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4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한신대학교 대학원: 종교문화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9343093 

생명 윤리에 대한 종교적 대응 태도 연구 : 안락사를 중심으로


  • 저자 : 최형창
  • 형태사항 : 81p. ; 27cm
  • 일반주기 : 참고문헌: p. 79-81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한신대학교 대학원: 종교문화학과 2004. 2
  • KDC : 204.4 4
  • 발행국 : 경기도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03
  • 주제어 : 생명윤리, 종교, 안락사, 종교윤리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눈부시게 발전하는 현대의 생명공학과 의료 기술에 의해서 새롭게 제기되는 생명 윤리 문제, 특히 안락사 문제에 대한 종교인 또는 종교 단체들의 종교적 대응 태도를 살펴보고, 그 태도가 어떠한 종교적 신념에서 비롯한 것인가를 밝혀 안락사에 대한 태도와 종교적 신념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종교인이나 종교단체들의 안락사에 대한 찬반이나 이에 대한 견해가 종교적 신념을 통해 제시된다는 사실을 밝힘으로써 안락사에 대한 대응 태도를 통해 종교를 이해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타진하여 보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논문에서는 유형적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안락사에 대한 대응 태도를 안락사에 대해 적극적으로 찬성하는 입장, 소극적으로 찬성 또는 반대하는 입장, 그리고 적극적으로 반대하는 입장 등 세 유형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유형에서 공통적으로 갖는 종교적 이유와 신념들을 찾아보고 그것을 바탕으로 안락사에 대한 태도와 종교적 신념사이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이러한 과정에서 확인할 수 있었던 것은 안락사에 대한 종교계의 입장들이 그들의 종교적 신념을 근거로 하고 있다는 것이다. 즉 종교인들과 종교단체들은 종교적 신념을 근거로 하여 안락사에 대한 찬반의 태도를 보이고 있다는 것이었다. 또한 서로 다른 종교인 또는 종교단체라 하더라도 안락사에 대한 태도가 비슷할 경우 종교적 신념의 공통점도 찾을 수 있었다.
안락사에 대해 적극적으로 찬성하는 입장들은 당사자 개인의 '죽을 권리'를 강조하면서 그것도 신이 부여한 권리로 보고 있다. 이러한 주장은 경전이나 전통적 교리를 현실에 비추어 새롭게 해석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진보적이고 자유주의적인 종교인과 종교단체들이 대부분 이에 속한다. 반면 안락사를 적극적으로 반대하는 사람들은 종교적 신념과 교리 또는 계율 등을 문자적으로 적용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불교에서의 '불살생' 교리나 기독교의 '인간 생명은 신에 속한 것' 등의 종교적 신념은 안락사를 반대하는 근거로 제시되고 있다. 또한 이들은 안락사를 자살이나 살인으로까지 확대 해석하기도 하는데 보수적이고 근본주의적인 종교단체들이 이 범주에 속하고 있다. 안락사에 대해 소극적으로 찬성하거나 반대하는 입장에 있는 종교단체들은 원칙과 현실 사이에서 딜레마에 놓여있다. 원칙적으로는 전통적인 종교적 신념을 강조하면서 현실적으로 안락사를 인정할 수도 있는 상황을 고려하기 때문에 명확한 입장을 유보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세 가지 유형에 따른 종교적 신념의 공통점은 일반적인 종교적 진보와 보수의 차이와도 일맥상통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안락사에 대한 대응 태도의 차이는 역으로 그 종교 또는 종교단체에 대한 이해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안락사에 대한 찬반의 태도가 종교적 신념의 양태를 가늠하는 준거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1. 문제의 제기 = 1

    2. 연구 목적과 방법 = 7

    3. 연구사 정리 및 연구 범위 = 9

    Ⅱ. 생명 윤리와 안락사의 쟁점 = 17

    1. 생명 윤리와 안락사에 대한 개념 및 일반적 논의 = 17

    2. 생명 윤리의 주요 관심사 ; 생명 및 죽음에 대한 이해 = 24

    3. 안락사에 대한 일반적 찬ㆍ반 논거 = 30

    Ⅲ. 안락사와 종교적 신념 = 34

    1. 안락사에 대한 종교계의 찬ㆍ반 논의 = 35

    1) 개신교계의 논의 = 35

    2) 가톨릭교회의 논의 = 37

    3) 불교계의 논의 = 38

    4) 이슬람의 논의 = 39

    2. 안락사에 대한 종교계의 태도 = 41

    1) 안락사를 적극적으로 찬성하는 입장 = 41

    2) 안락사를 소극적으로 찬성하는 입장 및 소극적으로 반대하는 입장 = 47

    3) 안락사를 적극적으로 반대하는 입장 = 53

    3. 안락사에 대한 종교적 태도의 유형화 및 종교적 신념과의 관계 = 69

    Ⅳ. 결론 = 75

    참고문헌 = 79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4388 9 보건의료 윤리적 쟁점을 중심으로 한 보건의료정책 변화의 고찰 / 이동현 외 2018  58
    4387 9 보건의료 의료수가결정과 변화에 대한 사이버네틱스 접근방법에 의한 연구 / 김주환 2010  59
    4386 19 장기 조직 이식 조세감면정책을 통한 장기기증의 확대방안에 관한 연구 / 정상기 2009  59
    4385 1 윤리학 개인정보보호법을 대비한 개인정보보호 시스템에 관한 연구 / 김동례 2011  59
    4384 9 보건의료 대사증후군기반 의료 빅데이터 표준화 시스템의 설계 / 김지언 2017  59
    4383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소송과 실질적인 환자의 권리보호에 관한 소고 / 손연우 2016  59
    4382 20 죽음과 죽어감 불교의 생사관에서 본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연구 2017  59
    4381 9 보건의료 일차의료의 질 향상을 위한 접근 방향 / 황나미 2013  59
    4380 12 낙태 낙태의 생명윤리학 / 엄정식 2018  59
    4379 9 보건의료 말기암환자 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우리나라 암환자 완화의료기관의 이용현황 / 신동욱 외 2010  59
    4378 2 생명윤리 자연주기법을 통한 가정의 생명교육에 관한 고찰 /이진이 2018  59
    4377 9 보건의료 국내 재난 시 인명피해 대비 보건의료 교육 현황 / 유학인 외 2018  59
    4376 9 보건의료 불법의료기관 근절 대책을 위한 교육 자료 개발 연구 / 안덕선 외 2018  59
    4375 9 보건의료 의료분야에 있어 빅데이터의 활용 동향과 법적 제문제 - 일본의 논의를 참고로 / 김진영 2016  60
    4374 13 인구 저출산 대책 - '일ㆍ가정 양립'은 우리 모두의 권리이자 의무이다 / 이상식 2017  60
    4373 13 인구 인구구조의 변화에 대응하는 출판 수용자 연구 : 베이비붐 세대의 독서 행태와 충족을 중심으로 / 현진희 2017  60
    4372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 및 호스피스·완화의료의 철학적 토대 모색 / 권미연 2017  60
    4371 14 재생산 기술 인공수정 시술비지원 사업대상의 임신성공 특성분석 2012  60
    4370 9 보건의료 장애아동과 비장애아동의 의료이용 및 질병특성 비교 / 김유진 2017  60
    4369 2 생명윤리 고등학생의 비판적 글쓰기에서 제시문에 대한 분석 유도가 생명 윤리 관점에 미치는 영향 / 하자복 2017  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