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보건과 사회과학 Vol.35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027866 

바이오뱅크 운영의 주요쟁점과 전망 = The Principal Issues and Prospects of Biobank Management


  • 제어번호 : 100027866
  • 저자명 : 김상현(Sang Hyun Kim)
  • 학술지명 : 보건과 사회과학
  • 권호사항 : Vol.35 No.- [2014]
  • 발행처 : 한국보건사회학회(KOREAN ASSOCIATION OF HEALTH AND MEDICAL SOCIOLOGY)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263-283(21쪽)
  • 언어 : Korean
  • 발행년도 : 2014년
  • KDC : 517
  • 등재정보 : KCI등재
  • 주제어 : 바이오뱅크 ,충분한 설명에 근거한 동의 ,자료공유 ,혜택분배 ,사회적 합의 및 신뢰 ,Biobank ,Informed consent ,Data sharing ,Distribution of benefits ,Public consensus and trust



초록 (Abstract)

  • 본 연구는 바이오뱅크를 사용하고 있는 의과학 연구자들이 실질적으로 어떤 어려움을 겪고 있는지를 규명하여 그 전망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연구자들은 다양하고 모호한 법적·윤리적 갈등을 경험하면서도 충분한 설명에 근거한 동의(informed consent) 원칙을 지키고 있었다. 기존의 바이오뱅크 정의에 비추어볼 때, 바이오뱅크는 본연의 역할을 충분히 다하지 못하였고, 대부분의 연구자들은 충분한 설명에 근거한 동의 원칙의 엄격한 적용으로 인해 운영상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특히 의과학 연구자들에게 연구자간·국가간 자료공유 및 사용은 다른 어떤 것보다 중요한 이슈로 인식되었다. 한편 자료 제공자에 대한 혜택분배 여부에 대해서는 찬성과 반대 입장이 공존하였다.
    결국 바이오뱅크의 성공적 운영은 제도화로 귀결되는 바, 이를 위해 첫째 우리나라 바이오뱅크 정책이 추구하는 뚜렷한 방향이 설정되어야 하고, 둘째 구체적 방안으로 바이오뱅크 시스템의 정비, 포괄적 동의제도 도입, 혜택 분배에 대한 사회적 논의, 연구자의 법적·윤리적 갈등을 줄이기 위한 노력 등이 요구한다. 셋째, 국민(시민)을 포함한 연구자, 국가간 사회적 합의와 신뢰를 근간으로 한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하고 넷째, 바이오뱅크 관련 주요이슈를 총괄하는 통합채널을 마련함으로써 연구자들이 중요한 윤리적·법적·사회적 함의(ELSI)를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주요개념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전망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 15 유전학 바이오뱅크 운영의 주요쟁점과 전망 / 김상현 2014  235
    2587 1 윤리학 황우석 사태 前後 일간지의 건강의료보도 태도 변화 연구 :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신문을 중심으로 / 서한기 2007  235
    2586 9 보건의료 헬스케어와 보험업법상 쟁점 - 헬스케어서비스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 / 김영국 2019  234
    2585 13 인구 저출산 해결을 위한 의사의 역할 / 하정훈 2017  234
    2584 2 생명윤리 생명공학분야 특허출원 심사에 대한 생명윤리적 고찰 / 진영진 2012  234
    2583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추정자 주치의의 뇌사추정자에 대한 장기기증 의뢰 및 발굴 경험에 대한 연구 / 김순일 외 2013  234
    2582 23 연구윤리 특수교육 분야의 인간대상 연구윤리 실태 및 발전방향 탐색 / 허유성 외 2012  234
    2581 22 동물복지 공학윤리와 동물이용연구/김성한 2008  234
    2580 15 유전학 한국 바이오뱅크 정보화사업의 경제적 타당성 분석 / 주병철, 주민석 2013  234
    2579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 및 이식에 대한 장기이식등록기관 종사자의 지식과 태도 연구 : 시군구 보건소 공무원을 중심으로 / 김양호 2010  234
    2578 15 유전학 생명윤리적 관점에서 본유전자 편집 특허의 제문제 / 진영진 2018  233
    2577 1 윤리학 생명권의 보장과 본질적 내용의 침해 금지/권건보 2013  233
    2576 13 인구 저출산·고령화 대응 정책의 방향: 인구정책적 관점 / 이철희 2018  233
    2575 15 유전학 현행 생명윤리법상 유전자편집기술의 법적 쟁점 / 황만성 2017  233
    2574 15 유전학 CRISPR/Cas9 시스템 기반 무당질항체 생산용 마우스 제작을 위한 마우스 유래 세포주 NIH-3T3 세포에서의 Ighg 유전자 교정 연구 / 이난이 2017  233
    2573 18 인체실험 국내 및 해외의 임상시험 데이터모니터링위원회 지침의 현황 / 이보람, 이경은 2016  233
    2572 12 낙태 유럽 각국의 낙태 접근과 여성건강 : 한국 낙태논쟁에 대한 함의 / 정진주 2010  233
    2571 9 보건의료 정부의 건강보험수가정책이 국내의료기기 산업의 지속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중소의료기기 업체를 중심으로 / 박용철 2014  233
    2570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 이식 환자의 자기 효능감, 대처 행동, 치료지시 이행에 관한 연구 / 이정란 2014  233
    2569 15 유전학 산전유전진단 및 유전상담의 실제 / 오수영 외 2007  2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