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1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 국민윤리교육전공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8944641 

생명윤리교육의 현황과 방향 연구 = A Study on the State and Directions of Bioethics Education


  • 저자 : 尹順愛
  • 형태사항 : iv, 58 p..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仁川大學校 敎育大學院: 國民倫理敎育專攻 2001
  • KDC : 374.19
  • 발행국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01
  • 주제어 : 생명윤리, 윤리교육




초록 (Abstract)

21세기는 생명 과학과 의료 기술의 눈부신 발전으로 인하여 생명과 죽음의 문제에 대해 새로운 윤리적 문제들이 생기게 되었다. 이에 1970년대부터 생명(bio·life)의 문제와 윤리(ethics)의 문제가 생명윤리(bioethics)라는 합성 용어로 만들어저 완전히 새로운 학문분야로 발전하였고, 생명 윤리는 21세기의 기술로 인해 야기되는 신체와 생명 및 인격의 자유와 존엄에 대한 위험이 존재하는 학문과 연구에는 어디서나 요구되는 것이다.
생명은 인간이 지니고 있는 최고의 가치로써 생명의 개념에 관한 문제는 인류의 끊임없는 추구의 대상이 되어 왔으나 생명이 무엇인가 하는 문제는 광범위하고, 포괄적이며, 일회적이기 때문애 한마디로 정의하기는 어렵다. 생명은 대체로 살아 있는 것과 살아 있지 않는 것을 분간해 주는 기준, 즉 목숨을 의미한다. 학자들에 따라 다양하게 생명의 개념이 논의 된다고 하더라도 생명이란 의미 있고 가치가 충만한 것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생명의 가치라는 말은 효용가치 또는 쾌락 가치와는 다른 의미를 담고 있어서, 생명의 가치는 우리에게 생명을 존중할 것을 요구하며, 살아 있는 것은 모두 그 자체로 특별한 가치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그러나 인간의 생명이 다른 사람의 편리를 위하여 그리고 다른 사람의 결정에 의하여 좌우될 수 있는 경우들이 생기면서 인간 생명의 절대성에 커다란 금이 생겨났다. 의사들에게 인간의 가치와 존엄성에 관련되어 문제가 생기는 경우는, 의료행위를 통한 의사의 연구와 치료행위가 환자의 건강과 복지를 우선적인 목적으로 삼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인공수정, 임신중절, 안락사, 뇌사, 장기 이식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며, 오늘날 이러한 문제들이 최근에 더욱 긴박한 주제로 부상하게 된 것은 의료기술의 발전, 사회적 여건의 변화, 도덕적 가치관의 변화를 들 수 있다.
생명의 위기 현상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은 다양하게 모색되어질 수 있지만 근본적인 대책으로 생명에 대한 새로운 가치관의 모색이 필요하며, 이에 21세기 생명윤리교육에 있어서 새로운 방향이 모색되어야 한다. 6차 교육과정에 와서 이데올로기 단원의 삭제와 민족 교육 내용의 강화, 생명 존중, 환경, 과학과 윤리의 신설, 전통 윤리에 대한 인간성과 도덕성 회복의 강조, 근로와 직업 교육 및 경제 윤리와 직장 윤리의 중시로 지도 내용이 체계화와 되었다. 이렇게 서서히 교과 과정 속에 생명윤리에 대한 문제 의식이 자리 잡기 시작하였으며, 7차교육과정에는 6차교육과정에서 다루지 않았던 인간 생명을 다루기 시작했다 하더라도 그 내용과 체계가 아직까지는 부족하다.
이에 본 논문은 현대 사회의 심각한 문제들로 인식되고 있는 생명의 위기, 특히 인간의 생명과 관계되는 많은 논쟁들을 극복하기 위한 도덕·윤리과 교육에 도입, 강화되어야 하는 생명윤리교육의 방안을 마련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생명위기 현상의 원인과 생명윤리에 관한 현대사회의 교육적 욕구를 조사하고, 생명윤리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여, 새로운 가치관을 정립할 수 있도록 생명윤리교육의 목적, 성격과 범위 및 교재내용의 구성의 방안으로 나누어 모색해 보고자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588 18 인체실험 인간배아줄기세포 연구와 임상시험의 문제점 / 류화신 2013  2995
4587 2 생명윤리 자율성 존중 원칙과 선행 원칙의 충돌 상황에서의 인간 이해 / 오승민, 김평만 2018  2975
4586 5 과학 기술 사회 지능형 로봇에 대한 사법적 규율 ― 유럽연합의 입법 권고를 계기로 하여 ― / 김진우 2017  2941
4585 9 보건의료 중환자실 간호사가 경험하는 윤리적 딜레마 / 여성희 2007  2872
4584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를 거부할 권리 / 허대석 2008  2858
4583 12 낙태 피터 싱어의 생명윤리 관점에서 본 임신 중절의 문제 / 이미경 2011  2764
4582 9 보건의료 정부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방안의 쟁점과 과제/김계현, 김한나 2018  2741
4581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관한 헌법적 연구 : 적극적 안락사를 중심으로 / 최다혜 2015  2734
4580 22 동물복지 유기동물 안락사의 윤리적 고찰과 사례를 통한 발전적 해결방안 / 박종무 2014  2684
4579 14 재생산 기술 잉여냉동배아의 이용에 대한 윤리적 평가와 불교적 입장 / 곽만연 2005  2625
4578 20 죽음과 죽어감 독일 아동청소년문학에 나타난 죽음개념의 변화 / 김경란 2015  2620
4577 13 인구 저출산 고령화 사회의 영향과 대응 방안에 관한 연구 / 소현정 2007  2613
4576 15 유전학 GMO의 윤리적 문제 / 이종원 2014  2592
4575 1 윤리학 노인자원봉사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 / 김충묵 외 2016  2537
4574 20 죽음과 죽어감 현대 한국인의 죽음에 관한 인식과 태도 / 김희경 2003  2527
4573 15 유전학 갈락토스혈증의 신생아 선별검사 후 진단 알고리즘 / 손영배 2015  2515
4572 22 동물복지 동물실험에 대한 피터 싱어의 입장 비판 / 이은애 2017  2504
4571 18 인체실험 항암제의 국내 임상시험 소요기간 및 허가동향에 대한 연구 / 이예린 2017  2479
4570 5 과학 기술 사회 왓슨과 인간 돌봄이론 / 남미순 2015  2461
4569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간호사의 법적 책임의 한계와 법 제도적 개선방안 / 심보혜 2018  24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