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37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윤리교육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500979 


환경윤리교육에서 이야기의 활용 = Using the Story in Environmental Ethics Education



  • 제어번호 : 100500979
  • 저자명 : 김대군 ( Dae Gun Kim )
  • 학술지명 : 윤리교육연구
  • 권호사항 : Vol.36 No.- [2015]
  • 발행처 : 한국윤리교육학회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77-100(24쪽)
  • 언어 : Korean
  • 발행년도 : 2015년
  • 등재정보 : KCI등재
  • 주제어 : 인간본질 ,예방윤리 ,환경윤리교육 ,스토리텔링 ,인간중심주의 ,생태중심주의 ,human nature ,preventive ethics ,environmental ethics education ,story ,story telling ,anthropocentrism ,ecocentrism
  • 판매처 한국학술정보 에서 제공하는 논문입니다.



  • -초록-
  • 환경문제는 인류가 당면하고 있는 사회문제들 중에서 가장 시공간적 연관성으로 복잡하고 범위가 넓다는 특징이 있다. 문제가 복잡하고 범위가 넓다보니 원인파악이나 해결방안에 대한 인...
  • 환경문제는 인류가 당면하고 있는 사회문제들 중에서 가장 시공간적 연관성으로 복잡하고 범위가 넓다는 특징이 있다. 문제가 복잡하고 범위가 넓다보니 원인파악이나 해결방안에 대한 인식도 관점에 따라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에는 인간의 본질과 연관된 환경문제의 특징을 찾아 윤리적 관점의 의미를 제시하고, 환경윤리교육 방안으로 이야기를 활용하는 것의 가치 찾기에 초점을 맞추었다. 본 연구는 윤리교육이 대중 매체들과 차별화되는 비판적 통찰의 기회를 제공하는 방안을 찾아야만 그 정체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인식하에 인간존재의 본질, 예방윤리로서 환경윤리의 필요성, 이야기를 활용한 환경윤리교육의 의미를 찾고자 했다. 윤리교육에서 추상성을 극복하기 위한 적절한 자료중의 하나는 이야기이다. 환경윤리교육에서 이야기를 활용하는 것은 자연공동체형성, 타자에 대한 교감형성, 실천력 향상 등 윤리교육의 근본 목적에 부합되는 장점이 있다. 환경윤리교육은 인간과 환경에 대한 바른 이해를 바탕으로 해서 생활 속에서 실천할 수 있게 하는데 있다 하겠다. 환경문제영역에 따른 이야기의 활용은 맥락에서 주체적으로 판단하고 실천하는 능력을 기르는데 기여할 수 있다. 주체적으로 비판적 사고력을 사용하여 판단하고 교감 능력과 실천력까지 기를수 있도록 가르칠 수 있다. 이야기의 활용은 인간중심 환경윤리와 생태중심 환경윤리를 기본 축으로 해서 교수자가 인지해야할 것들을 중심으로 해서 살펴보았다. 환경문제의 예방은 원인을 찾고, 대책을 제시하는데 있어서 적절한 이야기를 찾고 스토리텔링을 하는 데서 더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인간중심주의적 관점에서 이야기를 활용할 때는 환경문제에 초점을 둔 네거티브 접근을 하고, 생태중심적 관점에서 이야기를 활용할 때는 생명현상에 초점을 둔 포지티브 접근을 하여 이야기를 찾고, 스토리텔링 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점을 제시하였다. 이야기를 통한 환경윤리교육은 환경문제에 대해서는 비판적 사고를 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하고, 생명현상에 대해서는 신비로움을 깨닫고 감수성을 갖게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117 15 유전학 유전자검사기술 확대에 따른 국내 유전자 프라이버시 침해의 제 문제/이보형 2017  308
    116 15 유전학 한국의 인간 유전체 연구에 있어 개인 프라이버시권과 국제데이터공유원칙 적용의 문제점 / 김한나 외 2015  306
    115 2 생명윤리 생명의료윤리학의 덕으로의 이행 / 김진경 2004  304
    114 18 인체실험 초등 생명윤리 교육을 위한 모의 IRB 수업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 피험자 설명서를 중심으로 / 장혜림 2011  302
    113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의 연명의료정책과 타나토사회성의 등장- 사회에 책임지는 기술혁신(RRI)의 적용 한계와 기술 거버넌스/이준석 2015  300
    112 2 생명윤리 생명윤리의 실천 방안 연구 : 중학교 도덕교과를 중심으로 / 고경수 2007  288
    111 2 생명윤리 스포츠과학연구에 있어서 생명윤리의 쟁점과 과제 / 김동규, 김현수 2014  288
    110 15 유전학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전부개정(안)과 바이오뱅크를 이용한 연구에서의 피험자 보호방안 / 이정현 2010  283
    109 9 보건의료 다산 정약용의 『목민심서』에 나타난 자(慈)의 원리와 한국 HIV·AIDS 감염인의 인권을 위한 의료인의 역할/정창록 외 2014  281
    108 17 신경과학 우리는 ‘호모 모랄리스’인가? 도덕 딜레마 해결 기제의 신경윤리학 연구 / 윤진호 외 2019  280
    107 2 생명윤리 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과 안락사에 대한 태도 / 이혜림 외 2016  278
    106 15 유전학 인간 배아 유전체 편집에 관한 윤리적 쟁점/전방욱 2015  277
    105 2 생명윤리 생명윤리사상에 기초한 환경윤리교육연구 / 조윤미 2003  275
    104 2 생명윤리 규범 중심의 생명윤리 논의에 대한 비판 : 행위의 통합성을 중심으로 / 김수정 2011  274
    103 15 유전학 유전자검사의 유형에 따른 기관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역할 / 백수진 2009  273
    102 8 환자 의사 관계 자율성으로 본 동의와 동의면제에 대한 고찰 / 백수진 2015  273
    101 14 재생산 기술 생식세포, 배아에 대한 쟁점사항 및 입법논의 / 이인영 2009  273
    100 2 생명윤리 한국 생명윤리의 과거와 현재/황상익 2017  273
    » 16 환경 환경윤리교육에서 이야기의 활용 / 김대군 2015  270
    98 14 재생산 기술 생명복제를 둘러싼 국내의 생명윤리논쟁에 관한 연구 / 이은정 2005  2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