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 윤리교육전공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0654637 

현대 의학의 윤리적 문제에 대한 연구 = (A) study in the Ethical problems of contemporary medicine


  • 저자 : 김정진
  • 형태사항 : 42p. ; 26cm
  • 일반주기 : 참고문헌: p. 40-42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 윤리교육전공 2006. 2
  • KDC : 190 4
  • DDC : 170 21
  • 발행국 : 경상남도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06
  • 주제어 : 의학, 윤리, 윤리교육



초록 (Abstract)

  • 현대과학 기술의 발전은 의학 기술의 발전과 함께 의료계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현재 우리 주변에서 일어나고 있는 생명 윤리의 문제들은 의료계의 문제에만 국...
  • 현대과학 기술의 발전은 의학 기술의 발전과 함께 의료계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현재 우리 주변에서 일어나고 있는 생명 윤리의 문제들은 의료계의 문제에만 국한 시켜 해결할 수 없는 사회문제임을 인식해야 한다. 따라서 안락사, 뇌사, 평균수명연장에 따른 노인문제들을 통해 현대의학의 문제점을 알아 보고, 인간 중심의 현대 의학 정립을 위한 방안을 살펴보기로 한다.
    안락사와 뇌사의 판단 문제는 현대 의학 발전의 성과라는 명분이 무색할 만큼 많은 논쟁이 야기되고 있으며, 인간의 존엄성과 같은 쉽게 판단하기 힘든 가치문제에 둘러 싸여 있다. 또한 평균 수명 연장과 같은 현대 의학의 비약적 성과는 인간의 삶을 더욱더 의미 있는 것으로 만들어 주기도 하지만, 복지나 분배 정책이 제대로 실현되지 못하고 있는 현 상황에서는 삶에 대한 가치를 오히려 더 퇴보시키는 것이 아닌가하는 의문이 제기 되기도 한다. 따라서 인간의 가치로운 삶을 살아가는데 있어 현대 의학 기술은 보조적 역할을 수행해야 하며 본연의 가치로운 생명이란 그러한 의학 기술보다는 정신적인 삶의 질의 추구, 그리고 인위적인 것에 얽매이지 않는 자연스러운 생명 현상임을 깨달아야 할 것이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 목차 = ⅱ

    Ⅰ. 현대 의학과 윤리 = 1

    Ⅱ. 현대 의학의 문제점 = 3

    1. 안락사 = 3

    2. 뇌사 = 17

    3. 평균수명 연장과 노인 문제 = 26

    Ⅲ. 의료제도와 분배의 윤리 = 32

    Ⅳ. 현대 의학의 윤리적 정립을 위한 방안 = 37

    <참고문헌> = 4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 윤리학 베이비박스의 실태와 대안 / 김형모

    발행년 2017 

    • 조회 수 1139

    15 유전학 형사법상 유전자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연구 / 김낙현

    발행년 2013 

    • 조회 수 1137

    20 죽음과 죽어감 소극적 안락사 혹은 연명치료중단의 정당화 근거에 관한 고찰 / 손미숙

    발행년 2014 

    • 조회 수 1135

    9 보건의료 의료급여환자의 의료이용행태에 관한 질적 분석 / 박영희, 이용재

    발행년 2017 

    • 조회 수 1133

    24 기타 나고야 의정서 발효와 산업계 영향/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

    발행년 2015 

    • 조회 수 1130

    2 생명윤리 간호과와 비 간호과 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 비교 / 조미경

    발행년 2013 

    • 조회 수 1120

    20 죽음과 죽어감 청소년 죽음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 연구 / 박현정

    발행년 2016 

    • 조회 수 1119

    15 유전학 유전자 편집 기술의 메타모포시스 / 김광연

    발행년 2019 

    • 조회 수 1118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사의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와 윤리적 가치관 / 문정란

    발행년 2013 

    • 조회 수 1118

    1 윤리학 프랑스의 사생활 보호권과 개인정보보호 /전학선

    발행년 2018 

    • 조회 수 1113

    13 인구 여성 저출산의 실태 및 원인분석 : 여성 저출산의 실태 및 원인분석 / 원정원

    발행년 2004 

    • 조회 수 1109

    9 보건의료 mHealth 도입요인의 우선순위 분석에 관한 연구 -국내 종합병원을 중심으로- / 강신영, 오재인

    발행년 2019 

    • 조회 수 1107

    2 생명윤리 현대 의학의 윤리적 문제에 대한 연구 / 김정진

    발행년 2006 

    • 조회 수 1100

    18 인체실험 IRB 심사 통과를 위한 효율적인 연구계획서 작성법 / 홍정화

    발행년 2012 

    • 조회 수 1097

    18 인체실험 인체 유래물 등과 역학정보의 폐기 / 정규원, 김수영

    발행년 2013 

    • 조회 수 1097

    17 신경과학 범죄인의 신경생물학적 기능손상과 교정치료/ 이명숙

    발행년 2019 

    • 조회 수 1095

    9 보건의료 의료민영화가 의료서비스에 미치는 영향력에 관한 연구 / 박기종

    발행년 2017 

    • 조회 수 1095

    5 과학 기술 사회 로봇의 권리 / 이창민

    발행년 2016 

    • 조회 수 1086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준비프로그램이 포함된 호스피스 교육이 간호 대학생의 죽음인식, 죽음태도와 임종간호태도에 미치는 효과 / 함미영 외

    발행년 2017 

    • 조회 수 1078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 찬반론에 대한 고찰 / 구인회

    발행년 2003 

    • 조회 수 10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