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한양대학교 임상간호정보대학원 : 호스피스간호 전공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1033343 

중환자실 간호사가 경험하는 윤리적 딜레마 = Ethical Dilemmas of Nurses in the Intensive Care Unit


  • 저자 : 여성희
  • 형태사항 : vi, 79 p. ; 26 cm.
  • 일반주기 :

    국문요약 : p. i-ii.
    Abstract : p. 77-79.
    부록 : 설문지
    지도교수 : 김분한
    참고문헌: p. 66-72.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한양대학교 임상간호정보대학원 : 호스피스간호 전공 2007. 8
  • 발행국 : 서울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07
  • 주제어 : 간호학



초록 (Abstract)

중환자실 간호사들은 고도의 기술을 요하는 환경, 시시각각으로 변하는 사태, 직면한 환자상태의 불안정 및 위기 상황에서 요구되는 의사결정과 같은 스트레스 원에 계속 노출됨으로써 좌절감과 딜레마를 경험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상황 속에서 윤리적 딜레마를 경험하면서도 해결책이 없는 간호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중환자실 간호사가 경험하는 윤리적 딜레마를 파악함으로써 향후 중환자실 간호사의 윤리적 딜레마 상황에 직면했을 때 올바른 윤리적 가치관 확립과 대처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문제는 ‘중환자실 간호사가 경험하는 윤리적 딜레마는 무엇입니까?’ 이다.
자료 수집은 2007년 4월 18일에서 5월11일까지였으며, 본 연구의 참여자는 15 병상이상의 중환자실에서 1년 이상 근무하는 간호사로 연구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에 참여하기를 서면 동의한 12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Colaizzi(1978)가 제시한 분석방법을 통해 중환자실 간호사 경험하는 윤리적 딜레마에서 수집된 원자료로부터 도출한 의미 있는 진술(significant statement)은 총 142개였고, 이를 통한 의미 구성(formulating meanings)은 96개였다. 이를 토대로 원자료(Protocols)와의 관련성을 재확인하면서 39개의 주제(themes)를 정하였고, 주제 가운데 통합할 수 있는 것 끼리 모아 13개의 주제모음(them cluster)과 4개의 범주(categories)로 구성하였다.
분석한 결과 구조적 딜레마, 가족으로 인한 갈등, 상황적 딜레마, 삶과 죽음의 딜레마로 4가지 범주가 도출되었다.
‘구조적 딜레마’ 범주는 <의료진과의 갈등을 느낌>, <간호사의 모호한 역할 에 갈등을 느낌>, <책임소재에 대해 갈등을 느낌> 3 가지 주제모음을 포함한다.
‘가족으로 인한 갈등‘ 범주는 <가족과의 관계성에서 갈등함>, <가족은 중환자실에서의 연명치료에 부담을 느낌>, <가족은 사전의사결정을 하기 어려워 함>, <가족의 입장을 고려함>의 4 가지 주제모음을 포함한다.
‘상황적 딜레마’ 범주는 <간호 업무에 어려움을 느낌>, <가족의 사전의사결정시 보조 역할을 함>, <중환자실 상황에서 갈등을 느낌>의 3가지 주제모음을 포함한다.
‘삶과 죽음의 딜레마’ 범주는 <의미 없는 연명치료에 양가감정을 느낌>, <자신의 죽음을 준비함>, <최선의 노력을 다하려 함>, <생명 자체가 중요함>의 4가지 주제모음을 포함한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중환자실 간호사가 경험하는 윤리적 딜레마의 현상을 이해하고 이 현상에서 나타나는 심리적, 신체적, 대처반응을 확인함으로써 앞으로 중환자실 간호사들이 경험하는 윤리적 딜레마 현상에서 윤리적 가치관 확립과 윤리적 딜레마 갈등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또한, 중환자실 간호사들이 윤리적 딜레마 현상에서 명확한 윤리적 가치관을 가지고 윤리적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간호윤리 교육을 강화해야 하며 병원 내 간호사 상담제도가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윤리적 의사결정 시 체계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중환자실 특성에 맞는 윤리적 의사결정 모델이 개발되어야 하고, 병원 윤리위원회의 간호 영역에서의 활성화가 요구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 1

    2. 연구의 목적 = 3

    3. 연구문제 = 4

    4. 용어정의 = 4

    Ⅱ. 문헌고찰 = 5

    1. 윤리적 딜레마 = 5

    2. 간호전문직과 윤리적 딜레마 = 10

    Ⅲ. 연구 방법 = 17

    1. 연구 설계 = 17

    2. 연구 대상 = 17

    3. 연구 질문 = 17

    4. 자료수집 방법 = 18

    5. 참여자에 대한 윤리적 고려사항 = 19

    6. 연구자의 준비 = 19

    7. 자료분석 방법 = 20

    Ⅳ. 연구 결과 = 22

    1.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 = 22

    2. 분석 결과 = 23

    3. 통합된 구조적 진술 = 46

    Ⅴ. 논의 = 51

    Ⅵ. 결론 및 제언 = 62

    참고문헌 = 66

    ABSTRACT = 7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388 9 보건의료 윤리적 쟁점을 중심으로 한 보건의료정책 변화의 고찰 / 이동현 외 2018  58
    4387 9 보건의료 의료수가결정과 변화에 대한 사이버네틱스 접근방법에 의한 연구 / 김주환 2010  59
    4386 19 장기 조직 이식 조세감면정책을 통한 장기기증의 확대방안에 관한 연구 / 정상기 2009  59
    4385 1 윤리학 개인정보보호법을 대비한 개인정보보호 시스템에 관한 연구 / 김동례 2011  59
    4384 9 보건의료 대사증후군기반 의료 빅데이터 표준화 시스템의 설계 / 김지언 2017  59
    4383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소송과 실질적인 환자의 권리보호에 관한 소고 / 손연우 2016  59
    4382 20 죽음과 죽어감 불교의 생사관에서 본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연구 2017  59
    4381 9 보건의료 일차의료의 질 향상을 위한 접근 방향 / 황나미 2013  59
    4380 12 낙태 낙태의 생명윤리학 / 엄정식 2018  59
    4379 9 보건의료 말기암환자 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우리나라 암환자 완화의료기관의 이용현황 / 신동욱 외 2010  59
    4378 2 생명윤리 자연주기법을 통한 가정의 생명교육에 관한 고찰 /이진이 2018  59
    4377 9 보건의료 국내 재난 시 인명피해 대비 보건의료 교육 현황 / 유학인 외 2018  59
    4376 9 보건의료 불법의료기관 근절 대책을 위한 교육 자료 개발 연구 / 안덕선 외 2018  59
    4375 9 보건의료 의료분야에 있어 빅데이터의 활용 동향과 법적 제문제 - 일본의 논의를 참고로 / 김진영 2016  60
    4374 13 인구 저출산 대책 - '일ㆍ가정 양립'은 우리 모두의 권리이자 의무이다 / 이상식 2017  60
    4373 13 인구 인구구조의 변화에 대응하는 출판 수용자 연구 : 베이비붐 세대의 독서 행태와 충족을 중심으로 / 현진희 2017  60
    4372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 및 호스피스·완화의료의 철학적 토대 모색 / 권미연 2017  60
    4371 14 재생산 기술 인공수정 시술비지원 사업대상의 임신성공 특성분석 2012  60
    4370 9 보건의료 장애아동과 비장애아동의 의료이용 및 질병특성 비교 / 김유진 2017  60
    4369 2 생명윤리 고등학생의 비판적 글쓰기에서 제시문에 대한 분석 유도가 생명 윤리 관점에 미치는 영향 / 하자복 2017  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