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5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동아대학교 대학원 : 생명의료윤리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842834 

공동IRB의 유형분석과 한국에서의 적용 방안 연구 = Analysis and Suggestion for Operating the Joint Institutional Review Boards in Korea


  • 저자 : 김대건
  • 형태사항 : 29 p. ; 26 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 이상목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동아대학교 대학원 : 생명의료윤리학과 2015. 8
  • 발행국 : 부산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15
  • 주제어 : 공동IRB, 다기관 공동연구, IRB 상호인정제, Western IRB


초록 (Abstract)

KGCP(임상시험관리기준)의 개정, IND제도의 도입, 임상시험 수의 급격한 증가, 다기관 임상시험의 일반화 등 국내 임상시험의 발전 속에 IRB의 역할과 범위도 함께 성장해왔다. 또한, 2013년 전부 개정된‘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의 시행은 인간대상연구 범위의 확대와 더불어 의약품 임상시험의 심의를 주 업무로 하였던 IRB의 업무범위를 인간대상연구 전반에 걸치도록 광범위하게 확대시켰다.
임상시험 수행 건수의 증가 및 다기관 임상시험의 증가에 따라 국내에서는 같은 연구 프로토콜을 심의하는 각 기관 IRB의 중복심사를 개선하고 연구 수행 시간 지연과 이에 따른 불필요한 자원 및 인적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공동 IRB 운영의 활성화에 대한 노력을 기울었으며, ‘공동 IRB’와 ‘위탁심의’가 KGCP에 포함되었다.
법적인 제도가 마련됨에 따라 해외의 공동IRB 사례 분석을 통한 국내 공동 IRB 도입이 시작되었다. 그러나 국내에 적합하다 판단되었던 공동 IRB의 형태는 예상하지 못했던 문제점들을 드러내게 되었고, 현재의 시스템으로는 안정적인 운영이 불가할 것이며 자립하여 지속가능하지 못할 것이라는 의문점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동 IRB의 유형을 분석하고 이러한 분석을 통해서 한국에 적합한 공동 IRB로서 IRB 상호인정제나 영리기관 IRB를 제안하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Ⅱ. 공동 IRB의 도입 및 개념 4

    1. 공동 IRB의 도입 4

    2. 공동 IRB의 개념 6


  • Ⅲ. 공동 IRB의 유형 8
  • 1. 국가 주도 형태의 공동 IRB 8

    2. 상호인정제 형태의 공동 IRB 9

    2. 사설기관형태(영리법인형태)의 공동 IRB 14


    Ⅳ. 한국에 적합한 공동 IRB의 방향 18

    1. 식약처의 공동 IRB 형태 18

    2. IRB 상호인정제 모델 20

    3. 영리기관 IRB 모델 21

    4. 독립적 공동 IRB 모색 24


    Ⅴ. 결 론 26

    참고문헌 29

    Abstract 3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3408 15 유전학 인체 유래 생물학적 물질의 소유권 - 사체를 중심으로 -/정규원 2017  117
    3407 1 윤리학 인공지능 및 사이버휴먼 시대의 윤리적 논쟁과 규범윤리의 요청 / 김광연 2018  117
    3406 8 환자 의사 관계 제소 전 의료분쟁 해결에 관한 연구 : 한국소비자원 의료분쟁 조정을 중심으로 / 김경례 2012  117
    3405 10 성/젠더 중국의 인구정책변화와 혼인출산 동향 / Ma Chunhua 2019  117
    3404 18 인체실험 인체유래물의 이용과 형사법적 규제 / 최민영 2018  117
    3403 9 보건의료 무면허의료행위에 대한 형사법적 쟁점 - 한의사의 초음파기기 사용을 중심으로 -/장준혁 2014  118
    3402 20 죽음과 죽어감 [특별기고] 생명말기에 관한 논쟁과 인격주의 생명윤리/곤잘로 미란다 2016  118
    3401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을 통한 비본질주의적 사유에 대한 의철학적 전망 / 김준혁 2016  118
    3400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과 로봇 미래방향과 4차산업혁명에 따른 신사업 / 손진호 2016  118
    3399 9 보건의료 의료광고의 표현범위에 관한 연구 : 의사와 소비자의 태도조사를 중심으로 / 최선호 2004  118
    3398 9 보건의료 의료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연구 / 우예순 2008  118
    3397 9 보건의료 한국 바이오의약 산업과 발전방향 / 김성천 2009  118
    3396 14 재생산 기술 인공자궁 등 첨단의료기술에 근거한 체외배아의 법적지위 고찰/유지홍 2016  118
    3395 13 인구 국내외 정책 환경을 감안한 다문화가족정책 조정방안: 다문화인식개선사업 재고와 주류화 / 김혜순 2017  118
    3394 1 윤리학 저작권침해소송에서 저작물성 여부에 관한 중간판결(中間判決)의 의미와 실효적 운용방안 /차상육 2018  118
    3393 9 보건의료 임상시험 대상자 관리를 위한 모바일 웹 개발 / 고진경 2018  118
    3392 4 보건의료 철학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자신감 및 교육요구도 / 장난순 외 2018  118
    3391 9 보건의료 위암 한약제제 임상시험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한약제제 무작위배정 대조군 임상시험 고찰 / 한가진 외 2017  118
    3390 17 신경과학 신경과학 시대의 규범윤리학 : 도덕적 설명은 도덕적 정당화를 대체할 수 있는가?/김남주 2018  118
    3389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의 자기결정권에 대한 『주역』의 대안적 사유 고찰 / 안승우 2019  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