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66
발행년 : 200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 윤리교육전공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0654637 

현대 의학의 윤리적 문제에 대한 연구 = (A) study in the Ethical problems of contemporary medicine


  • 저자 : 김정진
  • 형태사항 : 42p. ; 26cm
  • 일반주기 : 참고문헌: p. 40-42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 윤리교육전공 2006. 2
  • KDC : 190 4
  • DDC : 170 21
  • 발행국 : 경상남도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06
  • 주제어 : 의학, 윤리, 윤리교육



초록 (Abstract)

  • 현대과학 기술의 발전은 의학 기술의 발전과 함께 의료계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현재 우리 주변에서 일어나고 있는 생명 윤리의 문제들은 의료계의 문제에만 국...
  • 현대과학 기술의 발전은 의학 기술의 발전과 함께 의료계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현재 우리 주변에서 일어나고 있는 생명 윤리의 문제들은 의료계의 문제에만 국한 시켜 해결할 수 없는 사회문제임을 인식해야 한다. 따라서 안락사, 뇌사, 평균수명연장에 따른 노인문제들을 통해 현대의학의 문제점을 알아 보고, 인간 중심의 현대 의학 정립을 위한 방안을 살펴보기로 한다.
    안락사와 뇌사의 판단 문제는 현대 의학 발전의 성과라는 명분이 무색할 만큼 많은 논쟁이 야기되고 있으며, 인간의 존엄성과 같은 쉽게 판단하기 힘든 가치문제에 둘러 싸여 있다. 또한 평균 수명 연장과 같은 현대 의학의 비약적 성과는 인간의 삶을 더욱더 의미 있는 것으로 만들어 주기도 하지만, 복지나 분배 정책이 제대로 실현되지 못하고 있는 현 상황에서는 삶에 대한 가치를 오히려 더 퇴보시키는 것이 아닌가하는 의문이 제기 되기도 한다. 따라서 인간의 가치로운 삶을 살아가는데 있어 현대 의학 기술은 보조적 역할을 수행해야 하며 본연의 가치로운 생명이란 그러한 의학 기술보다는 정신적인 삶의 질의 추구, 그리고 인위적인 것에 얽매이지 않는 자연스러운 생명 현상임을 깨달아야 할 것이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 목차 = ⅱ

    Ⅰ. 현대 의학과 윤리 = 1

    Ⅱ. 현대 의학의 문제점 = 3

    1. 안락사 = 3

    2. 뇌사 = 17

    3. 평균수명 연장과 노인 문제 = 26

    Ⅲ. 의료제도와 분배의 윤리 = 32

    Ⅳ. 현대 의학의 윤리적 정립을 위한 방안 = 37

    <참고문헌> = 4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66 1 윤리학 테일러의 생명중심주의 사상의 환경윤리교육적 함의 / 이제용 2014  4638
    65 1 윤리학 칸트 법철학에서 형벌이론과 사형제도 정당화에 대한 연구 / 김세빈 2016  2300
    64 20 죽음과 죽어감 기독교 윤리학적 관점에서 본 안락사에 대한 문제 / 이영태 2003  1363
    63 20 죽음과 죽어감 청소년 죽음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 연구 / 박현정 2016  1119
    » 2 생명윤리 현대 의학의 윤리적 문제에 대한 연구 / 김정진 2006  1100
    61 2 생명윤리 영화를 이용한 생명의료윤리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에 미치는 효과 / 김선영 2014  1041
    60 20 죽음과 죽어감 웰다잉(Well-dying)을 위한 죽음준비교육이 여가태도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최은주 2015  1009
    59 20 죽음과 죽어감 좋은 죽음에 대한 의사의 개념과 교육 / 유상호 2014  793
    58 7 의료사회학 의사보조인력(Physician Assistant)의 현황과 의료법적 문제점 / 김현주, 박경기, 허정식 2014  785
    57 2 생명윤리 중등 교육 과정에서의 생명 존중 교육에 관한 연구 : 도덕·윤리 교과를 중심으로 / 장정훈 2002  758
    56 20 죽음과 죽어감 Nursing Students' First Clinical Experiences of Death / 박형숙, 지영주, 김순희, 김윤지 2014  620
    55 20 죽음과 죽어감 통합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이 장애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 / 길태영 2016  605
    54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윤리교육에 있어서 안락사 문제 연구 : 2009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 한미정 2012  543
    53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 결정에 대한 법 제정과 현실 / 김중곤 2014  531
    52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환자의 자기효능전략을 이용한 퇴원시 개별교육과 추후 전화상담의 효과 / 황영희 2013  515
    51 19 장기 조직 이식 간 이식 수혜자의 수술 후 경과 시기에 따른 교육 요구도 비교 연구 / 고다미 2012  464
    50 2 생명윤리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윤리적 이슈와대학의 생명윤리교육 방향 제고 / 이경화 외 2018  459
    49 2 생명윤리 생명중심 윤리사상에 기초한 환경윤리교육 : 고등학교 도덕 교과서를 중심으로 / 이미선 2008  424
    48 2 생명윤리 생명윤리교육의 현황과 방향 연구 / 윤순애 2001  421
    47 18 인체실험 IRB 전문인력양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교육 수요자 요구 분석 / 김난희 2015  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