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95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헌법학연구 Vol.21 No.3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248275 

연명의료중단의 허용범위 제한에 관한 헌법적 검토 = Limits of Protection on the Self-Determination Right to Refus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 제어번호 : 101248275
  • 저자명 : 김현귀(Kim Hyun gui)
  • 학술지명 : 憲法學硏究
  • 권호사항 : Vol.21 No.3 [2015]
  • 발행처 : 韓國憲法學會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407-446(40쪽)
  • 언어 : -
  • 발행년도 : 2015년
  • KDC : 360
  • 등재정보 : KCI등재
  • 주제어 : Artificial Nutrition and Hydration ,Self-Determination Rights ,Refus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랑베르 사건 ,지속적 식물인간상태 ,Qualified Patient ,Persistent Vegetative State(PSV) ,Vincent Lambert ,적격환자 ,연명의료중단 ,자기결정권 ,인공영양공급



초록 (Abstract)

현재 대법원과 헌법재판소가 확인한 연명의료중단에 관한 자기결정권 보장에 관하여 어느 정도 사회적 합의가 모아지고 관련 법률안들이 구체화되고 있다. 관련 법률의 입법과정에서 핵심적인 쟁점이 되고 있는 것은 인공영양공급의 중단금지문제와 연명의료중단이 허용되는 인적범위를 설정하는 문제이다. 우선, 헌법적으로 연명의료중단에 관한 자기결정권의 의의와 보호내용과 한계를 검토하면서 인공영양공급의 중단을 일률적으로 금지하는 것이 환자의 자기결정권을 침해할 가능성이 있음을 지적한다. 더 나아가, 연명의료중단이 허용되는 인적범위를 말기환자 또는 임종과정의 환자로 좁게 형성하는 것이 사회적 합의라면, 이는 이에 포함되지 않는 사람의 자기결정권을 제한하는 것이 되므로 최소한 법률유보원칙에 따라서 이를 판단하는 기준과 절차가 법률로써 마련되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더불어 2009년 김할머니 사건과 최근 유럽인권재판소에서 결정된 프랑스의 벵상 랑베르 사건을 각각 검토하고 비교하여, 짧은 기간 내 사망할 것이 명백한 경우에만 연명의료중단을 허용하는 것이 별로 타당한 기준은 아니라는 점을 논증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들어가며

    Ⅱ. 연명의료중단에 관한 자기결정권의 의의

    Ⅲ. 연명의료중단에 관한 자기결정권의 보호와 한계

    Ⅳ. 연명의료중단이 허용되는 인적범위의 제한

    Ⅴ. 적격환자의 판단기준 및 절차에 대한 비교법적 검토

    Ⅵ. 나가며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35 12 낙태 낙태논쟁 속 법담론의 탈관계성 비판 : 낙태죄 헌법소원을 중심으로 / 이선순 2014  345
    34 1 윤리학 의약품 품목허가제도의 자기결정권, 보건권 침해 여부 : 약사법 제31조 제8항 등 위헌확인을 중심으로 / 차승현 2013  344
    33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과 환자의 자기결정권에 대한 고찰 / 정화성 2017  339
    32 20 죽음과 죽어감 연구논문 : 연명치료중단의 허용성과 법제화에 대한 고찰 / 김성규 2014  334
    31 17 신경과학 긍정심리 집단상담이 마이스터고등학교 학생의 정서안정 및 자기결정성에 미치는 효과 2018  332
    30 20 죽음과 죽어감 의사의 치료중단과 환자의 자기결정권 / 김혁돈 2006  329
    29 15 유전학 유전자진단정보와 보험법적 문제 / 박은경 2013  327
    »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중단의 허용범위 제한에 관한 헌법적 검토 / 김현귀 2015  320
    27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조성을 위한 법률"에 대한 연구 / 박종익 2012  319
    26 2 생명윤리 인격주의 생명윤리 관점으로 본 ‘자기결정’에 대한 고찰 / 오석준 2018  314
    25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 법제화의 전제조건에 대한 검토 -세브란스병원사건에 대한 법원 판결의 의미와 시사점- / 이상용 2012  306
    24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자기관리 구조모형 / 전미경 2016  295
    23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의 중단: 정당화가능성과 방향 / 이주희 2012  289
    22 20 죽음과 죽어감 타이완 「안녕완화의료조례」 법제화의 시사점 / 양정연 2014  283
    21 20 죽음과 죽어감 대만 『환자 자주 권리법』에 대한 연구 / 엄주희 2019  264
    20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 결정에서 '환자의 자기결정권'의 한계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손보미 2015  253
    19 15 유전학 생명윤리법 상 인체유래물 연구를 위한 심의 · 동의제도의 법적 검토 / 이한주 2015  242
    18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법제화 방향 및 기준에 대한 소고 / 장욱 2013  239
    17 2 생명윤리 생명윤리문화에 있어서 낙태에 대한 소고 / 정화성 2018  233
    16 9 보건의료 의사의 설명의무와 형사책임 / 김혁돈 2017  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