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9
발행년 : 2003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철학연구 Vol.60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30060585 

낙태 논의에 있어서 태아의 존재론적 위상과 도덕적 위상 = Ontological status and Moral status of a fetus in Abortion Discussion


  • 제어번호 : 30060585
  • 저자명 : 유호종
  • 학술지명 : 哲學硏究
  • 권호사항 : Vol.60 No.- [2003]
  • 발행처 : 철학연구회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175-189(15쪽)
  • 언어 : Korean
  • 발행년도 : 2003년
  • KDC : 100.000
  • 주제어 : 윤리학 ,낙태(임신중절) ,태아 ,존재론적 위상 ,도덕적 위상 ,자아 동일성



초록 (Abstract)

낙태의 정당성 논의에서 과거 가장 쟁점이 되었던 것은 '태아는 인간인가'라는, 태아의 존재론적 위상에 대한 물음이었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태아는 생명권을 갖는가'라는, 태아의 도덕적 위상에 대한 물음이 주로 쟁점이 되고 있다. 더 나아가 태아의 존재론적 위상에 대한 물음은 낙태 논의에서 더 이상 필요 없다고 적극적으로 주장하는 사람이 있는데 D. Marquis가 대표적이다.
Marquis의 주장대로 '태아는 인간인가'라는 기존의 존재론적 물음의 탐구는 낙태의 정당성 논의에서 피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임이 밝혀진다. 이 물음이 유용하려면 '인간'에 대한 유일하게 올바른 하나의 정의가 존재해야 하는데 과연 이런 정의가 존재하는지 이론적으로 구명하기 힘들 뿐 아니라 이런 정의가 존재하더라도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밝히기 힘들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물음에 대한 논의 없이 직접 태아의 도덕적 위상을 밝힘으로서 낙태 논의를 해결하려는 Marquis의 시도는 불가피하게 다시 태아의 존재론적 위상에 대한 다른 물음에 직면할 수밖에 없다. 낙태에 대한 Marquis의 논의를 그가 했던 것보다 더 철저하게 진행시켰을 때 이 물음에 다다를 수 있는데 그것은 바로 '태아는 그 태아로부터 자라날 어린이나 성인과 동일한 존재인가'라는 자아동일성 물음이다. 이 물음에 대한 해명 없이는 태아의 도덕적 위상을 밝힐 수 없고 따라서 낙태의 정당성 여부도 판단하기 힘든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29 12 낙태 한국의 낙태규제정책 / 조희원 2013  412
28 12 낙태 낙태에 관한 유럽인권재판소의 입장 : 대한민국에서의 논의에의 시사점 / 오미영 2014  525
27 12 낙태 새로운 정책유형으로서 도덕정책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한국에서의 적용가능성 탐구: 낙태정책을 중심으로 / 노종호 2014  219
26 12 낙태 도덕의 법적 강제에 관한 소고 - 낙태, 동성애 그리고 간통에 대한 판결검토를 중심으로 - / 조해현 2015  345
25 12 낙태 연구논문 : 낙태에 대한 태도와 종교: 한국, 일본, 미국, 필리핀 국제비교분석 / 김상욱 외 2015  1835
24 12 낙태 통계로 본 가족실태 및 태도와 그 사목적 의의 / 조세희 2015  271
23 12 낙태 낙태 예방 공익 캠페인 메시지 연구 / 조수영 2015  238
22 12 낙태 공적개발원조(ODA) 출산조절을 통해 본 수원국 여성 행위자 : 라오스 터울조절과 라오룸(Lao-loum)족 여성들의 낙태를 중심으로 / 김양희 2016  335
21 14 재생산 기술 인공자궁과 그 법적 함의 - 이 특수한 가정적 현실을 둘러싼 법적 접근을 위하여 / 안성준 2016  623
20 12 낙태 낙태 문제에 대한 조셉 플레처(Joseph Fletcher)의 상황윤리(Situation Ethics) 관점에서 본 이해와 비판 / 지장규 2008  1195
19 12 낙태 낙태에 있어 사람의 시기와 낙태의 허용범위에 관한 형사법적 고찰 / 김정오 2016  530
18 11 피임 응급피임약의 여성적 관점에 대한 성찰/유혜숙 2015  583
» 12 낙태 낙태 논의에 있어서 태아의 존재론적 위상과 도덕적 위상 / 유호종 2003  266
16 2 생명윤리 생명권과 생명가치에 대한 연구 : 무의미한 연명치료중단을 중심으로 / 김휘원 2010  743
15 12 낙태 인공유산에 대한 이해와 목회적 돌봄 / 이주형 1999  468
14 12 낙태 생명/이미지/정치 : 생명 윤리와 생명 정치 사이에서 -낙태를 중심으로- / 공병혜 2014  469
13 12 낙태 임신중절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고찰 / 목진수 2014  593
12 1 윤리학 형법에 있어서 생명의 보호 / 이재석 2013  266
11 12 낙태 성적 시민권의 부재와 사회적 고통 : 한국의 낙태 논쟁에서 여성 경험의 재현과 전문성의 정치 문제 / 백영경 2013  735
10 12 낙태 낙태논쟁 속 법담론의 탈관계성 비판 : 낙태죄 헌법소원을 중심으로 / 이선순 2014  3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