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5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 신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640944 

기독교대안학교 운영체계안 제시 : 생명공동체윤리사상에 입각한 교육을 중심으로


  • 저자 : 류미아
  • 형태사항 : ii, 74 p. ; 26 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 박상진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 신학과 2015. 2
  • 발행국 : 서울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15
  • 주제어 : 기독교교육, 대안학교, 대안교육, 생명공동체윤리, 생명



초록 (Abstract)

생명공동체정신의 부재로 침몰하는 한국사회를 일으키기 위해 더디더라도 현 교육 속에 생명을 불어넣고 공동체성을 깨우는 것이 함께 공생할 수 있는 대안이다. 이러한 교육은 상대방을 “공동체 내의 사람(person in community)” 으로서 마주할 수 있게 해주며 타인의 생명에 공공의 책임을 가지게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생명공동체윤리를 고찰하고 이를 발현시키는 기독교대안학교 운영체제를 연구함으로써 한국사회를 ‘우리사회’로 전환시키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A. 문제 제기 및 연구목적 1

    B. 연구 범위와 방법 4

    Ⅱ. 생명공동체윤리 - 5

    A. 생명공동체윤리와 성서와 교육의 연관관계 - 5

    1. 성서 속에 나타난 생명공동체윤리 - 5

    a. 생명 - 5

    b. 하나님의 우리의식속에 나타난 생명공동체 윤리 - 7

    2. 교육 속에 나타난 생명공동체윤리 10

    B. 한국교육사 속에 나타난 생명공동체윤리 - 14

    1. 현대한국사회가 한국교육의 역사성을 회복해야하는 필요성 - 15

    2. 한민족의 교육이념에 드러난 생명공동체성 17

    Ⅲ. 현대한국교육에 필요한 생명공동체윤리 20

    A. 교육의 역할 변화에 따른 생명공동체정신 붕괴 - 21

    B. 포스트모던 자본주의 사회 속에서 생명공동체윤리 약화 25

    C. 현대한국교육의 생명공동체윤리의 경시에 따른 결과와 대안적 교육의 필요성 - 28

    Ⅳ. 한국의 대안교육 - 33

    A. 대안학교의 발생 배경과 역사 - 33

    B. 한국대안교육 속에 나타난 생명공동체윤리 - 36

    1. 위대한 평민을 기르는 풀무농업기술학교 36

    a. 교육목표 - 38

    b. 교육성과 및 미래적 방향 - 40

    2. 코이노니아를 지향하는 사랑방공동체학교 - 42

    a. 교육특징 - 43

    b. 교육성과 및 미래적 방향 45

    3. 생명평화를 일구는 아름다운마을공동체 밝은누리움터 - 46

    a. 교육특징 - 46

    b. 교육성과 및 의의 48

    V. 기독교대안학교 운영체계안 제시: 생명공동체윤리사상에 입각한 교육을 중심으로 - 49

    A. 교육이념 - 49

    B. 교육목표 - 50

    1. 서민(庶民)이 중심 - 50

    2. 장이를 기르는 학교 - 52

    3. 사색, 자립, 공생을 실천 하는 영성 54

    4. 다름으로 우리를 가르치다 - 55

    5. 건축과 환경이 곧 가르침이다 57

    6. 한반도 고유의 윤리와 성서의 윤리가 만나는 교육 - 58

    7. 지역 안에 학교, 학교 안에 지역 58

    8. 작은 학교, 생태교육 59

    C. 생명공동체윤리를 추구하는 교과과정 및 학습방법 - 61

    1. 교과목 62

    a. 기본교과목 62

    b. 필수활동 - 62

    c. 자치활동 - 63

    2. 운영방법 및 입학기준 63

    D. 교사 64

    1. 교사인원 및 급여제도 64

    2. 지원 자격 - 64

    E. 생활수칙 및 학교시설 65

    VI. 요약 및 제언 65

    참고문헌 목록 6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4368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 문제’에 관한 우리나라와 미국 판례이론의 비교 연구 / 황도수 2013  60
    4367 9 보건의료 원격의료에서 의료전문직을 위한 실천원리로서 프로네시스(phronesis) / 김진경 2018  60
    4366 9 보건의료 감염예방관리 프로그램에 대한 WHO의 가이드라인 소개 / 김준영 2018  60
    4365 9 보건의료 충북지역 장애인 치과의료서비스 환경실태 및 개선방향 / 김선주 2018  60
    4364 9 보건의료 지능형 헬스케어 플랫폼 산업 및 국제 표준화 동향 / 김양중 2017  60
    4363 14 재생산 기술 개-돼지 이종 간 복제수정란의 체외발달에 미치는 요인 / 최미경 외 2014  60
    4362 1 윤리학 개인정보 유출에 따른 손배해상청구와 관련하여 / 류승훈 2016  61
    4361 9 보건의료 정책이념과 정책수단 선택에 관한 연구: 보건의료정책입법안을 중심으로 / 김권식 2014  61
    4360 19 장기 조직 이식 다층모형을 적용한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의 삶의 질 변화 영향요인/송지은, 소향숙 2015  61
    4359 2 생명윤리 고등학생의 비판적 글쓰기에서 제시문에 대한 분석 유도가 생명 윤리 관점에 미치는 영향 / 하자복 2017  61
    4358 9 보건의료 일차의료 강화를 통한 효과적 만성질환 관리 방안 / 신호성 2012  61
    4357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과 보험법적 쟁점에 관한 연구/ 이성남 2018  61
    4356 15 유전학 인종과 유전: 게놈 시대에 은폐된 인종의 자리 / 김준년 2017  61
    4355 7 의료사회학 개정된 의사윤리지침과 의학전문직업성에 기반한 자율규제 / 박석건 외 2018  61
    4354 22 동물복지 국내 동물용의료기기 부작용 관리시스템에 대한 고찰 / 강경묵 외 2018  61
    4353 9 보건의료 의료법학의 발전과 과제 / 김기영 2018  61
    4352 9 보건의료 Applying a Global Justice Lens to Health Systems Research Ethics: An Initial Exploration 2015  62
    4351 19 장기 조직 이식 이식용장기의 수급불균형 해소를 위한 법제도적 과제 / 정상기 2009  62
    4350 9 보건의료 IoT 기반의 모바일 헬스케어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저장 및 보호 모델/정윤수 2017  62
    4349 19 장기 조직 이식 사용자 경험 요소를 활용한 제대혈산업의 온라인 서비스 개발에 관한 연구 / 이정선 2015  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