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9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한양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1798061 

종합병원에 내원하는 환자와 가족의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지식 정도, 경험, 태도, 선호도에 관한 연구 = Knowledge, experience, attitudes and preferences toward advance directives among patients and their family members who are visiting the general hospital


  • 저자 : 윤은숙
  • 형태사항 : vi, 51 p. : 삽도 ; 27 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 홍귀령.
    국문요약: p. iv-vi.
    Abstract: p. 46-48.
    부록: 설문지.
    참고문헌: p. 28-30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한양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2009. 8
  • 발행국 : 서울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09
  • 주제어 : 간호행정



초록 (Abstract)

국 문 요 약
본 연구는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지식 정도, 경험, 태도, 선호도에 관하여 알아보고 관련성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된 서술적 조사 연구로서 사전의사결정의 제도적 근거를 마련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 대상은 S시에 소재한 3개 종합병원의 외래에 내원한 환자와 가족을
대상으로 하여, 40~64세 사이의 일반인 중 인지능력이 있고 면담에 응할 수
있는 자로 하였다.
연구 도구는 Singer(1993)가 개발한 89문항에 대한 설문지와 Akira Akabayashi (2003)가 개발한 13문항에 대한 설문지를 번역하여 사용하였으며, 89문항은 사전의사결정과 생명 연장치료에 대한 지식 정도, 경험을 조사하였고, 13문항은 사전의사결정에 관한 태도와 선호도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자료 수집은 2009년 4월 1일부터 2009년 4월 30일까지로 일대일 형식의 교차 질문을 통한 설문지를 작성하여 조사하였다.
수집된 설문지는 총167부로 SPSS WIN 15.0 Program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 편차 등의 서술통계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들의 지식 정도
생명 연장치료와 관련하여 의료절차에 대한 지식 정도에 대하여 인공호흡기 또는 기계호흡의 지식 정도는 61.7%, 심장 맛사지 또는 심폐소생술의 지식 정도는 61.1%, 인공영양 또는 튜브로 음식공급을 하는 것은 60.5%, 중환자실 치료에 대하여는 54.5%, 신장 투석요법에 대하여는 44.3%로 조사되었다. 생존 유서에 대한 대상자들의 지식 정도는 50.9%, 생명 연장치료에 대한 지식 정도는 49.1%, 사전의사결정에 대해 들어 본적이 있는 경우는 19.8%, 건강관리를 위한 변호사의 영속성 있는 위임장에 대해서는 6.6%만이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경험
생명 연장치료에 대하여 다른 사람들과 상의해 본적이 있는가에 대하여, 매우 중병에 걸렸을 경우 생명 연장치료를 원하는 경우는 25.1%로 나타났고, 어떤 생명 연장치료를 원하는지 상담해 본 경험이 있는 경우는 15.6%로였다. 이 15.6%에는 배우자가 10.8%로 가장 많았고, 자녀들이 7.8%, 친구들이 6.0%, 의사 5.4%, 부모 4.2%, 변호사는 1.8%로 조사되었다(중복 응답허용).
어떤 생명 연장치료를 원하는지에 대하여 서면으로 작성한 적이 있는 경우는 0.6%만이 “예” 라고 대답하였으며, 생명 연장치료에 대하여 자신을 대신해서 의료결정을 해 줄 사람이 있는지에 대해 생각해 본적이 있거나 대리인 선임에 대해서 생각해 본 경험이 있는 경우는 34.7%로 나타났다. 자신을 대신하여 의료결정을 해 줄 사람이 있는 34.7%에서는 배우자가 51명(30.5%)으로 가장 많았고, 자녀들이 34명(20.4%), 의사가 18명(10.8%), 부모가 10명(6.0%), 친구가 3명(1.8%), 변호사가 3명(1.8%)순으로 나타났다(중복 응답허용).

3.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태도와 선호도
갑작스러운 질병(예를 들면, 뇌졸 증)이나 사고(예를 들면, 교통사고)로 인해서 의사소통이나 의사결정을 할 수 없을 경우, 의학적 치료에 대하여 미리 자신의 의사표현을 해놓는 것이 더 좋다는 생각에 대한 결과에서는 매우 찬성 한다 44.9%, 보통으로 찬성 한다 44.3%, 보통으로 반대 한다 9.0%, 매우 반대 한다가 1.2%로 조사되었다. 이와 같이 대상자들의 89.2%가 찬성하였으며 사전의사결정에 대하여 매우 긍정적인 지지를 보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전의사결정서를 작성하기 위한 적절한 시기에 대해서는 60.5%에서 환자가 중병에 걸렸을 때라고 하였으며, 병원에 입원할 때가 33.5%, 건강한 상태로 정기검진을 받으러 갔을 때가 19.8%, 양로원에 들어 갈 때가 10.8%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사전의사결정은 환자와 의사 사이의 의사소통을 실질적으로 향상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생존 유서를 미리 작성해 놓는 것은 미래에 일어날 수 있는 일들에 대해서 준비하고, 자신의 의학적 치료에 관한 자신의 치료방법을 선택하는데 도움이 되며, 자신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좋은 방법으로 사료된다. 향후 생명 연장치료에 대한 결정 과정에서 사전의사결정서(Advance Directives)와 생존 유서(Living Will)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iv

  • Ⅰ. 서 론 1
  • 1. 연구 필요성 1

    2. 연구 목적 3

    3. 용어 정의 3


  • Ⅱ. 문헌고찰 4

    1. 사전의사결정(Advance Directives)의 대상 4

    2. 사전의사결정(Advance Directives)에 관한 지식과 태도 4

    3. 사전의사결정(Advance Directives)의 개념 6

    4. 사전의사결정서(Advance Directives) 도입의 필요성 8


    Ⅲ. 연구방법 9

    1. 연구 설계 9

    2. 연구 대상 및 자료수집 방법 9

    3. 연구 도구 10

    4. 자료 분석 방법 10

    5. 연구의 제한점 10


    Ⅳ. 연구결과 11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1

    2. 대상자의 지식 (Knowledge) 정도 14

    3. 생명 연장치료에 대한 경험 (Experience) 15

    4.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태도와 선호도 18

    5. 시기 (Timing) 19

    6. 사전의사결정을 작성하는 이유 20

    7. 개인의 사전의사결정 작성 시 내용 21


    Ⅴ. 논의 22


    Ⅵ. 결론 및 제언 25

    1. 결 론 25

    2. 제 언 27


    참고문헌 28

    부 록 31

    ABSTRACT 46

    감사의 글

    윤리서약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5 과학 기술 사회 미래기술의 이슈에 대한 국제적 비교 / 박순창

    발행년 2013 

    • 조회 수 81

    20 죽음과 죽어감 독일연방의사협회 죽음의 동행 원칙 / 이석배

    발행년 2017 

    • 조회 수 80

    9 보건의료 정밀의료를 위한 자기추적기술과 개인의 자율성 / 류재한

    발행년 2018 

    • 조회 수 80

    23 연구윤리 변화된 연구 환경에 적합한 연구윤리 제도로서연구윤리자문 서비스의 제안 / 이은영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80

    8 환자 의사 관계 임상시험 실시 기관 내 시험대상자 보호 업무의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 이소형

    발행년 2015 

    • 조회 수 80

    9 보건의료 요양병원 수가제도에 대한 소고 - 환자군 조정 판결을 중심으로 - / 권혜옥

    발행년 2017 

    • 조회 수 80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이식형 의료기기의 패키징을 위한 완전 밀폐 방법에 관한 연구

    발행년 2017 

    • 조회 수 80

    15 유전학 착상전 유전자 진단에 대한 생명윤리적 고찰 / 최진일

    발행년 2014 

    • 조회 수 80

    19 장기 조직 이식 미성년 장기제공자의 법적 보호/송영민, 손계수

    발행년 2017 

    • 조회 수 80

    5 과학 기술 사회 바이오템플릿 비트분할 분산 저장기법을 통한 생체인증 시스템 설계 / 홍윤기

    발행년 2017 

    • 조회 수 80

    9 보건의료 「희귀질환관리법」상 의료비 지원 사업에 관한 소고 / 최호영

    발행년 2016 

    • 조회 수 80

    17 신경과학 정신건강 분야에서의 모바일 헬스(mobile health) / 장재순

    발행년 2016 

    • 조회 수 80

    20 죽음과 죽어감 세션 3-3 호스피스,완화의료 제도화를 위한 선결과제 - 정부와 보험자의 역할 :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국민인식도 및 현황/최영순

    발행년 2014 

    • 조회 수 80

    9 보건의료 지구화된 의료시장에서 연구자와 환자의 정체성 / 한광희

    발행년 2019 

    • 조회 수 79

    9 보건의료 감염방지의무위반에 따른 민사상의 책임과 한계 : 독일의 판례와 증명책임완화규정을 중심으로 / 김기영

    발행년 2018 

    • 조회 수 79

    9 보건의료 국내외 치매관리 동향과 시사점 / 박종연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79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기관과 보험회사 종사자의 의료정보보호 인식도 및 실천도 분석 / 이효연

    발행년 2019 

    • 조회 수 79

    5 과학 기술 사회 생체 인증에서의 프라이버시 보호 기술 /박희진, 이윤호

    발행년 2018 

    • 조회 수 79

    20 죽음과 죽어감 소극적 안락사에 대한 의료인의 태도 / 남미영 외

    발행년 1995 

    • 조회 수 79

    9 보건의료 인공지능로봇의료의 도덕형이상학적 모색: 의료적 전자인간의 책임가능성 / 정창록

    발행년 2018 

    • 조회 수 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