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윤리교육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500979 


환경윤리교육에서 이야기의 활용 = Using the Story in Environmental Ethics Education



  • 제어번호 : 100500979
  • 저자명 : 김대군 ( Dae Gun Kim )
  • 학술지명 : 윤리교육연구
  • 권호사항 : Vol.36 No.- [2015]
  • 발행처 : 한국윤리교육학회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77-100(24쪽)
  • 언어 : Korean
  • 발행년도 : 2015년
  • 등재정보 : KCI등재
  • 주제어 : 인간본질 ,예방윤리 ,환경윤리교육 ,스토리텔링 ,인간중심주의 ,생태중심주의 ,human nature ,preventive ethics ,environmental ethics education ,story ,story telling ,anthropocentrism ,ecocentrism
  • 판매처 한국학술정보 에서 제공하는 논문입니다.



  • -초록-
  • 환경문제는 인류가 당면하고 있는 사회문제들 중에서 가장 시공간적 연관성으로 복잡하고 범위가 넓다는 특징이 있다. 문제가 복잡하고 범위가 넓다보니 원인파악이나 해결방안에 대한 인...
  • 환경문제는 인류가 당면하고 있는 사회문제들 중에서 가장 시공간적 연관성으로 복잡하고 범위가 넓다는 특징이 있다. 문제가 복잡하고 범위가 넓다보니 원인파악이나 해결방안에 대한 인식도 관점에 따라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에는 인간의 본질과 연관된 환경문제의 특징을 찾아 윤리적 관점의 의미를 제시하고, 환경윤리교육 방안으로 이야기를 활용하는 것의 가치 찾기에 초점을 맞추었다. 본 연구는 윤리교육이 대중 매체들과 차별화되는 비판적 통찰의 기회를 제공하는 방안을 찾아야만 그 정체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인식하에 인간존재의 본질, 예방윤리로서 환경윤리의 필요성, 이야기를 활용한 환경윤리교육의 의미를 찾고자 했다. 윤리교육에서 추상성을 극복하기 위한 적절한 자료중의 하나는 이야기이다. 환경윤리교육에서 이야기를 활용하는 것은 자연공동체형성, 타자에 대한 교감형성, 실천력 향상 등 윤리교육의 근본 목적에 부합되는 장점이 있다. 환경윤리교육은 인간과 환경에 대한 바른 이해를 바탕으로 해서 생활 속에서 실천할 수 있게 하는데 있다 하겠다. 환경문제영역에 따른 이야기의 활용은 맥락에서 주체적으로 판단하고 실천하는 능력을 기르는데 기여할 수 있다. 주체적으로 비판적 사고력을 사용하여 판단하고 교감 능력과 실천력까지 기를수 있도록 가르칠 수 있다. 이야기의 활용은 인간중심 환경윤리와 생태중심 환경윤리를 기본 축으로 해서 교수자가 인지해야할 것들을 중심으로 해서 살펴보았다. 환경문제의 예방은 원인을 찾고, 대책을 제시하는데 있어서 적절한 이야기를 찾고 스토리텔링을 하는 데서 더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인간중심주의적 관점에서 이야기를 활용할 때는 환경문제에 초점을 둔 네거티브 접근을 하고, 생태중심적 관점에서 이야기를 활용할 때는 생명현상에 초점을 둔 포지티브 접근을 하여 이야기를 찾고, 스토리텔링 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점을 제시하였다. 이야기를 통한 환경윤리교육은 환경문제에 대해서는 비판적 사고를 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하고, 생명현상에 대해서는 신비로움을 깨닫고 감수성을 갖게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648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에서의 동의 철회와 재생산 자율성의 재구성 / 유수정 2016  82
    647 9 보건의료 의사의 설명의무 범위와 보건의료적 제언 / 정창우 2017  82
    646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용 의약품 복약지도 항목에 대한 임상시험대상자 및 연구자의 요구도 조사 / 유소현 외 2017  82
    645 4 보건의료 철학 의료관련감염에 대한 의료책임인정의 적정성 고찰/이정희 2014  82
    644 1 윤리학 지능정보사회와 헌법상 국가의 책무 / 정준현, 김민호 2017  82
    643 19 장기 조직 이식 생존장기기증자의 경험에 기반 한 지원체계 마련방안 / 정선주 2017  82
    642 19 장기 조직 이식 효율적인 장기기증 교육 · 홍보 메시지 개발을 위한 연구/선혜진 2017  82
    641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의 정당화 요건과 형법적 통제 / 김현조 2015  82
    640 18 인체실험 줄기세포연구실 단기 교육 프로그램 / 이재인 외 2013  82
    639 4 보건의료 철학 간호대학생의 생명존중의식, 공감, 회복탄력성과 생명의료윤리의식과의 관계 / 김은희 외 2018  81
    638 4 보건의료 철학 의료서비스종사자의 역할갈등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 임순연 외 2018  81
    637 4 보건의료 철학 4차 산업혁명 대비 보건의료 산업분야종사자를 위한 융합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 김선정 외 2018  81
    636 9 보건의료 정밀의료를 위한 자기추적기술과 개인의 자율성 / 류재한 2018  81
    635 4 보건의료 철학 내과 의사가 알아야 할 법률 2017  81
    634 19 장기 조직 이식 심장이식환자의 체험 / 황영희 외 2017  81
    633 5 과학 기술 사회 원격의료환경에서 개인생체정보 보호 및 무결성에 관한 연구 / 김순석, 이재현 2017  81
    632 15 유전학 착상전 유전자 진단에 대한 생명윤리적 고찰 / 최진일 2014  81
    631 5 과학 기술 사회 모바일 환경에서의 병원정보시스템 설계 및 구현 2011  81
    630 20 죽음과 죽어감 왕양명 사상의 의료윤리적 적용에 관한 연구 : 연명의료를 중심으로 / 박태환 2017  81
    629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에 대한 사전 지식수준과 언론보도의 논조에 따른 공중의 반응 분석/이현선 2016  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