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9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보건과 사회과학 Vol.35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027866 

바이오뱅크 운영의 주요쟁점과 전망 = The Principal Issues and Prospects of Biobank Management


  • 제어번호 : 100027866
  • 저자명 : 김상현(Sang Hyun Kim)
  • 학술지명 : 보건과 사회과학
  • 권호사항 : Vol.35 No.- [2014]
  • 발행처 : 한국보건사회학회(KOREAN ASSOCIATION OF HEALTH AND MEDICAL SOCIOLOGY)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263-283(21쪽)
  • 언어 : Korean
  • 발행년도 : 2014년
  • KDC : 517
  • 등재정보 : KCI등재
  • 주제어 : 바이오뱅크 ,충분한 설명에 근거한 동의 ,자료공유 ,혜택분배 ,사회적 합의 및 신뢰 ,Biobank ,Informed consent ,Data sharing ,Distribution of benefits ,Public consensus and trust



초록 (Abstract)

  • 본 연구는 바이오뱅크를 사용하고 있는 의과학 연구자들이 실질적으로 어떤 어려움을 겪고 있는지를 규명하여 그 전망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연구자들은 다양하고 모호한 법적·윤리적 갈등을 경험하면서도 충분한 설명에 근거한 동의(informed consent) 원칙을 지키고 있었다. 기존의 바이오뱅크 정의에 비추어볼 때, 바이오뱅크는 본연의 역할을 충분히 다하지 못하였고, 대부분의 연구자들은 충분한 설명에 근거한 동의 원칙의 엄격한 적용으로 인해 운영상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특히 의과학 연구자들에게 연구자간·국가간 자료공유 및 사용은 다른 어떤 것보다 중요한 이슈로 인식되었다. 한편 자료 제공자에 대한 혜택분배 여부에 대해서는 찬성과 반대 입장이 공존하였다.
    결국 바이오뱅크의 성공적 운영은 제도화로 귀결되는 바, 이를 위해 첫째 우리나라 바이오뱅크 정책이 추구하는 뚜렷한 방향이 설정되어야 하고, 둘째 구체적 방안으로 바이오뱅크 시스템의 정비, 포괄적 동의제도 도입, 혜택 분배에 대한 사회적 논의, 연구자의 법적·윤리적 갈등을 줄이기 위한 노력 등이 요구한다. 셋째, 국민(시민)을 포함한 연구자, 국가간 사회적 합의와 신뢰를 근간으로 한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하고 넷째, 바이오뱅크 관련 주요이슈를 총괄하는 통합채널을 마련함으로써 연구자들이 중요한 윤리적·법적·사회적 함의(ELSI)를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주요개념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전망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39 18 인체실험 인간 대상 연구의 동의 관련 윤리 원칙/최경석 2018  107
    38 18 인체실험 이종이식 임상적용에서의 인권침해 요소에 관한 법적 고찰 /차유경, 모효정 2014  70
    37 18 인체실험 의료계약 및 임상시험계약에 있어서 미성년자 보호에 관한 소고 / 서종희 2017  100
    36 19 장기 조직 이식 잠재 뇌사자에서 성공적 장기 기증과 기증 동의와 관련된 인자/이은우 외 2017  4119
    35 8 환자 의사 관계 자기결정능력 흠결 상태의 환자에 대한 의료행위의 동의에 관한 소고(小考) / 백경희 2015  239
    34 19 장기 조직 이식 인체유래물 기증자의 동의 및 동의철회의 법적 문제 / 이한주 2016  348
    33 18 인체실험 연구윤리심의 표준화 필요성에 관한 제고찰 / 구인회 2007  179
    32 2 생명윤리 의료법의 현대적 과제 : 인간대상연구에 있어 동의 관련 규범적 문제;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상의 동의 관련 규정을 중심으로 / 김은애 2014  312
    31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에 있어 전자동의(Electronic Informed Consent) 획득: 미국 지침에 따른 고려사항을 중심으로/김은애 2015  408
    30 8 환자 의사 관계 일개병원 수술 예정 환자의 수술동의서 용어에 대한 인지, 용어이해도와 설명만족도에 대한 조사 연구/김영경, 정인숙 2015  549
    29 15 유전학 인체유래물과 유전정보에 대한 권리 및 분배 기준 / 유호종, 김소윤 2015  201
    » 15 유전학 바이오뱅크 운영의 주요쟁점과 전망 / 김상현 2014  235
    27 18 인체실험 인간 대상 연구에서 타자에 대한 책임을 통한 연구자-연구 대상자 관계 윤리 정립 / 김진경 2014  209
    26 1 윤리학 전부개정 된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의 연구대상자 보호 측면에서의 의의와 한계 / 김은애 2014  449
    25 14 재생산 기술 난자의 연구 이용 관련 우리나라 법원 판결에 대한 고찰 / 김은애 2015  253
    24 15 유전학 생명윤리법 상 인체유래물 연구를 위한 심의 · 동의제도의 법적 검토 / 이한주 2015  242
    23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 환자의 동의권에 관한 연구 / 문상혁 2015  195
    22 8 환자 의사 관계 자율성으로 본 동의와 동의면제에 대한 고찰 / 백수진 2015  273
    21 18 인체실험 피험자 권리에 근거한 연구윤리 / 임선우 2010  462
    20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동의과정에서 피험자 보호 방안 / 이연진 2013  5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