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5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광주가톨릭대학교 대학원 : 신학과 실천신학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727573 

말기환자 돌봄에 관한 연구 : 환자의 통증과 고통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are of Terminal Patients : Focused on Patients’ Pain and Suffering


  • 저자 : 박상현
  • 형태사항 : vi, 91 p. ; 26 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 김상용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광주가톨릭대학교 대학원 : 신학과 실천신학 2015. 2
  • 발행국 : 전라남도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15
  • 주제어 : 말기환자, 돌봄, 고통, 통증



초록 (Abstract)

인간은 죽음에로의 존재이다. 인간의 삶은 태어남 이후에 마지막 관문이라 할 수 있는 죽음을 맞이해야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인간은 경험하지 못한 것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과 공포심을 지니고 있다. 특히 죽음에 직면한 말기환자의 경우 소중한 삶의 마지막 순간을 절망 속에서 허비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우리 모두는 죽음 앞에 대면할 수 있도록 준비가 필요하며, 그 방편의 일환으로 ‘돌봄’에 관한 재고가 요청된다. 바로 여기서 말기환자를 위한 ‘돌보는 소명’에 관하여 생각해볼 필요성이 제기되는 것이다. 이 문제는 말기환자의 존재자체를 보는 것에서 시작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조력자는 그들이 침묵 안에서 몸부림치며 도움을 요청하는 절규를 듣고, 현실적이고 실천적인 돌봄의 대안을 찾아야 한다. 또한 그리스도인은 신앙 안에서 실현할 수 있는 돌봄을 외면해서는 안 되는 것이다.
죽음에 이르는 여정에서 말기환자의 통증과 고통은 육체적인 치료나 치유가 요구되는 것이 아니다. 말기환자에게 필요한 ‘치유’는 주어진 상황을 받아들이고, 자신에게 남아있는 시간동안 자신의 삶을 가치 있게 정리하면서 인간적인 존엄성을 지킬 수 있도록 동반해 주는 것이다. 이 통증과 고통은 그리스도인의 관점에서, 그리고 하느님과의 관계 안에서 올바로 해명될 수 있는 실재로서, 구원의 체험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체험은 하느님과의 관계를 통해 통증과 고통 너머로부터 도래하는 해방의 지점까지를 말한다. 그리고 이 생생한 체험은 통증과 고통으로부터의 탈출이 아니라, 고통을 통하여 임해오는 자유와 해방을 의미한다. 통증과 고통이 형벌이 아니라, 인간을 참회로 이끌고 회개의 길로 초대하는 사랑의 역동성 안에서 벌어지는 구원의 계기들이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통증과 고통이 인간의 힘으로 어쩔 수 없는 불편함이나 괴로움으로 환원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삶의 의미 곧, 구원의 중심을 바라보고 인정하게 하는 초월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겠다.
말기환자는 ‘전체 통증’을 겪고 있으므로 말기환자의 돌봄은 ‘총체적인 돌봄’의 실현이어야 한다. 사실 말기환자를 도움을 베풀어야 하는 ‘대상’으로서 규정하기 쉽다. 그러나 말기환자를 돌봄의 객체로서만 규정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할 수 있다. 말기환자가 요청하는 도움 혹은 조력자가 베푸는 돌봄의 손길은 각기 일방적인 형태가 아니라, 쌍방적으로 주고받는 지속적인 상호소통 아래에서 실현해야 한다. 말기환자와 조력자들이 서로 동등한 관계에서 상호보완적 관계를 맺는 돌봄이 요구되는 것이다.
우리는 말기환자도 인격의 한 주체로써 자신을 도와주는 모든 이들과 관계를 맺어가는 주체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말기환자와 조력자 모두 사랑 없이 살 수 없으며, 자기 자신을 타자에게 선물로 내어주는 사랑을 통하여 비로소 자기실현에 이를 수 있다. 말기환자와 조력자는 인간 존재가 겪어야 하는 모습, 즉 예수님께서 몸소 보여준 사랑의 실천, 죽음과 부활에 대한 희망을 보여준다. 조력자는 외적으로 드러나는 활동을 통해 자신을 내어주면서 타인을 향한 예수님의 구체적이며 실천적인 사랑을 말기환자에게 전해주는 것이다. 말기환자 또한 자신이 겪는 통증과 고통의 몸부림을 통해서 예수님께서 겪으신 수난, 죽음과 부활에 동참함으로써 인간에 관한 진실을 분명히 보여주고 있다고 하겠다. 그러므로 말기환자와 조력자는 그들이 맺고 있는 관계를 통하여 하느님의 현존과 사랑을 드러내어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ⅴ
  • I. 서론 1

    1. 연구 동기와 목적 1

    2. 연구 범위와 방법 2

    II. 말기환자에 대한 임상적 이해 4

    1. 말기환자에 대한 신체적 이해 4

    1. 1. 통증 증상 4

    1. 2. 호흡기 증상 5

    1. 3. 소화기 증상 6

    1. 4. 생식기 증상 7

    1. 5. 신경·정신계 증상 8

    1. 6. 림프부종 증상 9

    2. 말기환자에 대한 정서적 이해 : Kübler-Ross의 단계이론을 중심으로 11

    2. 1. 부정(Denial)과 고립(Isolation)의 단계 11

    2. 2. 분노(Anger)의 단계 12

    2. 3. 타협(Bargaining)의 단계 13

    2. 4. 우울(Depression)의 단계 14

    2. 5. 수용(Acceptance)의 단계 15

    3. 소결 16

    III. 말기환자의 통증 및 통증관리방안 18

    1. 말기환자의 통증 18

    1. 1. 통증의 정의 18

    1. 2. 통증의 발생기전 19

    1. 3. 통증의 원인 21

    1. 4. 통증의 조절 : 약물 사용 22

    1. 5. 통증관리 25

    2. 말기환자의 한계 상황에서 진통제 사용 28

    2. 1. 말기환자의 고통을 경감하는 다양한 방법 28

    2. 2. 말기환자의 중추신경계에 작용하는 진통제의 사용 28

    2. 3. 말기환자의 결정과 마약의 사용 29

    2. 4. 말기환자의 마약성 진통제 사용 문제 29

    3. 소결 31

    IV. 말기환자의 고통 32

    1. 말기환자의 고통 33

    1. 1. 고통의 정의 33

    1. 2. 고통에 관한 타(他)종교의 견해 34

    1. 3. 그리스도교의 고통관 : 성경에 관한 이해를 중심으로 38

    1. 4. 구원에 이르는 고통(Salvifici Doloris) 54

    2. 소결 59

    V. 말기환자에게 필요한 돌봄 60

    1. 말기환자를 위한 윤리적 대안 : 호스피스 60

    1. 1. 호스피스의 정의 60

    1. 2. 호스피스의 목적과 필요성 60

    1. 3. 호스피스 대상자 선정 및 사전(事前)동의 62

    1. 4. 호스피스 구성원의 역할 64

    2. 말기환자를 위한 그리스도인의 역할 67

    2. 1. 말기환자에게 다가섬 68

    2. 2. 말기환자와 함께함 70

    2. 3. 말기환자를 돌봄 72

    2. 4. 말기환자를 위로함 73

    2. 5. 유가족에 대한 배려 76

    3. 소결 79

    VI. 결론 81

    1. 말기환자의 ‘통증과 고통’ 81

    2. 말기환자의 ‘돌봄’ 81

    3. 말기환자와의 ‘관계 맺음’ 82

    참고 문헌 83


  • 《Abstract》 8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3828 22 동물복지 동물 관련 법제의 체계화를 위한 시론적 고찰/홍진희, 긴판기 2017  97
    3827 1 윤리학 광고 사전심의 제도의 위헌성에 대한 헌법적 고찰 - 의료기기 광고 사전심의 제도의 위헌성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 / 장석권 2018  97
    3826 9 보건의료 응급의료센터로 전원되는 노인환자의 의료정보 공유정도와 건강결과 / 김형준 2019  97
    3825 10 성/젠더 젠더 통제의 변화와 여성 노동자의 생활경험 / 김상숙 2018  97
    3824 20 죽음과 죽어감 마음챙김 명상 기반 죽음교육 커리큘럼 구성에 대한 탐색 / 문현공 2018  97
    3823 18 인체실험 Costs and Benefits of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 Central Institutional Review Board 2010  98
    3822 19 장기 조직 이식 Long-term medical risks to the living kidney donor 2015  98
    3821 19 장기 조직 이식 Challenging the Sanctity of Donorism: Patient Tissue Providers as Payment-Worthy Contributors 2015  98
    3820 18 인체실험 Previously unidentified duplicate registrations of clinical trials: an exploratory analysis of registry data worldwide/Gert van Valkenhoef 2016  98
    3819 2 생명윤리 생명을 둘러싼 헌법적 문제 (상) / 김학성 2014  98
    3818 18 인체실험 공동임상시험심사위원회의 운영 실태와 조기정착방안 연구 / 김숙현 2011  98
    3817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 관련 법 정책 발전의 의의와 향후 과제"에서의 전문용어 사용에 대한 의견 / 손영수 2010  98
    3816 9 보건의료 병원외래환자의 약국선택권 / 이용균 2011  98
    3815 5 과학 기술 사회 제4차 산업혁명, 지식재산 정책의 변화 / 손수정 2016  98
    3814 5 과학 기술 사회 소셜미디어를 통한 사회자본 형성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이병혜 2016  98
    3813 14 재생산 기술 인공적 생식에 관한 법제 연구 / 박상수 2003  98
    3812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환자를 위한 퇴원 전 집단교육 프로그램 개발 2017  98
    3811 15 유전학 유전자원 및 전통지식에 관한 WIPO에서의 논의와 우리의 대응방안 / 곽충목 2017  98
    3810 2 생명윤리 생명윤리및안전에관한법률상 기관생명윤리위원회의 구성과 운영 / 이영규 2017  98
    3809 19 장기 조직 이식 조혈모세포 이식 전 환자의 사회적 지지, 희망, 불안 및 우울의 관계/배가령, 김수 2016  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