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13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헌법학연구 Vol.21 No.3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248275 

연명의료중단의 허용범위 제한에 관한 헌법적 검토 = Limits of Protection on the Self-Determination Right to Refus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 제어번호 : 101248275
  • 저자명 : 김현귀(Kim Hyun gui)
  • 학술지명 : 憲法學硏究
  • 권호사항 : Vol.21 No.3 [2015]
  • 발행처 : 韓國憲法學會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407-446(40쪽)
  • 언어 : -
  • 발행년도 : 2015년
  • KDC : 360
  • 등재정보 : KCI등재
  • 주제어 : Artificial Nutrition and Hydration ,Self-Determination Rights ,Refus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랑베르 사건 ,지속적 식물인간상태 ,Qualified Patient ,Persistent Vegetative State(PSV) ,Vincent Lambert ,적격환자 ,연명의료중단 ,자기결정권 ,인공영양공급



초록 (Abstract)

현재 대법원과 헌법재판소가 확인한 연명의료중단에 관한 자기결정권 보장에 관하여 어느 정도 사회적 합의가 모아지고 관련 법률안들이 구체화되고 있다. 관련 법률의 입법과정에서 핵심적인 쟁점이 되고 있는 것은 인공영양공급의 중단금지문제와 연명의료중단이 허용되는 인적범위를 설정하는 문제이다. 우선, 헌법적으로 연명의료중단에 관한 자기결정권의 의의와 보호내용과 한계를 검토하면서 인공영양공급의 중단을 일률적으로 금지하는 것이 환자의 자기결정권을 침해할 가능성이 있음을 지적한다. 더 나아가, 연명의료중단이 허용되는 인적범위를 말기환자 또는 임종과정의 환자로 좁게 형성하는 것이 사회적 합의라면, 이는 이에 포함되지 않는 사람의 자기결정권을 제한하는 것이 되므로 최소한 법률유보원칙에 따라서 이를 판단하는 기준과 절차가 법률로써 마련되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더불어 2009년 김할머니 사건과 최근 유럽인권재판소에서 결정된 프랑스의 벵상 랑베르 사건을 각각 검토하고 비교하여, 짧은 기간 내 사망할 것이 명백한 경우에만 연명의료중단을 허용하는 것이 별로 타당한 기준은 아니라는 점을 논증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들어가며

    Ⅱ. 연명의료중단에 관한 자기결정권의 의의

    Ⅲ. 연명의료중단에 관한 자기결정권의 보호와 한계

    Ⅳ. 연명의료중단이 허용되는 인적범위의 제한

    Ⅴ. 적격환자의 판단기준 및 절차에 대한 비교법적 검토

    Ⅵ. 나가며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73 8 환자 의사 관계 일개병원 수술 예정 환자의 수술동의서 용어에 대한 인지, 용어이해도와 설명만족도에 대한 조사 연구/김영경, 정인숙 2015  549
    72 8 환자 의사 관계 의학적 인간학과 윤리학의 관점에서 바라 본 의사-환자 관계/정대성 2015  315
    71 20 죽음과 죽어감 중환자실 간호사와 보호자의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인식/김원정, 강지숙 2015  471
    70 8 환자 의사 관계 수술환자의 권리보호에 대한 형사법적 쟁점 - 환자의 자기결정권을 중심으로 -/유재근 2015  377
    69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 결정에서 의학적 무의미함(medical futility)/김진경 2010  281
    68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의 비밀유지의무의 근거와 한계- 독일 항공기 저먼윙즈(Germanwings) 참사에 관한 최근의 논의에 대하여/군나 두트게, 장영민, 손미숙 2015  317
    67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후견주의와 환자의 자기결정권 - 의사의 설명의무를 중심으로 - / 이석배 2007  3836
    66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의 기준과 절차 : 대법원 2009. 5. 21. 선고 2009다17417 판결이 가지는 문제점을 중심으로 / 이석배 2009  7189
    65 8 환자 의사 관계 응급의료거부죄의 해석과 정책 / 이석배 2009  6812
    64 8 환자 의사 관계 독일의 환자사전의사표시법 / 이석배 2010  19874
    63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법 제27조 제3항 환자 ‘유인’ 금지의 적용범위 / 이석배 2011  1625
    62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에서의 사전의사결정(advanced directives)에 대한 도덕적 검토 / 손명세, 유호종 2001  209
    61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의 정당성 근거와 조건 / 유호종 2002  212
    60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고통에 대한 의사의 정당한 태도 / 유호종 2004  46030
    59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 고통의 의미와 의사의 바람직한 대응 및 태도 / 유호종 2014  249
    58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환자 돌봄에 관한 연구 : 환자의 통증과 고통을 중심으로 / 박상현 2015  476
    57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안에 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 / 고준기, 조현, 이강호 2014  396
    56 20 죽음과 죽어감 타이완 「안녕완화의료조례」 법제화의 시사점 / 양정연 2014  283
    »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중단의 허용범위 제한에 관한 헌법적 검토 / 김현귀 2015  320
    54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 의료 결정의 딜레마와 그 사회적 맥락 / 박경숙, 서이종, 안경진 2015  4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