런 해악을 입지 않을 생명권을 갖게 된다. 배아는 만약 그것이 그로부터 자라날 성인과 동일한 존재라면 같은 근거에서 생명권을 갖겠지만 아직 쌍둥이 가능성이 있어서 그렇게 볼 수 없다. 실제로 배아가 죽임을 당할 때 빼앗기는 것은 십수일의 무의식적인 삶으로 생명권의 근거가 되기에는 미흡하다. 그렇다고 배아로 부터 자라날 성인의 ‘존재할 권리’에서 배아의 생명권이 파생된다고 볼 수도 없다. 이렇게 어떤 근거에 비추어 보아도 배아에게 생명권이 있다고 인정하기는 힘들어 보인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문
  • 1. ‘14일 이전 배아1)의 도덕적 지위’에 대해 답할 필요성

    2. 이 물음에 답하기 위한 방법

    3. 죽임이 가하는 고통

    가. 죽는 자 자신이 느끼는 고통

    나. 주변인들이 느끼는 불안과 공포

    다. 배아의 경우

    4. 죽임이 박탈하는 삶

    가. 성인의 경우

    나. 배아의 경우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4587 14 재생산 기술 이완술이 시험관아기 시술을 받는 불임여성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박점미 2000  74
    4586 2 생명윤리 동물보호를 위한 윤리적 근거와 방안 / 김대군 2000  412
    4585 4 보건의료 철학 임상간호사와 간호학생의 윤리적 가치관의 인식에 관한 비교 연구 / 김연숙 2000  129
    4584 1 윤리학 한국 의료법체계의 성격과 역사적 변천 / 박형욱 2001  397
    4583 15 유전학 유전자재조합식품의 안정성과 표시에 대한 인식도 조사 / 김명희, 김연순, 박세원, 경규항, 안정미 2001  147
    4582 20 죽음과 죽어감 형법상 안락사·존엄사에 관한 연구 / 유선경 2001  546
    4581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간호사 윤리에 관한 연구 / 유인철 2001  1219
    4580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도 / 김선현 2001  468
    4579 2 생명윤리 생명윤리교육의 현황과 방향 연구 / 윤순애 2001  421
    4578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고찰 / 김상섭 2001  891
    » 12 낙태 14일 이전 배아의 도덕적 지위 / 유호종 2001  448
    4576 12 낙태 우리 법의 낙태 규정에 대한 윤리적 검토와 제안 / 유호종, 이경환 2001  169
    4575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에서의 사전의사결정(advanced directives)에 대한 도덕적 검토 / 손명세, 유호종 2001  209
    4574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의 현재 / 김홍진 2001  424
    4573 19 장기 조직 이식 소아 간이식의 적응증 / 김용주 2001  253
    4572 5 과학 기술 사회 공학윤리 교육의 필요성/김경천 2001  176
    4571 5 과학 기술 사회 과학기술자의 사회적 책임과 윤리/송성수 2001  854
    4570 1 윤리학 Toward an Anthropology of Ethics: Foucault and the Pedagogies of Autopoiesis 2001  71
    4569 19 장기 조직 이식 Engineering Human Tissue and Regulation: Confronting Biology and Law to Bridge the Gaps 2001  65
    4568 14 재생산 기술 Banning Human Cloning-Then What? 2001  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