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94
발행년 : 200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림법학 Vol.16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76369733 

유전자검사와 유전자치료에 관한 쟁점사항과 사회적 수용도 = Issues of Genetic Test, Gene Therapy and National Survey


  • 제어번호 : 76369733
  • 저자명 : 이인영(Lee In-young)
  • 학술지명 : 한림법학 FORUM(THE JOURNAL OF HALLYM LAW FORUM)
  • 권호사항 : Vol.16 No.- [2005]
  • 발행처 : 한림대학교 법학연구소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23-56(34쪽)
  • 언어 : Korean
  • 발행년도 : 2005년
  • KDC : 360
  • 주제어 : 유전자검사 ,유전자치료 ,유전공학 ,분배정의 ,생명윤리 ,Genetic test ,Gene Therapy ,Bioethics ,Distributional Justic ,Genetic Technology


초록 (Abstract)

Genetic technology including genetic test and screening, gene therapy and genetic enhancement is developing rapidly. As genetic technology and other technologies relevant to human biology are developed, society will faced a host of complex ethical, legal, and social issues. One of the most complex sets of issues involves our choices over who will access to these technologies. There is a great concern that the mischiefs of genetic technology may outstrip its benefits. In addition, another question has been raised who should benefit from the development of genetic technology. Problems of distributional justice arise under the condition of scarce resources. Whether achievements of genetic research should be distributed according to need or ability-to-pay needs to be answere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Korean citizens' perception on genetic technology and distributional justice, specifically focusing on application and limit of genetic test and screening, gene therapy and genetic enhancement.
A national survey was carried out using telephone interview from April 20th to May 20th in 2004. A total of 1,004 citizens (male : female = 48.2% : 51.8%) were randomly sampled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population of 16 region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16 questions about overall impact of genetic technology, application of genetic test, potential for discrimination on the basis of genetic information, permissibility of and intent to use gene therapy, access to genetic technology, and so on.
First, 71.0% of the respondents perceived that the development of genetic technology would ensure healthier life whereas 17.8% were worried about its adverse effects. In terms of application of genetic test, 90.3% responded that genetic test would be helpful for finding missing children 71.2% for criminal investigation. 75.9% and 56% were worried about the adverse effects if genetic information was used for recruiting and subscribing to insurance, respectively. Given the benefits that people will obtain from genetic technologies, people will not be able to satisfy their demand.
In the past, society encountered shortages of supply of medical services. Sooner or later certain conditions must be satisfied in order for someone to gain access to genetic technologies.
Overall, Korean citizens seem to have both positive and negative perception on the development and use of genetic technology. They have intention to use genetic technology for treating diseases while they feel concern about potentials for genetic discrimination or genetic class. Achievements of genetic research should be distributed according to need or ability-to-pay needs. The government needs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ensuring equal access to genetic technology for every citizen.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들어가는 말
  • Ⅱ. 사회적 수용도 분석을 위한 조사 개요

    Ⅲ. 유전자검사에 관한 쟁점사항과 사회적 수용도

    Ⅳ. 유전자치료에 관한 쟁점사항과 사회적 수용도

    Ⅴ. 분배정의에 관한 쟁점사항과 사회적 수용도

    Ⅵ. 결론

    ABSTRACT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174 2 생명윤리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윤리적 이슈와대학의 생명윤리교육 방향 제고 / 이경화 외 2018  459
    173 18 인체실험 대학 생명윤리위원회의 심의 기준에 관한 연구- 미국의 Common Rule과 미국 대학의 표준운영지침상 기준을 중심으로/김시형, 추정완 2015  455
    172 2 생명윤리 초등 교과교육 : 생명윤리에 대한 초등교사와 학생들의 인식조사 / 이강미, 이상원 2014  452
    171 23 연구윤리 한국 의생명과학 연구윤리제도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 최병인 2006  451
    170 1 윤리학 전부개정 된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의 연구대상자 보호 측면에서의 의의와 한계 / 김은애 2014  449
    169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법제화의 한계와 문제점 / 신동일 2014  448
    168 12 낙태 14일 이전 배아의 도덕적 지위 / 유호종 2001  448
    167 1 윤리학 생명윤리법에서의 도덕성과 합법성 논의 : 생명윤리법에서 정언적 원리의 정초와 관련해서 / 이인영 2011  444
    166 15 유전학 체육철학 : 유전자도핑과 생명윤리 -스포츠를 중심으로- / 이문성 2014  444
    165 18 인체실험 스포츠사회과학 연구에서 생명윤리의 문제: IRB의 적용 / 김동규 외 2015  443
    164 14 재생산 기술 한국 생명의료기술의 전환에 관한 연구 : 재생산기술로부터 생명공학기술로 / 하정옥 2006  441
    163 15 유전학 인체유래물에 기초한 지식재산권의 한계로서의 공서양속 / 이은영 2011  432
    162 1 윤리학 미국법의 현대적 과제 ; 미국의 인간배아줄기세포 연구의 규제 동향 / 김민우, 류화신 2015  432
    161 14 재생산 기술 법과 종교를 위한 공동체 윤리- 종교적 관점에서 본 배아의 생명권/유경동 2015  432
    » 15 유전학 유전자검사와 유전자치료에 관한 쟁점사항과 사회적 수용도 / 이인영 2005  428
    159 2 생명윤리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에 따른 기관생명윤리위원회 평가인증제도에 대한 고찰/김현철,김은애 2015  428
    158 1 윤리학 생명윤리법 제조과정에 있어서 정책갈등과 조정에 관한 연구 / 한성구 2004  426
    157 1 윤리학 생명과학기술의 발달에 따른 형사입법의 회고와 전망 / 이인영, 김성천 2007  426
    156 5 과학 기술 사회 지구적 생명정치와 위험의 개인화 : OIE의 BSE 위험 관리를 중심으로 / 하대청 2013  423
    155 2 생명윤리 생명윤리교육의 현황과 방향 연구 / 윤순애 2001  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