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생명윤리정책연구 Vol.9 No.1 
관련링크 :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3732223 

건강결정요인 파악을 위한 건강영향평가의 정책적 의의 = Political Meaning of Health Impact Assessment as Health determining Factors


http://www.riss.kr/link?id=A100548459 

 

  • 제어번호 : 100548459
  • 저자명 : 배현아
  • 학술지명 : 생명윤리정책연구
  • 권호사항 : Vol.9 No.1 [2015]
  • 발행처 :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161-184(24쪽)
  • 언어 : Korean
  • 발행년도 : 2015년
  • 등재정보 : KCI등재후보
  • 주제어 : Health Impact Assessment(HIA) ,보건의료정책 ,건강결정요인 ,「 환경보건법」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EIA) ,Environmental Health Act ,health determining factor ,health policy ,환경영향평가 ,건강영향평가



초록 (Abstract)

건강영향평가란 개발정책 또는 프로젝트와 관련된 건강위해요인과 건강증진요인을 체계적으로 고찰하는 사업으로, 개발활동의 과정으로 인해 변화되는 위해 요인과 기회요인과 관련된 위험요인을 평가하는 과제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근거기반 건강영향평가의 결과로 건강보호와 증진에 대한 정책결정과정에 적용할 수 있는 추천 또는 제안을 하는 것이 건강영향평가의 목표이다. 우리나라 건강영향평가 제도의 법적 근거는「환경보건법」이며, 대상사업들은 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환경적 측면(건강에 대한 물리적 영향, 사회적 영향, 취약계층에 대한 영향 등)과 관련이 있는 사업들이다.
우리나라 환경부의「환경보건법」에 근거한 건강영향평가는 그 대상 사업이 제한적이고 물리·환경적 요인에 국한된 평가방법의 한계가 존재한다. 또한 건강영향평가는 절차상 기존의 환경영향평가에 추가하여 협의를 요청하는 절차에 의해 수행되기 때문에 구체적인 건강영향평가의 대상은 환경으로 인한 건강영향을 검토하는 것이고 당해 사업으로 인한 환경영향을 우선적으로 확인하여야 하며 이 확인 과정은 기존의 환경영향평가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절차적 제한점이 존재한다.
건강영향평가는 구체적인 보건정책을 계획하고 수행하기 전에 이루어지는 선별적인 조사이지만 최종적으로는 보건정책수립의 의사결정과정에 영향을 주기위한 목표로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포괄적인 건강의 개념과 다양한 건강결정요인을 고려하여 다학제 간 구조화된 조사가 이루어져야 하고 그 과정에서 우선순위의 결정 등을 통한 건강영향평가의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수행이 필요하고 그 결과가 보건의료정책에 반영될 수 있어야 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I. 들어가며
  • II. 건강결정요인과 건강영향평가

    1. 건강결정요인

    2. 건강영향평가

    3. 건강영향평가와 환경영향평가의 관계

    III. 결론: 건강영향평가의 정책적 의의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9 보건의료 의사의 설명의무 범위와 보건의료적 제언 / 정창우

    발행년 2017 

    • 조회 수 82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용 의약품 복약지도 항목에 대한 임상시험대상자 및 연구자의 요구도 조사 / 유소현 외

    발행년 2017 

    • 조회 수 82

    4 보건의료 철학 의료관련감염에 대한 의료책임인정의 적정성 고찰/이정희

    발행년 2014 

    • 조회 수 82

    1 윤리학 지능정보사회와 헌법상 국가의 책무 / 정준현, 김민호

    발행년 2017 

    • 조회 수 82

    19 장기 조직 이식 효율적인 장기기증 교육 · 홍보 메시지 개발을 위한 연구/선혜진

    발행년 2017 

    • 조회 수 82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의 정당화 요건과 형법적 통제 / 김현조

    발행년 2015 

    • 조회 수 82

    18 인체실험 줄기세포연구실 단기 교육 프로그램 / 이재인 외

    발행년 2013 

    • 조회 수 82

    4 보건의료 철학 간호대학생의 생명존중의식, 공감, 회복탄력성과 생명의료윤리의식과의 관계 / 김은희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81

    4 보건의료 철학 의료서비스종사자의 역할갈등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 임순연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81

    4 보건의료 철학 4차 산업혁명 대비 보건의료 산업분야종사자를 위한 융합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 김선정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81

    4 보건의료 철학 내과 의사가 알아야 할 법률

    발행년 2017 

    • 조회 수 81

    9 보건의료 한의의료행위와 법적 문제 / 김형선

    발행년 2018 

    • 조회 수 81

    19 장기 조직 이식 심장이식환자의 체험 / 황영희 외

    발행년 2017 

    • 조회 수 81

    5 과학 기술 사회 원격의료환경에서 개인생체정보 보호 및 무결성에 관한 연구 / 김순석, 이재현

    발행년 2017 

    • 조회 수 81

    19 장기 조직 이식 생존장기기증자의 경험에 기반 한 지원체계 마련방안 / 정선주

    발행년 2017 

    • 조회 수 81

    5 과학 기술 사회 모바일 환경에서의 병원정보시스템 설계 및 구현

    발행년 2011 

    • 조회 수 81

    20 죽음과 죽어감 왕양명 사상의 의료윤리적 적용에 관한 연구 : 연명의료를 중심으로 / 박태환

    발행년 2017 

    • 조회 수 81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에 대한 사전 지식수준과 언론보도의 논조에 따른 공중의 반응 분석/이현선

    발행년 2016 

    • 조회 수 81

    18 인체실험 일개 병원에서 의약품 임상시험의 소아 피험자 현황 / 천수정

    발행년 2012 

    • 조회 수 81

    9 보건의료 인터넷 의료광고가 병원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장성일

    발행년 2012 

    • 조회 수 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