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0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인제대학교 : 간호학과 응급전문간호사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2008326 

DNR에 대한 응급의료종사자들의 인식과 윤리적 태도 = awarness and ethical attitudes about DNR of emergency departments' team


  • 저자 : 박학영
  • 형태사항 : ; 26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성미혜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인제대학교 : 간호학과 응급전문간호사 2010. 2
  • 발행국 : 경상남도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10
  • 주제어 : DNR, 응급의료종사자, DNR에 대한 인식, DNR에 대한 윤리적 태도




초록 (Abstract)

목적 : 본 연구는 응급의료센터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응급의학과 의사, 응급 구조사를 대상으로 이들의 DNR에 대한 인식과 윤리적 태도를 조사하고 그 차이를 분석하여 이를 통해 환자와 그 보호자가 DNR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하도록 도와주고 이들이 DNR과 관련된 불필요한 소진과 이중고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법적,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방법 : 본 연구의 대상은 보건 복지가족부에 등재된 43개 종합전문 요양기관과 부산, 경남 지역에 소재한 49개 종합병원의 응급의료센터에 근무하고 있는 응급의료종사자 전수를 모집단으로 하였다. 이 중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설문에 동의한 13개 종합전문요양기관과 28개 종합병원의 응급의료종사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설문지를 이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DNR에 대한 인식과 윤리적 태도를 조사하였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09년 5월 1일부터 9월 15일까지 총 138일간이었다.
연구도구는 강현임(2003)의 DNR에 대한 인식 측정 도구와 고효정(2004)의 DNR에 대한 윤리적 태도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4.0 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과 DNR에 대한 인식과 윤리적 태도는 빈도와 백분율을 이용하였고 대상자의 직종에 따른 DNR에 대한 인식과 윤리적 태도의 차이는 교차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DNR에 대한 교육 경험은 74.4%의 대상자들이 교육을 받은 적이 없다고 응답했지만 교육 경험이 없는 것에 반해 응급의료센터에서 73.9%가 DNR을 경험했다고 하였다.
2. DNR이 상황에 따라 필요하다고 99.3%의 대상자가 응답하였고 그 가장 주된 이유로는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회복이 불가능하기 때문과 편안하고 품위 있는 죽음을 위해서라는 데에 의사와 간호사는 고른 분포를 보였다. 하지만 응급 구조사의 경우는 75%의 대상자가 회복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필요하다고 답변해 차이를 보였다.
3. DNR의 결정에 대해서는 환자나 가족의 의지로 해야 한다고 했으나 실제 DNR 경험 시에는 가족의 요청으로 시행 한 경우가 가장 많았고 그 결정을 시행할 때에도 의사와 가족의 합의에 따라 이루어진 경우가 가장 많았다.
4. DNR에 관해 설명을 하는 적절한 시기에 관해서는 말기 질병으로 입원한 즉시 해야 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고 의견이 고루 분산된 의사와 간호사와 달리 응급구조사는 20%만이 입원한 즉시 설명해야 한다고 했고 40%에서 자발 호흡이 정지했을 때라고 응답해 차이를 보였다.
5. 인공호흡기로 생명을 유지하는 무의식 환자의 인공호흡기 작동을 중단시키는 것에 대해서는 찬성이 50.7%로 나타났고 모르겠다는 응답이 27.6%로 태도 정립과 행동에 갈등을 보였다.
6. DNR이 결정된 이후 죽음에 임박해 보호자들이 환자를 포기하지 못하고 적극적 치료를 원한다면 72.4%는 그 요구에 따른다고 하였다. 또한 DNR 선언에도 불구하고 74.4%가 기본적인 간호는 줄이지 않아야 하며 동료가 무균술을 지키지 않는다면 즉시 충고하는 것이 옳다고 84.8%가 응답했다.
7. DNR 선언 후 인공호흡기를 소극적으로 적용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다양한 반응을 보였고, 환자에게 의료진의 관심이 줄어드는 것이 당연하다는 것에 대해서도 의견이 분산되었다. 하지만 환자의 상태 변화가 생겼을 때 가족의 요구에 따라 주치의에게 여러 차례라도 알려야 한다고 84.6%가 응답했다.

결론 : 이상의 결과를 보면 DNR 지침에 대해 충분한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 내기 위해 전문적이고 체계적으로 문제에 접근해야 하겠다. 또한 응급의료종사자들의 DNR에 대한 인식과 윤리적 태도를 조사하고 차이를 비교함으로 의료인으로서 당면한 DNR에 대한 윤리적 갈등을 줄이고자하는 데 의의가 있다. 따라서 이 결과는 DNR에 대한 객관적 기준을 마련하여 지침서 개발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4408 14 재생산 기술 시험관 아기 시술 체험 / 이윤정 외 2009  57
4407 5 과학 기술 사회 국가 차원의 빅데이터 활성화를 위한 개인정보 관련 정책의 개선안 고찰 / 신지윤 외 2018  57
4406 9 보건의료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기술 적용 의료기기의 허가심사 방안 / 손승호 외 2018  57
4405 9 보건의료 보건사업의 바람직한 방향/이무식 2018  57
4404 15 유전학 유전체 네트워크의 일반성과 특이성을 반영한 질환-유전자 예측 / 남용현 외 2018  57
4403 9 보건의료 유방암 치료에 대한 한의 임상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이남헌 외 2016  57
4402 9 보건의료 미래의료와 환자안전 / 김소윤 2018  57
4401 9 보건의료 보건의료 빅데이타 추진 방향의 몇 가지 문제들 / 변혜진 2017  57
4400 9 보건의료 소아환자의 얼굴인식을 통한 맞춤형 치료정보 제공 서비스 연구 / 양준모 채옥삼 2018  57
4399 18 인체실험 The Paradoxical Problem with Multiple-IRB Review 2010  58
4398 9 보건의료 의료 빅데이터 구현을 위한 문제 중심의 시계열 EHR 아키텍처에 관한 연구 / 김종호 2017  58
4397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시대 개인정보권의 법리적 재검토 / 남현 2017  58
4396 22 동물복지 동물의약품 기업의 입지특성 분석 / 안성조 2017  58
4395 9 보건의료 제네릭의 약품의 생물학적동등성 인정 현황과 정책과제 / 이의경 2004  58
4394 19 장기 조직 이식 근래의 신장이식 임상성적과 관련인자들: 단일기관 연구 / 안재성 외 2017  58
4393 14 재생산 기술 인간의 탄생성과 출산행위 / 공병혜 2017  58
4392 4 보건의료 철학 상급 종합병원 종사자들의 융합형 환자안전 문화 인식 / 최선욱 외 2018  58
4391 9 보건의료 정밀의료실현을 위한 보건의료정보 보호모델에 관한 실증적 연구 / 배상호 외 2016  58
4390 23 연구윤리 줄기세포 연구자의 연구 윤리 일반에 관한 인식 및 절차 / 최은경 외 2008  58
4389 9 보건의료 재난적 의료비와 삶의 질 결정요인에 관한 패널분석 / 김선제 외 2017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