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0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법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1926655 
  • 저자 : 김휘원
  • 형태사항 : v, 125 p. : 삽화.
  • 일반주기 : 지도교수: 김현철
                     참고문헌: p. 113-123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법학과 2010. 2. 졸업
  • 발행국 : 서울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10



  •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무의미한 연명치료중단에 있어 생명권과 생명가치가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지를 연구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최근에 있었던 무의미한 연명치료중단과 관련된 대법원의 생명권에 대한 해석은 다소 애매하다. 대법원은 한편으로는 인간의 생명이 불가침하기 때문에 생명권이 침해될 수 없다고 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죽음에 이를 수 있는, 회복불가능한 말기 환자에 대한 치료중단의 권리는 인정한다. 이러한 면에서 대법원의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대법원의 이러한 모습을 해명하기 위하여, 이 문제와 관련된 드워킨의 이론을 도입하여 생명권의 개념을 재해석 해보고자 한다. 드워킨은 생명의 가치에 대한 개념을 발전시켰다. 먼저, 그는 생명의 가치가 완성된 것으로 인정되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변화하고 형성된다고 하는 점에 주목한다. 그는 또한 형성되고 변화되는 생명의 가치는 정합적인 삶에 대한 존중에서 비롯된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드워킨의 주장을 수용하여 무의미한 연명치료중단을 정당화할 수 있는 두 가지 조건을 제시하고자 한다. 생명권은 두 가지 조건이 충족되는 한도 내에서 환자의 연명치료중단을 철회하는 권리로 확장되어야 한다. 먼저 주관적인 조건이 있다. 매일의 일상적인 삶 속에서 사람들이 존엄하게 살아가기를 바라는 것처럼 존엄하게 죽음을 맞이하고자 하는 소망을 반영할 때 개인적인 요소가 고려한다면, 연명치료중단 철회에 대한 환자의 요청은 받아들여져야만 할 것이다. 다음으로 객관적인 조건이 있다. 연명치료중단은 환자가 드워킨이 제시하였던 자연적 창조력의 투여가 소멸된 불가역적 사망의 단계에 이르렀을 때 승인되어야 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제1장 연구의 목적 및 구성 = 1

    제1절 연구의 목적 = 1

    제2절 논문의 구성 = 3

    제2장 생명권의 의의 = 5

    제1절 말기 환자의 치료중단과 생명보호 = 5

    1. 치료중단과 자기결정권 = 5

    2. 무의미한 연명치료중단에 관한 판결 = 6

    (1) 사건의 개요 = 8

    (2) 대법원의 입장 = 8

    (3) 고등법원의 입장 = 10

    (4) 검토 = 13

    (가) 사망의 단계의 진입과 자연적 사기의 연장 = 13

    (나) 논리 구성의 차이 = 14

    (다) 해결 방식 = 15

    3. 치료중단에 대한 외국 사례 = 16

    (1) 입법례 = 18

    (가) 네덜란드 = 18

    (나) 미국 = 19

    (다) 일본 = 22

    (라) 검토 = 22

    (2) 주목할 판결 = 24

    (가) 크루전 사건 = 24

    (나) 앤소니 블랜드 사건 = 26

    (다) 다이앤 프리티 사건 = 29

    (라) 검토 = 31

    (3) 소결 = 32

    제2절 우리나라 헌법 체계상 생명권의 해석 = 33

    1. 생명권의 의의 = 33

    (1) ‘생명’에 대한 권리(right to life) = 33

    (2) ‘기본권’으로서의 생명권 = 35

    2. 인정근거 = 36

    3. 법적 성격 = 36

    4. 내용 = 37

    (1) 방어권으로서의 생명권 = 37

    (2) 국가에 대한 침해배제청구권으로서의 생명권 = 37

    (3) 생명에 대한 처분권의 인정여부 = 37

    5. 생명권의 한계 영역 = 38

    6. 검토 = 39

    제3절 생명가치에 대한 사고의 변천 = 41

    1. 생명가치에 대한 사상적 기초와 헌법적 수용 = 41

    (1) 사상적 기초 = 41

    (가) 고대 그리스 로마 = 41

    (나) 기독교 사상의 지배 = 43

    (다) 계몽주의 = 44

    (라) 우생학과 다윈주의 = 45

    (마) 인권 사상과 그 수용 = 46

    (2) 생명권의 헌법적 수용 = 49

    2. 검토 = 50

    제4절 권리로서의 생명권 = 51

    1. 의사설과 이익설 = 51

    2. 권리의 본질에 근거한 생명권의 검토 = 53

    제3장 생명 가치와 가치판단의 기준 = 55

    제1절 생명 가치와 가치 판단 = 55

    1. 생명 가치의 의미 = 55

    2. 가치 판단 = 56

    제2절 가치 판단 방식(valuation) = 56

    1. 로마 가톨릭의 자연법이론(Natural Law Theory) = 57

    (1) 의의 = 57

    (2) 내용 = 57

    (가) ‘선은 행하고 악은 피하라’ = 57

    (나) 자연법의 원리와 이중결과의 원칙(principle of double effect) = 58

    (다) 통상적(ordinary) 치료와 비통상적(extraordinary) 치료 = 59

    (3) 적용 = 59

    2. 칸트주의(Kantianism) = 60

    (1) 의의 = 60

    (2) 정언명령 = 60

    (3) 의무론 = 62

    (4) 적용 = 62

    3. 공리주의(Utilitarianism) = 63

    (1) 의의 = 63

    (2) 공리의 원칙(principle of utility) = 64

    (가) 공리의 원칙의 의미 = 64

    (나) 공리의 개념 = 65

    (3) 행위 공리주의(act utilitarianism)와 규칙 공리주의(rule utilitarianism) = 66

    (4) 적용 = 68

    4. 로스의 의무론 = 69

    (1) 의의 = 69

    (2) 조건부적 의무(prima facie obligation)와 실제적 의무(actual obligation) = 69

    (3) 적용 = 71

    5. 검토 = 72

    제3절 가치 판단의 재검토 = 75

    1. ‘완성된 가치’와 이익형량 = 75

    2. ‘형성중인 가치’와 규범조화적 해석의 가능성 = 76

    제4장 생명의 신성성 = 78

    제1절 전통적인 의미에서의 생명의 신성성 = 78

    1. 의의 = 78

    2. 한계와 전환 = 80

    제2절 생명의 신성성 논의의 핵심 = 81

    1. 생명의 내재적 가치의 형성 : 자연적 창조력과 인위적 창조력 = 81

    2. 생명의 내재적 가치의 완성 : 죽음의 선택 = 83

    제3절 치료 중단과 생명의 신성성 = 86

    1. 향유적 이익과 비판적 이익 = 86

    2. 치료 중단의 근거 = 88

    (1) 자기 결정권과 최선의 이익 = 89

    (2) 신성성 = 92

    제4절 검토 = 95

    1. 드워킨 논의의 의의 = 95

    (1) 낙태와 안락사 논쟁에 있어서 새로운 관점 제시 = 95

    (2) 의식과 자기존중의 측면 강조 = 98

    2. 최선의 이익에 대한 기존의 논의와의 차이 = 99

    3. 드워킨의 생명의 신성성 논의의 적용과 한계 = 100

    (1) 주관적 조건 : 정합적인 삶 존중 = 101

    (2) 객관적 조건 : 자연적 창조력의 소멸 = 104

    제5장 결론 = 108

    참고문헌 = 113

    ABSTRACT = 124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848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피험자에게 발생하는 이상반응 관리 절차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이미성 2010  483
    847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병동 말기 암환자 가족의 돌봄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김계숙 2016  483
    846 12 낙태 낙태에 대한 한국 교회의 입장 / 이경직 2007  483
    845 5 과학 기술 사회 과학 기술이 인간을 진화시키고, 대체할 수 있을 것인가 / 김남욱 2018  483
    844 14 재생산 기술 생명공학기술과 대리모의 행위성 / 이은주 2008  484
    843 20 죽음과 죽어감 국내병원의 사전의료의향서 및 심폐소생술금지요청서 현황 / 김애리 2016  484
    842 4 보건의료 철학 간호사의 도덕적 민감성과 노인간호실천과의 관계 / 홍소형 외 2016  484
    841 1 윤리학 가족관계등록법의 문제점 및 그 개선방안 : 신분등록제도의 개편을 중심으로 / 문흥안 2013  485
    840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와 장기이식에 대한 기독교 윤리학적 이해 / 박희찬 1998  485
    839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여성의 죽음 결정과 죽을 권리 / 이동옥 2015  485
    838 20 죽음과 죽어감 심폐소생술금지 결정 시점에서의 임상적 특성: 일개 종합병원 종양내과 사망한 암환자를 대상으로 / 강나영 외 2016  485
    837 9 보건의료 간호사와 간호관리자의 포괄간호서비스 제공경험 : Giorgi의 현상학적 접근 / 주명순 2016  485
    836 4 보건의료 철학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딜레마와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 오미선 2019  486
    835 12 낙태 착상전유전자진단과 산전유전자진단에 대한 형법적 제재의 정당성 / 이석배 2012  487
    834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의 윤리적 측면 / 구인회 2005  487
    833 9 보건의료 메르스와 지카바이러스의 대응을 바탕으로 해외유입 신종 감염병 예방 시스템 구축 방안 / 김자영 2016  487
    832 2 생명윤리 샌델의 생명윤리에 관한 법철학적 고찰 / 박성민 2015  487
    831 19 장기 조직 이식 종설 : 조직 및 장기 재생 분야에서의 3D 프린팅 기술의 적용 현황 / 안치범 외 2015  488
    830 15 유전학 세균 유전체에서 유전 물질의 상호교환에 대한 이해 / 김이환 2016  488
    829 20 죽음과 죽어감 진행성 암환자에서 완화적 항암치료 중단 시점의 결정에 대한 증례보고와 문헌고찰 / 정윤진, 김도연 2016  4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