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5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한양대학교 대학원 : 법학과 (박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667457 

의사의 설명의무위반과 손해배상범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Doctors' Violation of the Informed Consent & The Scope of the Compensation for Damages


  • 저자 : 손연우
  • 형태사항 : xi, 328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 권대우
    권두 국문요지, 권말 Abstract 수록
    참고문헌: p. 304-325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박사)-- 한양대학교 대학원 : 법학과 2015. 2
  • 발행국 : 서울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15
  • 주제어 : 법학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 론 1
  • 제 1 절 연구의 목적 1

    제 2 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8

    Ⅰ. 연구의 범위 8

    Ⅱ. 연구의 방법 9

    제 2 장 의료계약과 설명의무 13

    제 1 절 의료계약 13

    Ⅰ. 의료행위 13

    1. 의학과 의료의 구별 13

    2. 의료행위의 의미 13

    3. 의료행위의 법적 의의 16

    4. 검 토 18

    Ⅱ. 의료계약 20

    1. 의의 20

    2. 의료계약의 성질 20

    3. 의료계약의 성립 23

    4. 의료계약의 내용 24

    Ⅲ. 의료계약의 민법상 지위 24

    1. 위임계약설 26

    2. 준위임계약설 28

    3. 고용계약설 28

    4. 도급계약설 30

    5. 비전형계약설 31

    6. 소 결 32

    Ⅳ. 의료행위 및 의료소송의 특징 33

    1. 보호법익의 최고성과 고도ㆍ최선의 주의의무 33

    2. 의료행위의 재량성ㆍ밀실성 33

    3. ‘과오’ 판단의 어려움과 한계 34

    4. 피해자 보호 35

    5. 소송절차에서의 구체적 특징 35

    제 2 절 의사의 설명의무 36

    Ⅰ. 의 의 36

    Ⅱ. 설명의무의 연혁적 배경 38

    Ⅲ. 법적 근거 40

    1. 헌법상 근거 40

    2. 민법상 근거 42

    3. 의료관련법상의 근거 48

    Ⅳ. 환자의 ‘동의’ 57

    1. ‘동의’ 개념의 중요성 57

    2. 설명의무 법적 성질의 지표로서의 ‘동의’ 59

    3. 설명의무에서의 ‘동의’의 재검토 61

    Ⅴ. 설명의무의 법적 성질 64

    1. 서 언 64

    2. 학 설 66

    3. 소 결 72

    Ⅵ. 설명의무의 주체와 상대방 73

    1. 설명의무의 주체 73

    2. 설명의무의 상대방 79

    Ⅶ. 설명의무의 유형 90

    1. 서언 91

    2. 진료를 위한 설명의무 91

    3. 자기결정을 위한 설명의무 94

    4. 자기결정을 위한 설명의무의 유형 96

    제 3 절 의료계약과 설명의무에 대한 새로운 접근 106

    Ⅰ. 의료계약에 대한 재검토 106

    1. 계약법상 의사의 설명의무 106

    2. 계속적 계약인가의 여부 - 세분화된 연속적 의료계약 108

    3. 의료계약의 세분화 112

    4. 자기결정권의 개입에 의한 구체적 의료계약 115

    Ⅱ. 일반 부수의무와의 구별 116

    1. 부수의무의 의의 116

    2. 부수의무 태양과 위반의 효과 117

    3. 설명의무와 진찰의 대가성 119

    4. 의사의 설명의무와의 구별 122

    Ⅲ. 주된 급부의무로서의 의사의 설명의무 125

    1. 서 언 125

    2. 주된 급부의무로서의 설명의무 126

    3. 검토 132

    제 4 절 소 결 133

    제 3 장 설명의무위반과 손해배상 138

    제 1 절 손해배상의 객체 138

    Ⅰ. 학 설 138

    1. 정신 침해설 138

    2. 신체침해설 139

    3. 규범목적설 142

    4. 상당인과관계설 143

    Ⅱ. 판 례 144

    Ⅲ. 소 결 146

    제 2 절 채무불이행책임 147

    Ⅰ. 서 언 147

    Ⅱ. 주된 급부의무로서의 설명의무에 관한 계약법상 구조 148

    1. 서 언 148

    2. 요건 151

    3. 주된 급부의무 위반에 따른 해제권 156

    Ⅲ. 귀책사유 160

    Ⅳ. 인과관계 161

    Ⅴ. 손해배상책임의 범위 163

    제 3 절 불법행위책임 163

    Ⅰ. 서 언 163

    Ⅱ. 구성요건 164

    Ⅲ. 귀책사유 165

    Ⅳ. 인과관계 165

    Ⅴ. 손해배상책임의 범위 166

    제 4 절 채무불이행책임과 손해배상책임의 비교 167

    Ⅰ. 과 실 168

    Ⅱ. 과실의 입증책임 169

    Ⅲ. 의료보조자의 고의ㆍ과실 171

    Ⅳ. 면책약관의 효력 172

    Ⅴ. 손해액산정과 과실상계 172

    Ⅵ. 소멸시효 173

    제 5 절 청구권 경합과 그 밖의 책임 175

    Ⅰ. 채무불이행책임과 불법행위책임의 청구권 경합 175

    Ⅱ. 그 밖의 민법상 책임 177

    1. 사무관리상의 책임 177

    2. 사용자 책임 178

    제 4 장 손해배상의 범위 179

    제 1 절 설명의무위반으로 인한 손해 179

    Ⅰ. 개 념 179

    Ⅱ. 손해의 분류 181

    1. 재산적 손해 181

    2. 정신적 손해 183

    제 2 절 학설의 태도 184

    Ⅰ. 신체침해설(전손해설) 185

    Ⅱ. 정신침해설(위자료설) 186

    제 3 절 대법원의 기본적 입장 188

    Ⅰ. 손해배상범위의 기준 188

    Ⅱ. 의사의 설명의무위반과 위자료 190

    제 4 절 판례의 구체적 태도 196

    Ⅰ. 정신적 손해만을 인정한 예 196

    1. 후두신경 절단 수술 196

    2. 자궁적출수술 201

    3. 솔루메드롤 투약사건 202

    4. 관상동맥 우회술 사건 204

    5. 개심수술 사건 207

    6. 백내장수술 후 망막바리 사건 208

    7. 스티븐스-존슨증후군 사건 210

    8. 초오 사건 212

    Ⅱ. 재산상 손해와 정신적 손해를 모두 인정한 예 214

    1. 미골통 사건 214

    2. 다한증 사건 216

    3. 스티븐스-존슨증후군 사건 222

    4. 개심수술 사건 223

    5. 에탐부톨(결핵약) 사건 229

    6. 야구방망이 사건 231

    7. 종아리퇴축술 사건 234

    8. 에탐부톨 사건 2 236

    제 5 절 판례의 검토 238

    Ⅰ. 판례의 일반적 태도 238

    Ⅱ. 우리 판례의 손해배상범위에 대한 문제점 239

    제 5 장 비교법적 검토와 입법의 제안 242

    제 1 절 네덜란드 242

    Ⅰ. 연혁 242

    Ⅱ. 주요 내용 243

    1. 서 언 243

    2. 의료계약 일반 주요 조항 244

    3. 설명의무 관련 조항 250

    제 2 절 독일 255

    Ⅰ. 연혁 255

    Ⅱ. 주요 내용 256

    1. 서언 256

    2. 의료계약 일반 주요 조항 257

    3. 설명의무 관련 조항 263

    제 3 절 적용현실과 입법의 시도 268

    Ⅰ. 실질적 환자의 권리 구제 268

    1. 의료소송시 제기시의 제반비용 269

    2. 판결전문에서 말하는 소송비용의 부담 272

    Ⅱ. 의사의 책임제한 273

    1. 기준의 모호 273

    2. 민법 제765조 제1항 전단 274

    3. 민법 제765조 제1항 후단 276

    4. 의사의 책임제한의 기준 277

    5. 소 결 278

    Ⅲ. 보충적 수단으로서의 설명의무 281

    Ⅳ. 의료계약과 설명의무의 법제화 284

    1. 서 언 284

    2. 법무부의 ‘의사의 설명의무’ 편입제안 286

    3. 제19대 국회의 의료법 개정 노력 290

    Ⅴ. 입법안의 제안 - 설명의무의 민법편입 제안 - 298

    제 6 장 결 론 300

    부록. 주요 판례의 정리 309

    ABSTRACT 36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728 5 과학 기술 사회 동아시아 생명과학의 발전과 바이오시민권의 형성가능성 / 김기흥 2012  526
    727 14 재생산 기술 <네버렛미고>를 통해본 복제 인간 윤리 / 김미혜 2017  526
    726 14 재생산 기술 한국 생식의료의 전개과정에 관한 연구 : 소극적 정책보조자에서 산업개척자로 / 박종헌 2008  527
    725 18 인체실험 생명윤리원칙에 근거한 인간대상연구의 개인정보보호방안 모색 / 백소영 2016  527
    724 12 낙태 생명권에 관한 헌법적 논의 / 김민우 2013  527
    723 20 죽음과 죽어감 일 대학병원 중환자실 입원 노인의 연명치료 현황 / 박수현 2016  527
    722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암환자의 혈중 Visfatin 농도와 식욕부진의 관계 / 이소진, 이준용, 최윤선, 이준영 2014  528
    721 22 동물복지 피터 싱어 동물해방론의 도덕교육적 의미 / 김대현 2014  528
    720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성년후견인의 동의권에 관한 연구 / 김나래 2014  529
    719 9 보건의료 국민건강보험의 재정안정화 방안에 관한 연구 / 강혜경 2004  529
    718 12 낙태 낙태에 있어 사람의 시기와 낙태의 허용범위에 관한 형사법적 고찰 / 김정오 2016  530
    717 20 죽음과 죽어감 Euthanasia : 좋은 죽음에 관한 기독교 생명윤리학적 연구 / 허반석 2015  530
    716 5 과학 기술 사회 공학윤리: 문제해결 중심의 접근과 도덕적 추론/이재숭 2013  530
    715 19 장기 조직 이식 소아 심장이식 환자들에서 이식 후 심박동수 변이 양상 / 장원경 2012  530
    714 20 죽음과 죽어감 동물실험 연구자의 정신적 스트레스에 관한 예비 연구 / 모효정 2016  530
    713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의 돌봄 / 엄영란 2014  531
    712 14 재생산 기술 생명의료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른 여성의 재생산권리에 관한 연구 : 생식세포 기증 및 보조생식술에 관한 법과 제도를 중심으로 / 김은애 2008  531
    711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 결정에 대한 법 제정과 현실 / 김중곤 2014  531
    710 5 과학 기술 사회 중앙사고수습본부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간 지휘·협력체계 개선 방안 연구 : 세월호, 메르스, AI 대응사례를 중심으로 / 황요한 2018  531
    709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동의과정에서 피험자 보호 방안 / 이연진 2013  5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