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5
발행년 : 2015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고신대학교 일반대학원 : 간호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684687 

종합병원 간호사의 조직시민행동 영향요인


  • 저자 : 임경민
  • 형태사항 : vi, 52 p. ; 26 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 정귀임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고신대학교 일반대학원 : 간호학과 2015. 2
  • 발행국 : 부산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15
  • 주제어 : 종합병원 간호사, 감성지능, 직무만족, 조직시민행동


초록 (Abstract)

간호사는 환자 간호의 최일선에서 간호업무를 수행하며, 병원의 경쟁력 및 생산성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집단이다. 따라서 변화하는 의료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경쟁력 있는 조직으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간호사들의 태도 변화가 필요하다. 동료를 기꺼이 도와주고, 공유하고, 협동하고, 자원 봉사하는 행동으로, 공식적인 보상시스템에 의해 직접적으로 명확하게 인식되지 않으나 전반적으로 조직 기능의 유효성이나 효율성을 증진시키는 행동인 조직시민행동이 무엇보다 중요한다.
감성지능이 감정을 조절하는 능력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부정적인 상태에서도 자신의 감정을 긍정적으로 전환, 유지하려 노력한다. 따라서 감성지능이 높은 구성원은 직무만족이 높아짐은 물론 감정이입과 공감을 통하여 동료들의 사적 애로사항 혹은 고충 등에 빠른 인지와 더불어 긍정적인 변화로 전환하여 다른 구성원에게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을 유발하게 된다. 자신 스스로가 직무만족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과 만족감을 느낄때 동료들을 돕는 행위에 보다 적극적이고 직무수행 중 갈등과 좌절을 긍정적으로 받아 들여 자신과 타인의 직무에 몰입을 유도하여 조직에 기여하는 조직시민행동으로 나타나고 이러한 변화는 다시 감성지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B광역시 소재의 200병상 이상의 5개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214명이었다. 자료 수집기간은 2014년 10월 15일부터 동년 10월 25일까지 10일 간 이였다.
자료수집방법은 K대학교 기관 생명윤리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후 구조화 된 자기기입식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도구로는 감성지능 도구는 Wong과 Law(2002)가 개발하고 황필주(2007)가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직무만족 도구는 Slavite등(1978)이 개발하고 윤순녕(1992)이 수정한 도구를 김명숙(2013)이 재수정한 도구를 본 연구자가 재구성하여 사용하였고, 조직시민행동 측정 도구는 Organ(1998)이 개발하고 안관영(2004)이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은 SPSS WIN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 평균평점과 표준편차, t-test, ANOVA와 Scheffe's-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및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대상자의 감성지능 정도는 평균 50.30±5.36(도구범위: 14-70) 평균
평점 3.59±0.38(척도범위: 1-5)로 중간 정도 였다.
대상자의 직무만족 정도는 67.36±7.97(도구범위: 21-105) 평균평점
3.20±0.37(척도범위: 1-5)로 중간 정도 였다.
2. 대상자의 조직시민행동 정도는 평균 71.02±7.11(도구범위: 20-100) 평균평점 3.55±0.35(척도범위: 1-5)로 중간 정도 였다.
대상자의 조직시민행동 정도는 결혼 유무(t=-2.95, p=.003), 종교유무
(t=3.38, p=.001), 연령(t=10.30, p=.001), 학력(t=-3.29, p<.001), 근무형태
(F=3.67, p=.027), 총 근무년수(F=7.79,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
다.
3. 종합병원 간호사의 감성지능 정도와 조직시민행동 정도의 관계는 강한 정도의 순 상관관계(r=.651, p<.001)를 보였다. 즉 감성지능 정도가 높을수록 조직시민행동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하위영역과 조직시민행동 정도의 상관관계는 자기감성이해 영역과는 중간정도의 순 상관관계(r=.556, p<.001), 감성조절 영역과는 중간정도의 순 상관관계(r=.516, p<.001), 타인감성이해 영역과는 중간정도의 순 상관관계(r=.498., p<.001), 감성활용 영역과는 중간정도의 순 상관관계였(r=.463, p<.001)
종합병원 간호사의 직무만족 정도와 조직시민행동 정도의 관계는 중간 정도의 순 상관관계(r=.544, p<.001)를 보였다.
4. 대상자의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요인의 총 설명력은 52.3% 였
고 그 중 감성지능이 42.1%, 그 다음으로 직무만족을 추가하였을 때
48.2%, 연령을 추가하였을 때 51.3%, 학력을 추가 하였을 때 52.3%의 설
명력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에서 종합병원 간호사의 감성지능과 직무만족은 중간 정도의 순상관 관계, 조직시민행동과 감성지능은 강한 정도의 순상관 관계였고, 직무만족과 조직시민행동은 중간 정도의 순상관 관계 였다. 조직시민행동의 영향요인은 감성지능, 직무만족, 연령, 학력 이였다.
따라서 종합병원 간호사의 조직시민행동을 높이기 위해서는 감성지능과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는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 및 평가할 필요가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표 차례 ⅲ
  • 그림 차례 ⅲ

    국문요약 ⅳ

    I.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3

    3. 용어의 정의 3

    II. 문헌 고찰 5

    1. 종합병원 간호사의 조직시민행동 5

    2. 조직시민행동 영향요인 6

    1). 감성지능 6

    2). 직무만족 8

    III. 연구 방법 11

    1. 연구 설계 11

    2. 연구 대상 11

    3. 연구 도구 11

    4. 자료 수집 기간 및 방법 13

    5. 자료 분석 방법 13

    6. 연구의 윤리적 측면 14

    7. 연구의 제한점 14

    IV. 연구 결과 15

    1. 대상자의 제 특성 15

    2. 대상자 감성지능, 직무만족과 조직시민행동 정도 17

    3. 대상자의 제 특성에 따른 조직시민행동 정도 18

    4. 대상자의 감성지능, 직무만족, 조직시민행동 정도 관계 20

    5. 대상자의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요인 21

    V. 논의 23

    VI. 결론 및 제언 30


    참고문헌 33

    Abstract 40

    부 록

    부록1. IRB 심의 결과 통지서 44

    부록2. 설명문 46

    부록3. 연구 참여 동의서 47

    부록4. 설문지 49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9 보건의료 의료인의 의료기관 다중운영 금지 조항의 위헌성 - 의료법 제87조 제1항 제2호, 제33조 제8항을 중심으로 -/김선욱, 정혜승

    발행년 2015 

    • 조회 수 693

    9 보건의료 의료법 위반과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대한 민법상 불법행위책임 - 대법원 2013. 6. 13. 선고 2012다91262 판결, 2015. 5. 14. 선고 2012다72384 판결을 중심으로 -/이동필

    발행년 2015 

    • 조회 수 472

    9 보건의료 병원감염 사건에서 증명책임 완화에 관한 입법적 고찰 - 개정 독일민법을 중심으로 -/유현정

    발행년 2015 

    • 조회 수 246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의 기준과 절차 : 대법원 2009. 5. 21. 선고 2009다17417 판결이 가지는 문제점을 중심으로 / 이석배

    발행년 2009 

    • 조회 수 7192

    8 환자 의사 관계 독일의 환자사전의사표시법 / 이석배

    발행년 2010 

    • 조회 수 19875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종합병원 간호사의 조직시민행동 영향요인 / 임경민

    발행년 2015 

    • 조회 수 423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안에 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 / 고준기, 조현, 이강호

    발행년 2014 

    • 조회 수 396

    9 보건의료 한 3차 병원 중환자실에 대한 윤리자문 모델의 경험 / 문재영

    발행년 2013 

    • 조회 수 453

    9 보건의료 고위험신생아 치료중단에 대한 윤리적인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 전효숙

    발행년 2002 

    • 조회 수 1372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간호장교의 의료 윤리적 가치관 / 최귀녀

    발행년 2004 

    • 조회 수 894

    20 죽음과 죽어감 서비스 제도화에 관한 의식조사 : 보호자 없는 병원 제도화를 위한 예비연구 / 김철원

    발행년 2010 

    • 조회 수 143

    2 생명윤리 한국의 생명윤리학 현황과 나아가야 할 방향 / 최경석

    발행년 2014 

    • 조회 수 330

    9 보건의료 영리법인병원 허용문제에 대한 조사연구 / 성정민

    발행년 2008 

    • 조회 수 129

    9 보건의료 병원 전 응급의료체계에서 의료지도와 무면허의료행위 / 배현아

    발행년 2009 

    • 조회 수 323

    9 보건의료 1개 3차 병원의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한 병원전 심정지 환자에서 119 구급대에 의한 자동제세동기 사용 실태 및 효과 / 정시영, 배현아, 어은경

    발행년 2009 

    • 조회 수 476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건강증진병원 간호사의 건강교육수행 영향요인 / 이진숙

    발행년 2014 

    • 조회 수 202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관한 법정대리인 제도의 적용 / 이효진

    발행년 2014 

    • 조회 수 390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요양병원 노인의 품위 있는 죽음 / 임승희, 신애란

    발행년 2012 

    • 조회 수 618

    8 환자 의사 관계 의과대학생의 실습할 권리와 환자의 개인 보호 / 김현주, 허정식

    발행년 2013 

    • 조회 수 591

    20 죽음과 죽어감 병원윤리위원회 표준운영지침 개발 : 해외사례를 중심으로 / 박인경, 박지용, 손명세, 이일학

    발행년 2011 

    • 조회 수 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