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5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호남신학대학교 대학원 : 기독교윤리학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682941 

고령화시대 노인인권에 대한 기독교윤리적 고찰 = Chriatian Ethics Study about the Rights of the Elderly of Aging Society


  • 저자 : 이연순
  • 형태사항 : iii, 62 p. ; 26 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 김형민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호남신학대학교 대학원 : 기독교윤리학 2015. 2
  • 발행국 : 광주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15
  • 주제어 : 고령화시대 노인인권에 대한 기독교윤리적 고찰


초록 (Abstract)

오늘날 고령화는 도덕적 가치나 명령만으로 해결할 수 없는 새로운 사회적 문제가 되었다. 노인에 대한 학대, 가난, 자살 등 노인문제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다. 노령화는 인간의 가치와 존엄을 존중하는 인권교육과 국가정책의 변화를 통해 해결해야 할 사회적 과제이다. 노인인권을 다루는 두 방법론이 있다. 첫째는 ‘탄압 패러다임’이다. 탄압 패러다임이란 노인인권의 문제를 노인들의 당하고 있는 고통에 맞추어 연구하려는 방법이다. 둘째는 ‘웰빙 패러다임’이다 웰빙 패러다임은 노인인권의 문제의 중심을 노인이 행복할 수 있는 길이 무엇인지 찾는데 두고 있다. 특히 노인들의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게 위해서 어떤 기본 욕구가 충족되어야 하는지에 관심을 두고 연구한다. 논문은 노인인권의 이론적 근거를 웰빙 패러다임에 따라 논증하였다.
1장 서론에 이어 제2장에서는 노인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관점을 서술했다. ‘네 부모를 공경하라’는 제5계명은 기독교 노인학의 신학적 근거가 된다. 제3장에서는 현대복지사회에서 인권이념이 갖는 여덟 가지 가치를 제시하였다. 제4장에서는 누스바움의 ‘역량이론’에 따라 ‘웰빙 패러다임’으로서의 노인인권의 문제를 연구하였다. 누스바움은 인간의 도덕적 능력보다 생명에 대한 의지와 같이 인간의 다양한 기본욕구에 근거해 인권의 이론적 근거를 논증하였다. 역량이론은 이웃사랑의 가치를 중시한다는 점에서 노인인권을 이해하는데 좋은 신학적 길잡이가 된다. 제5장에서는 노인인권의 쟁점들(학대, 가난, 성, 자살)을 논구하였다. 제6장에서는 ‘웰빙 패러다임’에 따라 노인인권을 연구할 때 어떤 장점이 있는지 제시하였다.
고령화 사회는 우리사회가 봉착한 현실의 문제일 뿐만 아니라 전 인류가 짊어져야 할 미래사회의 과제이다. 고령화가 미래사회의 걸림돌이 되지 않으려면 노인의 문제를 방치해서는 안 된다. 노인도 사람답게 살아갈 수 있는 사회가 되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 노인의 문제를 인권의 차원에서 연구하는 것이 중요하다. 노인들의 인권이 실현되고 노인들도 행복을 느끼는 사회를 만들어가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러나 인권담론은 특성상 ‘희망의 담론’이다. 잘못된 현실에 대한 비판에만 초점을 맞추지 않고 앞으로 나아가야 할 미래를 전망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1
  • A. 문제 제기 및 연구의 목적 1

    1. 문제 제기 1

    2. 연구 목적 4

    B. 연구 방법과 연구의 범위 6

    1. 연구방법 6

    2. 연구범위 8

    II. 노인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이해 10

    A. 노인학과 노인신학 10

    B. 노인에 대한 윤리적 이해 13

    1. 이중적 시각 13

    2. 제5계명의 윤리 14

    3. 노인과 가정윤리 17

    III. 고령사회와 노인인권 19

    A. 고령사회의 인권현실 19

    B. 인권의 분류 21

    C. 인권의 기본적 가치 23

    IV. 웰 빙 패러다임과 노인인권 26

    A. 인간의 기본욕구와 인권 26

    1. 욕구와 인권 26

    2. 역량이론 28

    B. 노인인권의 역사와 영역 35

    1. 노인인권의 역사 35

    2. 노인인권의 개념 38

    3. 노인인권정책 40

    V. 노인인권의 사회적 쟁점 43

    A. 학대와 인권 43

    B. 가난과 인권 45

    C. 성과 인권 48

    D. 자살과 인권 51

    E. 노인의 기본욕구와 인권 53

    VI. 결론 5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668 20 죽음과 죽어감 생전유언, 의료지시서, 자연사법(natural death act) 입법의 사회적 함의 / 이인영 2008  64754
    4667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추정적 의사 / 김필수 2012  61124
    4666 8 환자 의사 관계 자율성 존중의 원칙 : 정치적 이념과 철학적 이념 / 최경석 2015  52562
    4665 14 재생산 기술 인공수정의 입법에 관한 연구 / 이정식 2000  52550
    4664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고통에 대한 의사의 정당한 태도 / 유호종 2004  46027
    4663 13 인구 한국의 저출산 원인과 대응정책에 관한 연구 / 김희경 2014  27932
    4662 9 보건의료 의료기기 부작용 피해구제 제도 도입방안 연구 / 이민정 외 2017  24788
    4661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용역에 대한 부가가치세 면세폐지의 타당성 검토 / 김찬섭 2016  23663
    4660 9 보건의료 임종간호수행 요양병원간호사의 소진 구조 모형 / 김원순 2017  22495
    4659 18 인체실험 일본의 「임상연구법」이 한국의 관련 규제에 주는 시사점 / 김보배 2018  22162
    4658 12 낙태 미국에서의 낙태 규범과 범죄와의 상관관계 분석연구에 대한 고찰 / 이인영 2012  20337
    4657 8 환자 의사 관계 독일의 환자사전의사표시법 / 이석배 2010  19874
    4656 12 낙태 낙태죄의 현실적응력 : 의사의 면허와 관련하여 / 김혜경 2007  19061
    4655 20 죽음과 죽어감 영화 「씨 인사이드(2004. 스페인)」와 「아무르(2012.프랑스, 오스트리아, 독일 합작)」 그리고 「행복한 엠마, 행복한 돼지 그리고 남자(2006.독일)」에 나타난 죽음의 문제-안락사 및 존엄사의 역사 및 시대적 배경을 중심으로 / 전경화 2016  18719
    4654 4 보건의료 철학 임상시험 코디네이터로 근무하는 간호사의 근무환경, 직무만족,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김슬기 2018  18489
    4653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신장 공여자의 공여 후 적응 경험 / 강다해솜 외 2016  18233
    4652 9 보건의료 119 구급대 이용의 적절성에 관한 연구 / 배현아, 유지영, 어은경, 정구영 2004  16903
    4651 14 재생산 기술 미토콘드리아DNA 대체요법의 법적 고찰 -세칭 “세 부모 아이” 체외수정시술의 규제현황과 향후 임상적용의 규제방향- / 이민규 외 2017  16750
    4650 20 죽음과 죽어감 청소년 자살률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적 요인 / 박성준 2019  16016
    4649 22 동물복지 대체 시험법을 활용한 줄기세포 화장품의 자극성 평가 / 오한슬 외 2016  153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