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5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중앙대학교 대학원 : 법 기초법 2015. 8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849573 



삶의 종료 단계에 있어서 환자의 자기결정권에 관한 연구 : 연명치료중단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atient’s Right to Self-determination at the End Stage of Life



저자 : 정화성
형태사항 : 267 p. ; 26 cm
일반주기 :
지도교수: 오세혁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박사)-- 중앙대학교 대학원 : 법 기초법 2015. 8
DDC : 340
발행국 : 서울
언어 : 한국어
출판년 : 2015
주제어 : 삶의 종료, 자율성, 환자의 자기결정권, 연명치료중단, 사전의료지시
소장기관 :  중앙대학교 서울캠퍼스 중앙도서관



초록


인간은 자신의 인생과 생활에 관련된 문제들에 관하여 스스로 결정하고 그에 따라 행동할 권리를 가진다. 이는 인간이라면 누구나 가지는 권리이다. 인간은 생명, 자유, 재산 등 다양한 영역에서 이러한 권리를 행사하고, 국가는 법으로써 이를 보장하고 있다. 특히 생명은 지극히 개인적인 것이면서도, 보편적 논의의 대상이 된다. 그런데 현대의학의 발전으로 인해 생명의 연장이 가능해졌고 병원에서 장기간 투병하는 사람이 늘어나고, 동시에 식물상태나 식물인간이라 불리는 사례도 증가했다. 그 결과 의료조치를 통한 고통과 죽음의 연장이 무한정으로 인정되어야 할 것인가가 현대사회의 삶과 죽음의 영역에서 중요한 관심사가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환자가 자율적 판단을 내릴 수 있는 능력이 있는지, 혹은 충분한 설명에 근거한 동의에서 자율성이 어느 정도 실천되는지가 주요 관심사가 되었다. 이렇듯 자율성은 의료행위에서도 중요한 가치를 가진다. 특히 이러한 맥락에서 죽음에 임박한 환자일지라도 인간의 존엄과 품위를 유지하면서 자신의 죽음을 맞이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진다. 그래서 오늘날 환자의 자율성을 지도원리로 삼는 의료패러다임 아래에서는 의료적 선행, 삶의 질 또는 생명의 존엄보다 죽음의 질을 우선시하는 의료행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에 따라 인간으로서 존엄함을 유지하면서 편안하게 죽음을 맞이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적인 기틀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최근에는 환자의 자기결정권이 의사의 의료행위에서 존중되어야 한다는 흐름이 형성되었다.

....





목차


  • 제1장 서 론 1

  • 제1절 연구의 목적 1

  •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4

  • 1. 연구의 범위 4

  • 2. 연구의 방법 5

  • 제3절 기본용어의 정리 6

  • 1. 삶의 종료 단계 6

  • 2. 환자의 자기결정권 7

  • 3. 연명치료중단 8

  • 4. 사전의료지시 9

  • 제2장 환자의 자기결정권에 대한 일반론 11

  • 제1절 환자의 자기결정권의 의의 11

  • 1. 개념 11

  • 2. 행사방식 13

  • (1) 명시적 의사표시 14

  • (2) 추정적 의사표시 15

  • 3. 충분한 설명에 의한 동의 16

  • (1) 충분한 설명에 의한 동의의 의미 17

  • (2) 충분한 설명에 의한 동의의 성립요소 18

  • (3) 검토 18

  • 4. 삶의 종료 단계에서의 논의 20

  • (1) 연명치료중단 20

  • (2) 자발적 안락사 21

  • (3) 의사조력 자살 24

  • 5. 정리 26

  • 제2절 환자의 자기결정권의 기초 27

  • 1. 환자의 자기결정권의 법철학적 기초 28

  • (1) 자율성 28

  • 1) 자율성의 의미와 필요성 28

  • 2) 생명의료윤리에서의 자율성 29

  • 3) 환자의 자율성 32

  • (2) 죽을 권리와 치료거부권 33

  • 1) 죽을 권리 34

  • 2) 치료거부권 35

  • 2. 환자의 자기결정권의 실정법적 근거 38

  • (1) 헌법상 환자의 자기결정권의 의미 38

  • (2) 환자의 자기결정권의 헌법적 근거 39

  • 1) 헌법상 자기결정권의 근거 39

  • 2) 환자의 자기결정권에 대한 기본권과 헌법적 근거 40

  • 3. 환자의 자기결정권의 발현 42

  • (1) 형법적 검토 42

  • 1) 피해자의 승낙과 자기결정권 42

  • 2) 의사의 설명의무와 환자의 자기결정권 44

  • (2) 민법적 검토 47

  • (3) 무수혈 사건 48

  • 4. 정리 52

  • 제3절 환자의 자기결정권의 한계 53

  • 1. 생명권에 따른 한계 54

  • 2. 국가의 생명보호의무에 따른 한계 57

  • (1) 환자생명의 자기결정권에 대한 국가의무 57

  • (2) 연명치료환자에 대한 국가의 보호의무 58

  • (3) 한계 59

  • 3. 의료계약에 따른 한계 60

  • 4. 정리 61

  • 제4절 소결 61

  • 제3장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환자의 자기결정권 63

  • 제1절 연명치료중단의 의의 63

  • 1. 개념 64

  • 2. 유사개념 66

  • (1) 존엄사 67

  • (2) 자비사 68

  • (3) 자연사 69

  • (4) 의학적 충고에 반하는 퇴원 70

  • 제2절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비교법적 고찰 71

  • 1. 미국 72

  • (1) 개관 72

  • (2) 주요 입법례 논의 72

  • (3) 주요 판례의 검토 75

  • 1) Karen Quinlan(카렌 퀸란) 사건 75

  • 2) Nancy Cruzan(낸시 크루잔) 사건 77

  • 3) Terry Schiavo(테리 시아보) 사건 80

  • (4) 검토 82

  • 2. 독일 83

  • (1) 개관 83

  • (2) 주요 입법례 논의 84

  • (3) 주요 판례의 검토 87

  • 1) Kemptener Fall(캠프텐 사건) 87

  • 2) Lbecker Fall(뤼벡 사건) 89

  • (4) 검토 91

  • 3. 일본 91

  • (1) 개관 92

  • (2) 주요 입법례 논의 92

  • (3) 주요 사건 검토 98

  • 1) 富山 射水市民病院(도야마현 이미스시민병원) 사건 98

  • 2) 北海道 立羽幌病院(홋카이 도립하보로 병원) 사건 101

  • 3) 和歌山 立大附病院 紀北分院

  • (와카야마 현립의대부속병원 기호쿠분원) 사건 101

  • (4) 검토 102

  • 4. 정리 103

  • 제3절 우리나라의 입장과 입법적 논의 104

  • 1. 연명치료중단의 자기결정 104

  • (1) 연명치료중단의 필요성 104

  • (2) 환자의 의사표시 방법 105

  • 2. 세브란스병원 사건 106

  • (1) 사실관계 107

  • (2) 소송의 경과 108

  • (3) 판결 요지 108

  • (4) 검토 111

  • 3. 입법적 논의 113

  • (1) 연명치료의 범위 113

  • (2) 연명치료 중단의 절차 115

  • (3) 입법 논의 116

  • 1) 호스피스완화의료에 관한 법률안 117

  • 2) 존엄사법안 119

  • 3) 삶의 마지막 단계에서 자연스러운 죽음을 맞이할 권리에 관한 법률안 120

  • 4) 호스피스완화의료에 관한 법률안 122

  • 5) 호스피스완화의료의 이용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 결정에 관한 법률안 124

  • 6) 정리 126

  • 제4절 연명치료중단의 정당화 126

  • 1. 연명치료중단의 허용 가능성 127

  • (1) 기본 요건 127

  • 1) 의사에 의한 행위 127

  • 2) 의사의 치료행위의 허용 요건 128

  • (2) 치료의 무의미성과 회생불가능성 132

  • 1) 치료의 의학적 무의미성 132

  • 2) 회생불가능한 사망의 단계 133

  • (3) 연명치료중단 대상 환자 140

  • 1) 대상 환자 140

  • 2) 환자의 수준 143

  • 2. 연명치료중단의 정당화 사유 144

  • (1) 연명치료중단의 가벌성 144

  • 1) 구성요건 해당성 144

  • 2) 위법성 조각성 145

  • 3) 책임 조각성 152

  • (2) 자기결정권의 전제인 의사의 설명의무 153

  • 1) 설명의무의 이행 153

  • 2) 설명의무의 내용 154

  • 3. 환자의 자기결정권과 의료적 침해의 정당성 154

  • (1) 동의능력의 문제 154

  • (2) 대리인에 의한 의사표명 157

  • 제5절 연명치료중단의 한계 157

  • 1. 환자의 요청에 따른 치료중단 158

  • 2. 환자가 의식불명인 경우의 치료중단 159

  • (1) 대리인에 대한 결정 159

  • (2) 유언에 의한 결정 160

  • (3) 추정적 승낙의 문제 160

  • 3. 의사의 생명유지의무의 한계 161

  • (1) 치료의무의 한계 161

  • (2) 연명치료행위의 한계 165

  • 제6절 소결 169

  • 제4장 사전의료지시에 의한 환자의 자기결정권 보호 170

  • 제1절 사전의료지시의 의의 170

  • 1. 개념 171

  • 2. 유형 172

  • (1) 생전유언 173

  • (2) 대리인 지정 사전의료지시 174

  • 3. 발전과정 175

  • (1) 제1세대 사전의료지시 176

  • (2) 제2세대 사전의료지시 177

  • (3) 제3세대 사전의료지시 179

  • 제2절 사전의료지시제도에 대한 비교법적 고찰 180

  • 1. 미국 181

  • (1) 개관 181

  • (2) 주요내용 185

  • (3) 검토 186

  • 2. 독일 187

  • (1) 개관 188

  • (2) 주요내용 192

  • (3) 검토 193

  • 3. 일본 194

  • (1) 개관 194

  • (2) 주요내용 195

  • 4. 정리 196

  • 제3절 우리나라의 사전의료지시제도에 대한 입법화 논의 197

  • 1. 사전의료지시제도의 현황 198

  • (1) 사전의료지시제도의 필요성 198

  • (2) 입법 발의 199

  • (3) 사회적 합의 201

  • 2. 사전의료지시제도의 기능 203

  • 3. 입법과 관련하여 고려하여야 할 문제 204

  • (1) 명문규정의 필요성 205

  • (2) 법적 요건 206

  • (3) 제3기관의 개입 207

  • 4. 정리 208

  • 제4절 사전의료지시의 정당화 209

  • 1. 자율성의 원리 210

  • (1) 법적인 측면 210

  • (2) 윤리적 측면 211

  • (3) 정리 212

  • 2. 의사결정권자의 문제 213

  • (1) 대리 판단 방식 215

  • (2) 최선의 이익 방식 216

  • (3) 성년후견제도의 시행에 따른 후견인 217

  • 3. 의료행위에 대한 치료거부권 221

  • (1) 자기결정권의 행사인 치료거부 222

  • (2) 치료거부권과 신체의 안전성 224

  • 제5절 사전의료지시의 한계 225

  • 1. 사전의료지시의 이론적 한계 226

  • (1) 사전의료지시의 개념적 한계 227

  • (2) 사전의료지시의 도덕적 한계 229

  • 2. 사전의료지시의 실천적 한계 234

  • (1) 사전의료지시의 낮은 작성도 235

  • (2) 선호의 불안정성 237

  • (3) 대리 의사결정의 비효과성과 부정확성 238

  • 제6절 소결 239

  • 제5장 결론 241

  • [참고문헌] 246

  • 국문초록 261

  • Abstract 26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588 9 보건의료 정형화 수준에 따른 의료 데이터 분류 및 분석 / 이미연 외 2014  77
    587 9 보건의료 현행 및 개정안 환자안전법의 자율보고시스템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신재명 외 2018  77
    586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이해를 통한 상담의 교육적 필요성과 과제 / 임진옥 2006  77
    585 5 과학 기술 사회 치의학분야 3D 프린팅 기술이 적용된 의료기기의 인·허가전략과 과제/신은미, 양승민 2018  77
    584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 완화의료의 인지도 제고를 위한 PR전략 탐색 /김병희 외 2018  77
    583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들 / 심세화 2017  77
    582 20 죽음과 죽어감 비교법미국의 자연사법(natural death act) 규범과 의료인의 면책규정이 주는 시사점 / 이인영 2008  77
    581 9 보건의료 병원 헬스케어 서비스 혁신: ICT 조직기능 연관성(ICT Relatedness)에 기반한 상호작용과 지식공유 / 김찬영 2015  77
    580 14 재생산 기술 불임관련 기술 사용시 여성이 자신의 임신, 출산에 대해 가지는 통제권에 관한 연구 / 조영미 1994  77
    579 9 보건의료 의료 소비자의 의학적 지식 유무와 의료서비스만족도 관계 / 최형석, 김규형 2018  76
    578 12 낙태 온라인 기반 낙태 이슈 변화 분석 / 김찬우 2018  76
    577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의 복음적 이해와 목회상담적 돌봄방안 / 양병모 2018  76
    576 9 보건의료 프랑스의 공법상 의료피해구제제도에 관한 연구 / 황정현 2018  76
    575 13 인구 한국의 초저출산과 국민연금 기금의 사회적 투자 / 조원희 외 2018  76
    574 20 죽음과 죽어감 비뇨의학전문의로서 연명의료결정법의 이해 / 허정식 2018  76
    573 23 연구윤리 새로운 의료시술의 도입과 임상적용 시의 윤리적 절차 / 강명신 외 2013  76
    572 9 보건의료 일반병원직원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교육 요구도에 관한 융합 연구 / 권춘혜 2017  76
    571 2 생명윤리 미국에서의 생명정치(Bio-Politique), 1890년대-1930년대 / 김호연 2018  76
    570 1 윤리학 강제입원의 위법과 손해배상책임 / 신권철 2017  76
    569 9 보건의료 한국의 의약품 허가-특허연계제도에서 제네릭 시장독점제도의 도입 필요성에 관한 연구 / 정용익 2014  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