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한양대학교 임상간호정보대학원 : 노인및치매간호 전공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1033324 

노인환자 가족의 생명연장술에 대한 인식:Q-방법론적 접근 = Perception in families of elderly patients on life sustaining treatment:Q-Methodological approach


  • 저자 : 배보경
  • 형태사항 : v, 66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 :

    국문요약 : p. i-ii.
    Abstract : p. 63-66.
    부록 : 설문지.
    지도교수 : 이정섭
    참고문헌: p. 56-59.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한양대학교 임상간호정보대학원 : 노인및치매간호 전공 2007. 8
  • 발행국 : 서울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07
  • 주제어 : 간호학



초록 (Abstract)

  • 본 연구는 의사 결정을 할 수 없는 노인 환자 가족의 생명연장술 인식에 대한 탐색적 연구이다.
    인위적으로 생존기간을 연장할 수 있는 의료기술의 발전은 치유가 불가능한 환자를 치료하는 상황에서 말기환자의 고비용 문제, 제한된 의료자원의 배분문제와 함께 윤리적, 법적인 문제들을 야기 시킨다.
    환자의 치료를 중단하는 객관적인 기준을 설정하는 것은 쉽지 않고, 개인의 가치관의 차이에 따라 현저히 달라 질 수 있으므로 연명치료에 대한 당사자의 의견을 문서로 남겨 두는 것이 필요하다(사전의사 결정). 그러나 의사표현을 할 수 없는 환자의 경우는 가족의 가치관이 중요하게 작용하므로 환자의 생애 마지막 순간에 무의미한 생명연장, 환자의 자율성 존중, 질 적 삶의 문제가 갈등의 요소로 대립 될 상황이 발생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환자가 처한 문제에 대하여 우선순위를 정하는 환자 가족의 윤리적 기준에 대한 특성을 파악할 필요성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대상자의 관점에서 출발하여 각 개인의 경험이나 지각에 따라 다르게 인식할 수 있는, 추상성이 높은 개념을 객관화하기에 유용한 Q-방법론을 이용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Q-모집단을 추출하기 위해 의료인과 비의료인 18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한 자료와 생명연장술과 관련된 문헌 조사를 이용하여 표집 한 총113개의 진술문을 의미와 주제별로 10개의 범주로 분류한 다음 각 범주에서 대표적인 진술문 30개를 Q-표본으로 완성하였다. P-표본은 특성이 다양하도록 하여 33명의 노인요양병원 환자 가족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자로 하여금 강제 분포가 되도록 각자의 의견 중요도를 7점 척도 상에 Q-분류하도록 하였고 그 결과는 PC QUANL 프로그램으로 Q-요인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생명연장술에 대한 노인 환자 가족의 의식구조는 6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제 1 유형은 ‘합리적 판단형’으로 생명연장술에 대한 윤리적 지침, 환자의 의학적 상태와 삶의 가치, 가족의 심리·경제적 부담감을 고려하여 합리적으로 판단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유형이다.
    제 2 유형은 ‘생명존중형’으로 생명연장술의 시행은 가족으로서의 도리이고 생명은 고귀한 것이므로 생명연장술은 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유형이다.
    제 3유형은 ‘거부형’으로 회복 불가능한 상태에서 단순히 생명만을 연장하는 무의미한 치료는 편안하고 품위 있는 죽음을 방해한다고 생각하는 유형이다.
    제 4유형은 ‘순리적응형’으로 죽음은 자연스런 삶의 과정으로 받아들이고 만성질환자나 뇌사자는 생명연장술을 시행하지 말고 최소한의 의료만 받아야 한다고 생각하는 유형이다.
    제 5 유형은 ‘혼돈형’으로 생명연장술에 대한 가족의 의사결정권에 대해 강한 의사를 표현하며, 가족으로서의 도리도 중요하지만 가족의 부담감과 환자의 고통을 고려하여야 하고 의료진과의 합의 또는 가족간에 의견의 일치를 이루지 못해 혼돈스러워 하는 유형이다.
    제 6 유형은 ‘종교형’으로 삶을 종결시킬 권한은 본인·가족 그 누구에게도 없으며 절대자의 몫이라고 인지하는 유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의사 결정을 할 수 없는 회복불능인 노인 환자가족의 생명연장술에 대한 견해를 유형화 하여 그 유형에 속한 대상자들이 생명연장술에 대한 윤리적 갈등을 경험 할 때에 어떤 윤리적인 요소가 작용했는지를 파악 했다는 것이며, 이는 간호사가 간호 사정할 때 그 노인환자 가족이 인식한 생명연장술의 사실적 자료를 제공 받을 수 있고, 간호과정 목표 달성에 도움을 주리라 기대 된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 1

    2. 연구 목적 = 3

    Ⅱ.이론적 배경 = 4

    1. 생명연장술의 정의 = 4

    2. 생명연장술과 자율성 = 4

    3. 생명연장술의 중단에 대한 가치 판단 = 6

    4. 생명연장술에 대한 태도와 관련요인 = 7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 9

    1. Q-모집단 (concourse)의 구성 = 9

    2. Q-표본의 선정(Q-sampling) = 11

    3. Q-카드와 Q-표본의 분포도 작성 = 14

    4. P-표본의 선정 (P-sampling method) = 15

    5. Q-분류(Q-sorting)과정과 방법 = 16

    6. 자료 처리 및 분석 방법 = 17

    Ⅳ. 연구 결과 = 18

    1. 생명연장술에 대한 Q-유형의 형성 = 18

    2. 노인 환자 가족의 생명연장술에 대한 유형별 분석 = 21

    Ⅴ. 논의 = 46

    1. 유형별 인식 = 47

    2. 간호 중재 방안 = 51

    Ⅵ. 결론 및 제언 = 53

    참고 문헌 = 56

    부록 = 60

    Abatract = 6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388 9 보건의료 윤리적 쟁점을 중심으로 한 보건의료정책 변화의 고찰 / 이동현 외 2018  58
    4387 9 보건의료 의료수가결정과 변화에 대한 사이버네틱스 접근방법에 의한 연구 / 김주환 2010  59
    4386 19 장기 조직 이식 조세감면정책을 통한 장기기증의 확대방안에 관한 연구 / 정상기 2009  59
    4385 1 윤리학 개인정보보호법을 대비한 개인정보보호 시스템에 관한 연구 / 김동례 2011  59
    4384 9 보건의료 대사증후군기반 의료 빅데이터 표준화 시스템의 설계 / 김지언 2017  59
    4383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소송과 실질적인 환자의 권리보호에 관한 소고 / 손연우 2016  59
    4382 20 죽음과 죽어감 불교의 생사관에서 본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연구 2017  59
    4381 9 보건의료 일차의료의 질 향상을 위한 접근 방향 / 황나미 2013  59
    4380 12 낙태 낙태의 생명윤리학 / 엄정식 2018  59
    4379 9 보건의료 말기암환자 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우리나라 암환자 완화의료기관의 이용현황 / 신동욱 외 2010  59
    4378 2 생명윤리 자연주기법을 통한 가정의 생명교육에 관한 고찰 /이진이 2018  59
    4377 9 보건의료 국내 재난 시 인명피해 대비 보건의료 교육 현황 / 유학인 외 2018  59
    4376 9 보건의료 불법의료기관 근절 대책을 위한 교육 자료 개발 연구 / 안덕선 외 2018  59
    4375 9 보건의료 의료분야에 있어 빅데이터의 활용 동향과 법적 제문제 - 일본의 논의를 참고로 / 김진영 2016  60
    4374 13 인구 저출산 대책 - '일ㆍ가정 양립'은 우리 모두의 권리이자 의무이다 / 이상식 2017  60
    4373 13 인구 인구구조의 변화에 대응하는 출판 수용자 연구 : 베이비붐 세대의 독서 행태와 충족을 중심으로 / 현진희 2017  60
    4372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 및 호스피스·완화의료의 철학적 토대 모색 / 권미연 2017  60
    4371 14 재생산 기술 인공수정 시술비지원 사업대상의 임신성공 특성분석 2012  60
    4370 9 보건의료 장애아동과 비장애아동의 의료이용 및 질병특성 비교 / 김유진 2017  60
    4369 2 생명윤리 고등학생의 비판적 글쓰기에서 제시문에 대한 분석 유도가 생명 윤리 관점에 미치는 영향 / 하자복 2017  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