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56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江原法學 Vol.43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141606 

타이완 「安寧緩和醫療條例」 법제화의 시사점 = 台湾「安寧緩和醫療條例(ホスピスケア法)」法制化の示唆点


  • 제어번호 : 100141606
  • 저자명 : 양정연(梁晶淵)
  • 학술지명 : 江原法學(Kangwon law review)
  • 권호사항 : Vol.43 No.- [2014]
  • 발행처 :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447-476(30쪽)
  • 언어 : Korean
  • 발행년도 : 2014년
  • KDC : 360
  • 등재정보 : KCI등재
  • 주제어 : 안녕완화의료조례 ,존엄사 ,호스피스 ,환자의 자기결정권 ,연명의료



초록 (Abstract)

타이완은 2000년 아시아지역에서 가장 먼저 「安寧緩和醫療條例」를 제정함으로써 환자의 ‘존엄한 죽음’ 선택에 대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입법 논의과정에서 호스피스 단체 및 종교, 사회 단체들을 중심으로 환자의 자기결정권과 존엄한 죽음의 권리에 대한 요구가 이어지면서 입법원과 행정원 안이 심의과정을 거쳐 법 제정이 이뤄졌다.
타이완의 「안녕완화의료조례」제정은 그동안 사회에서 지속적으로 요구하던 말기환자의 존엄한 죽음에 대한 선택을 환자의 자기결정권으로 인정하고 법적으로 보장한다는 점에서 보편적인 지지를 받고 있다. 조례의 내용을 보면, 환자의 자기결정권과 함께 의료종사자들의 조치를 규정함으로써 의료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환자 측과 의료종사자들 간의 갈등을 방지하려는 측면도 있다.
본 논문에서는 타이완의 법 제정 과정에서 검토되었던 법안들과 심의과정에서 논의되었던 문제점, 조례 수정이 이뤄진 이유들을 검토함으로써, 국내 관련법 제도화에 대한 방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Ⅱ. 「安寧緩和醫療條例」 입법 논의

    Ⅲ. 「安寧緩和醫療條例」의 연혁과 개념 정의

    Ⅳ. 「安寧緩和醫療條例」 관련 규정

    Ⅴ. 국내 연명의료 결정 법제화에 대한 시사점

    Ⅵ. 결론

    참고문헌

    <日文摘要>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6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안락사에 대한 태도 / 박영선 2009  166
    35 20 죽음과 죽어감 요양병원 간호사의 호스피스완화간호 인식과 임종간호태도 /김경희 2016  876
    34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ㆍ완화의료와 윤리적 쟁점 / 조유향 2015  717
    33 20 죽음과 죽어감 통합예술프로그램을 통한 공간별 아동 죽음교육 모델 방안 / 유성이 2016  272
    32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환자와 가족이 경험한 가정호스피스에 대한 문화기술지 / 김형숙 2016  382
    31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가 말기암환자 가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박주연 2016  183
    30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의료 환경에서 수행되는 음악치료 현황과 관련 의료인의 인식 조사 연구 / 정지연 외 2016  325
    29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병동 말기 암환자 가족의 돌봄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김계숙 2016  483
    28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자원봉사자들의 봉사경험에 대한 심층적 이해 - 질적 사례 연구 - / 심세화 2016  364
    27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중단의 형법이론적 근거 / 손미숙 2016  1185
    26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철학에서 에디트 슈타인 사상의 의미 연구 - 죽음과 죽어감 그리고 사랑과 비움의 영성을 중심으로 - / 이은영 2015  562
    25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학생의 죽음에 대한 태도 및 호스피스에 대한 인식 / 이현정 2013  346
    24 20 죽음과 죽어감 중년 여성의 호스피스 자원봉사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강선미 2016  756
    23 20 죽음과 죽어감 일개 대학병원의 연명치료 선택 및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현황 2011  739
    22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안에 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 / 고준기, 조현, 이강호 2014  396
    » 20 죽음과 죽어감 타이완 「안녕완화의료조례」 법제화의 시사점 / 양정연 2014  283
    20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의 법적 이해 : 규범적 맥락과 법제화의 방향 / 김나경 2015  270
    19 20 죽음과 죽어감 환자의 생명 종결 결정에 관한 연구 : 입법적 실천 방안을 위한 미국과의 비교법적 모색 / 엄주희 2013  481
    18 20 죽음과 죽어감 윤리학적 관점에서 본 안락사 / 정혜련 2007  1676
    17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의 도덕성에 관한 연구 / 김혜진 2000  6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