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5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 신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640944 

기독교대안학교 운영체계안 제시 : 생명공동체윤리사상에 입각한 교육을 중심으로


  • 저자 : 류미아
  • 형태사항 : ii, 74 p. ; 26 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 박상진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 신학과 2015. 2
  • 발행국 : 서울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15
  • 주제어 : 기독교교육, 대안학교, 대안교육, 생명공동체윤리, 생명



초록 (Abstract)

생명공동체정신의 부재로 침몰하는 한국사회를 일으키기 위해 더디더라도 현 교육 속에 생명을 불어넣고 공동체성을 깨우는 것이 함께 공생할 수 있는 대안이다. 이러한 교육은 상대방을 “공동체 내의 사람(person in community)” 으로서 마주할 수 있게 해주며 타인의 생명에 공공의 책임을 가지게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생명공동체윤리를 고찰하고 이를 발현시키는 기독교대안학교 운영체제를 연구함으로써 한국사회를 ‘우리사회’로 전환시키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A. 문제 제기 및 연구목적 1

    B. 연구 범위와 방법 4

    Ⅱ. 생명공동체윤리 - 5

    A. 생명공동체윤리와 성서와 교육의 연관관계 - 5

    1. 성서 속에 나타난 생명공동체윤리 - 5

    a. 생명 - 5

    b. 하나님의 우리의식속에 나타난 생명공동체 윤리 - 7

    2. 교육 속에 나타난 생명공동체윤리 10

    B. 한국교육사 속에 나타난 생명공동체윤리 - 14

    1. 현대한국사회가 한국교육의 역사성을 회복해야하는 필요성 - 15

    2. 한민족의 교육이념에 드러난 생명공동체성 17

    Ⅲ. 현대한국교육에 필요한 생명공동체윤리 20

    A. 교육의 역할 변화에 따른 생명공동체정신 붕괴 - 21

    B. 포스트모던 자본주의 사회 속에서 생명공동체윤리 약화 25

    C. 현대한국교육의 생명공동체윤리의 경시에 따른 결과와 대안적 교육의 필요성 - 28

    Ⅳ. 한국의 대안교육 - 33

    A. 대안학교의 발생 배경과 역사 - 33

    B. 한국대안교육 속에 나타난 생명공동체윤리 - 36

    1. 위대한 평민을 기르는 풀무농업기술학교 36

    a. 교육목표 - 38

    b. 교육성과 및 미래적 방향 - 40

    2. 코이노니아를 지향하는 사랑방공동체학교 - 42

    a. 교육특징 - 43

    b. 교육성과 및 미래적 방향 45

    3. 생명평화를 일구는 아름다운마을공동체 밝은누리움터 - 46

    a. 교육특징 - 46

    b. 교육성과 및 의의 48

    V. 기독교대안학교 운영체계안 제시: 생명공동체윤리사상에 입각한 교육을 중심으로 - 49

    A. 교육이념 - 49

    B. 교육목표 - 50

    1. 서민(庶民)이 중심 - 50

    2. 장이를 기르는 학교 - 52

    3. 사색, 자립, 공생을 실천 하는 영성 54

    4. 다름으로 우리를 가르치다 - 55

    5. 건축과 환경이 곧 가르침이다 57

    6. 한반도 고유의 윤리와 성서의 윤리가 만나는 교육 - 58

    7. 지역 안에 학교, 학교 안에 지역 58

    8. 작은 학교, 생태교육 59

    C. 생명공동체윤리를 추구하는 교과과정 및 학습방법 - 61

    1. 교과목 62

    a. 기본교과목 62

    b. 필수활동 - 62

    c. 자치활동 - 63

    2. 운영방법 및 입학기준 63

    D. 교사 64

    1. 교사인원 및 급여제도 64

    2. 지원 자격 - 64

    E. 생활수칙 및 학교시설 65

    VI. 요약 및 제언 65

    참고문헌 목록 6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028 1 윤리학 노년기 삶의 질에 대한 연구 / 권미경 2018  566
    4027 5 과학 기술 사회 선택에 관여하는 인공지능이 사용자 평가에 미치는 영향 / 하대권 2019  565
    4026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환자의 가족지지. 자기효능감과 자가간호이행과의 관계 / 정승명 2004  565
    4025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대한 생명의료윤리학적 고찰 / 주홍덕 1997  565
    4024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준비교육의 현황과 과제 / 이이정 2016  564
    4023 20 죽음과 죽어감 장기요양 시설 사회복지사의 사전의료의향서 지식 및 노인환자 임종의료결정에서의 역할 이해도 / 한수연 2015  564
    4022 14 재생산 기술 수정란과 배아의 지위에 관한 윤리적 고찰 / 김광연 2016  563
    4021 5 과학 기술 사회 의료 관련 발명의 특허법적 보호와 쟁점 / 김원준 2012  563
    4020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 이식 후 조기 수술적 합병증의 99mTc-MAG3 신장 스캔 / 김인수 2005  562
    4019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철학에서 에디트 슈타인 사상의 의미 연구 - 죽음과 죽어감 그리고 사랑과 비움의 영성을 중심으로 - / 이은영 2015  562
    4018 20 죽음과 죽어감 미국의 존엄사법과 영국의 조력자살법안에 대한 비교법적 고찰 / 이희훈 2015  562
    4017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계약에 관한 고찰 / 민경매 2003  561
    4016 8 환자 의사 관계 의학적 의사결정으로써 공동의사결정 실현을 위한 환자의사결정도구(PtDAs) 연구 / 이은영 2014  561
    4015 20 죽음과 죽어감 법정책학연구논문 ; 연명치료 중단 문제의 해결방안 / 조홍석 2015  560
    4014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대한 윤리학적 고찰 / 조병필 2005  556
    4013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가 낳은 자녀에 대한 친양자 입양 / 전혜정 2011  556
    4012 20 죽음과 죽어감 임상간호사의 인문학적 소양, 호스피스 인식 및 영성이 임종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조계화 외 2015  555
    4011 14 재생산 기술 남성의 시선에 갇힌 여성들 / 이민희 2016  553
    4010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 암환자의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태도와 가족기능 / 이민혜 2014  553
    4009 14 재생산 기술 연구 목적의 난자 기증에 대한 윤리적 고찰 : 한스 요나스(H. Jonas)의 책임윤리를 중심으로 / 이종민 2012  5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