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1
발행년 : 2015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호남신학대학교 대학원 : 기독교윤리학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682941 

고령화시대 노인인권에 대한 기독교윤리적 고찰 = Chriatian Ethics Study about the Rights of the Elderly of Aging Society


  • 저자 : 이연순
  • 형태사항 : iii, 62 p. ; 26 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 김형민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호남신학대학교 대학원 : 기독교윤리학 2015. 2
  • 발행국 : 광주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15
  • 주제어 : 고령화시대 노인인권에 대한 기독교윤리적 고찰


초록 (Abstract)

오늘날 고령화는 도덕적 가치나 명령만으로 해결할 수 없는 새로운 사회적 문제가 되었다. 노인에 대한 학대, 가난, 자살 등 노인문제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다. 노령화는 인간의 가치와 존엄을 존중하는 인권교육과 국가정책의 변화를 통해 해결해야 할 사회적 과제이다. 노인인권을 다루는 두 방법론이 있다. 첫째는 ‘탄압 패러다임’이다. 탄압 패러다임이란 노인인권의 문제를 노인들의 당하고 있는 고통에 맞추어 연구하려는 방법이다. 둘째는 ‘웰빙 패러다임’이다 웰빙 패러다임은 노인인권의 문제의 중심을 노인이 행복할 수 있는 길이 무엇인지 찾는데 두고 있다. 특히 노인들의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게 위해서 어떤 기본 욕구가 충족되어야 하는지에 관심을 두고 연구한다. 논문은 노인인권의 이론적 근거를 웰빙 패러다임에 따라 논증하였다.
1장 서론에 이어 제2장에서는 노인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관점을 서술했다. ‘네 부모를 공경하라’는 제5계명은 기독교 노인학의 신학적 근거가 된다. 제3장에서는 현대복지사회에서 인권이념이 갖는 여덟 가지 가치를 제시하였다. 제4장에서는 누스바움의 ‘역량이론’에 따라 ‘웰빙 패러다임’으로서의 노인인권의 문제를 연구하였다. 누스바움은 인간의 도덕적 능력보다 생명에 대한 의지와 같이 인간의 다양한 기본욕구에 근거해 인권의 이론적 근거를 논증하였다. 역량이론은 이웃사랑의 가치를 중시한다는 점에서 노인인권을 이해하는데 좋은 신학적 길잡이가 된다. 제5장에서는 노인인권의 쟁점들(학대, 가난, 성, 자살)을 논구하였다. 제6장에서는 ‘웰빙 패러다임’에 따라 노인인권을 연구할 때 어떤 장점이 있는지 제시하였다.
고령화 사회는 우리사회가 봉착한 현실의 문제일 뿐만 아니라 전 인류가 짊어져야 할 미래사회의 과제이다. 고령화가 미래사회의 걸림돌이 되지 않으려면 노인의 문제를 방치해서는 안 된다. 노인도 사람답게 살아갈 수 있는 사회가 되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 노인의 문제를 인권의 차원에서 연구하는 것이 중요하다. 노인들의 인권이 실현되고 노인들도 행복을 느끼는 사회를 만들어가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러나 인권담론은 특성상 ‘희망의 담론’이다. 잘못된 현실에 대한 비판에만 초점을 맞추지 않고 앞으로 나아가야 할 미래를 전망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1
  • A. 문제 제기 및 연구의 목적 1

    1. 문제 제기 1

    2. 연구 목적 4

    B. 연구 방법과 연구의 범위 6

    1. 연구방법 6

    2. 연구범위 8

    II. 노인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이해 10

    A. 노인학과 노인신학 10

    B. 노인에 대한 윤리적 이해 13

    1. 이중적 시각 13

    2. 제5계명의 윤리 14

    3. 노인과 가정윤리 17

    III. 고령사회와 노인인권 19

    A. 고령사회의 인권현실 19

    B. 인권의 분류 21

    C. 인권의 기본적 가치 23

    IV. 웰 빙 패러다임과 노인인권 26

    A. 인간의 기본욕구와 인권 26

    1. 욕구와 인권 26

    2. 역량이론 28

    B. 노인인권의 역사와 영역 35

    1. 노인인권의 역사 35

    2. 노인인권의 개념 38

    3. 노인인권정책 40

    V. 노인인권의 사회적 쟁점 43

    A. 학대와 인권 43

    B. 가난과 인권 45

    C. 성과 인권 48

    D. 자살과 인권 51

    E. 노인의 기본욕구와 인권 53

    VI. 결론 5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1 20 죽음과 죽어감 기독교 윤리학적 관점에서 본 안락사에 대한 문제 / 이영태 2003  1363
    20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고찰 / 장동춘 2010  1314
    19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조명 / 김평관 2005  1152
    18 20 죽음과 죽어감 청소년 죽음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 연구 / 박현정 2016  1119
    17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에 대한 기독교적 입장 및 대안 / 박상중 2003  1048
    16 14 재생산 기술 생명복제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성찰 : 인간복제에 대한 윤리적, 법적 규제를 중심으로 / 구홍일 2007  930
    15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고찰 / 김상섭 2001  892
    14 14 재생산 기술 생식과 비배우자 인공수정에 관한 기독교 윤리적 이해 / 양혜란 1995  856
    » 9 보건의료 고령화시대 노인인권에 대한 기독교윤리적 고찰 / 이연순 2015  671
    12 2 생명윤리 기독교 생명윤리에 관한 윤리적 판단의 원리 / 권혁남 2016  649
    11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관한 기독교적 고찰 : 영남지역 신학도들이 이해한 안락사에 대한 윤리적 고찰 / 안효욱 2004  636
    10 12 낙태 임신중절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고찰 / 목진수 2014  593
    9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대한 생명의료윤리학적 고찰 / 주홍덕 1997  565
    8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와 장기이식에 대한 기독교 윤리학적 이해 / 박희찬 1998  485
    7 1 윤리학 죽음에 관한 기독교 윤리적 탐구 : 케이건(Shelly Kagan)과 몰트만(Jürgen Moltamm) 비교와 케이건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중심으로 / 송화준 2015  420
    6 12 낙태 태아를 위한 기독교 윤리학적 책임과제 / 강요한 2002  407
    5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문제에 대한 기독교 여성윤리적 이해 / 이승리 1997  404
    4 2 생명윤리 기독교대안학교 운영체계안 제시 : 생명공동체윤리사상에 입각한 교육을 중심으로 / 류미아 2015  360
    3 14 재생산 기술 21세기 생명복제에 관한 기독교 윤리적인 견해 / 한경옥 2006  349
    2 1 윤리학 생명존중문화를 고양시키기 위한 기독교 책임윤리 : 한스 요나스와 윌리엄 슈바이커를 중심으로 / 홍동엽 2016  3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