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37
발행년 : 200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인제대학교 : 의학과 인문의학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1391215 

응급의학과 의사의 윤리강령 개발에 관한 연구 = A Proposal for Code of Ethics of Emergency Physicians Emergency Physicians


  • 저자 : 차지훈
  • 형태사항 : iv, 59 p. ; 26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강신익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인제대학교 : 의학과 인문의학 2008. 2
  • 발행국 : 경상남도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08
  • 주제어 : 윤리, 응급의학, 윤리강령




초록 (Abstract)

목적: 응급의학과 의사는 늘 응급환자와 생명이 위중한 환자를 진료해야 하므로 다른 어떤 과보다도 높은 수준의 직업의식을 가지고 환자의 치료에 임해야 한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현재 그러한 직업의식을 대변해 줄 윤리강령이나 지침이 전무한 상태이다. 이에 우리나라의 실정에 적절하고 임상에 쓰일 수 있는 응급의료 윤리강령의 개발을 위해 본 논문을 시작하게 되었다.
방법: 문헌고찰 및 외국의 응급의료 윤리강령과 윤리 사례를 분석한 기술적 연구방식을 이용하였다.
결과: 응급의료 및 응급의학의 특징으로 의사의 빠른 판단 능력의 필요성, 의사-환자 관계의 다양성, 팀워크, 병원에 대한 대표성, 응급실 환자 전체에 대한 진료, 응급의학과 의사의 높은 근무 스트레스, 사회적 요구에의 부응 등이 검토되었다. 그리고 응급의료 윤리 규약 제정의 필요성으로 제안된 것으로 빈약한 응급의료 전달체계, 직업전문주의, 조직윤리의 대두, 병원 윤리위원회 기능의 미비 등이 있다. 마지막으로 응급의학과 의사의 윤리강령의 초안으로서 10개의 항목을 제시하였으며 여기에서는 대한의사협회의 윤리 강령의 내용에서 응급의료의 특수성을 가미하였고 외국의 응급의료 윤리 강령의 내용을 적절히 참조하였다. 응급의료의 특수성이 가미된 내용으로는 응급환자에 대한 민첩성, 신중성, 그리고 환자의 의사결정능력에 대한 고려, 응급의료와 관련된 모든 보건의료인과의 협조적 관계의 중요성 강조, 응급의료에서의 리더십, 응급의료 전달체계의 개선을 위한 노력, 의학적, 윤리적 오류를 범하는 동료 보건의료인에 대한 적절한 대처 등이다. 앞으로 응급의학과 의사의 윤리 강령 및 지침의 개발을 위한 계속된 연구와 학회 차원에서의 체계적인 토의도 뒤따라야 할 것이다. 응급의료 윤리강령을 제정하고 보급, 실천하는 것은 한국의 응급의료 수준을 높이고 응급의학과의 위상을 높이는 데 많은 도움을 줄 것이다.
결론: 여러 문헌 검토와 외국의 윤리강령의 사례 및 응급의료 윤리의 사례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응급의학과 의사의 윤리강령에 대한 초안을 제시하였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57 8 환자 의사 관계 치위생학생의 윤리성향과 자아존중감이 환자 의료정보보호 인지에 미치는 영향 / 김영인 2014  516
156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에 관한 고찰과 기독교적 대응방안에 대한 연구 / 김혜순 2008  525
155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조명 / 김평관 2005  1151
154 14 재생산 기술 21세기 생명복제에 관한 기독교 윤리적인 견해 / 한경옥 2006  349
153 20 죽음과 죽어감 윌리엄 메이(William F. May)의 생명윤리 방법론에 따른 소극적 안락사에 대한 고찰 / 김성용 2012  509
152 20 죽음과 죽어감 기독교 윤리학적 관점에서 본 안락사에 대한 문제 / 이영태 2003  1363
151 2 생명윤리 생명윤리교육의 현황과 방향 연구 / 윤순애 2001  421
150 2 생명윤리 현대 의학의 윤리적 문제에 대한 연구 / 김정진 2006  1102
149 9 보건의료 DNR에 대한 응급의료종사자들의 인식과 윤리적 태도 / 박학영 2010  1060
» 9 보건의료 응급의학과 의사의 윤리강령 개발에 관한 연구 / 차지훈 2008  710
147 18 인체실험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가치관과 윤리적 갈등문제에 관한 연구 / 안은숙 1994  4340
146 14 재생산 기술 생식과 비배우자 인공수정에 관한 기독교 윤리적 이해 / 양혜란 1995  856
145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문제에 대한 기독교 여성윤리적 이해 / 이승리 1997  404
144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의 윤리성에 대한 태도연구 : Q방법론적 접근 / 조민정 1998  387
143 18 인체실험 무작위 임상시험에서 "등가상태"의 개념과 그 의의 / 홍세훈 2013  334
142 9 보건의료 한 3차 병원 중환자실에 대한 윤리자문 모델의 경험 / 문재영 2013  453
141 20 죽음과 죽어감 일 종합전문요양기관 간호사의 심폐소생술 비시행(DNR)에 대한 윤리적 태도와 죽음에 대한 태도 / 한수옥 2010  776
140 2 생명윤리 노인의료복지시설 간호사를 위한 PBL 문제개발 및 평가 : 윤리적 딜레마상황을 중심으로 / 김은정 2008  1170
139 9 보건의료 고위험신생아 치료중단에 대한 윤리적인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 전효숙 2002  1368
138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간호장교의 의료 윤리적 가치관 / 최귀녀 2004  8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