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199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기독교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8423549 

노인문제에 대한 기독교 여성윤리적 이해 = (A) Christian Feminist Ethical Understanding of the Aging Issue


  • 저자 : 이승리
  • 형태사항 : v, 120p. ; 26cm
  • 일반주기 : 참고문헌: p. 112-118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기독교학과 1997. 8
  • KDC : 234.1 4
  • 발행국 : 서울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1997
  • 주제어 : 노인문제, 기독교, 여성윤리, 효사상




초록 (Abstract)

한국사회가 점차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다. 경제 성장과 의료기술의 발달로 노년기를 보내는 노인의 숫자가 늘어나고, 개인마다 노년기가 길어지는 추세에 있어서 우리나라도 선진국형 인구분포를 보일 날이 머지 않았다.
이와 더불어 '노인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떠오르는 현실 역시 부정할 수 없다. 과거 농경사회의 대가족제도 하에서는 강력한 '효'사상이 노인문제의 발생 원인을 억제시킬 수 있었으나, 산업사회로 들어오면서 빠르게 진척된 핵가족화와 도시화로 인해 노인문제는 더이상 '가정 내의 문제'로만, 곧 '불효의 문제'로만 돌릴 수 없게 되었다. 오늘날 떠오르고 있는 노년층의 각종 문제들, 이를테면 가정과 사회에서 노인의 설 자리가 축소되고 소외감이 가중되며 귀찮은 '짐짝'같은 존재로 전락하여, 안락사나 자살, 가출과 같은 극단적 방법을 택하는 노인의 수가 점점 많아지는 현실은 새삼 노인문제의 심각성을 반증한다.
여기서 우리는 현대의 노인문제가 좀더 폭넓은 차원의 사회적 문제임을 직시해야 한다. 인간의 '늙음'에 대한 사회적 거부와 생산성·효율성을 인간 존재의 가치 척도로 삼는 물질만능주의적 세계관, 그리고 이기심에 근거한 서구 개인주의의 보급 등이 노인문제의 배경에 자리잡고 있다.
본 논문은 노인문제를 현대 사회의 병적 징후로 인식하고, 이를 극복하는 과제야말로 우리 사회의 건강성 회복의 지름길이 된다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그렇다면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노인문제에 대한 수많은 논의들은 대개 전통적인 '효'사상의 복원을 주장한다. 효사상의 퇴색으로 가정과 사회의 도덕적 파탄이 야기되었으니 효만 회복하면 노인문제는 자연히 해결되는 것 아니냐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소위 복고주의자들은 '효'의 주체가 결국 여성으로서, 특히 며느리에게 떠맡겨진 과중한 책임이었음을 간과하는 경향이 있다. 더욱이 '효'의 강조는 노인 부양의 과제를 국가와 사회가 나누어 지기는 커녕, 가정 내의 사적 부양으로 못박으려는 이데올로기의 형태를 띄고 있어서 핵가족 시대의 여성들에게 이중 삼중의 부담을 안겨준다. 그러므로 의무론적 차원에서 강조되던 '효'를 이제는 공적부양의 구조로, 또한 효의 대상과 주제가 서로 나누는 관계적 상호애로 변환시킬 필요가 있다. 여기서 공적 부양이라 함은 정의의 윤리가 요청하는 것이고, 관계적 상호애라 함은 돌봄의 윤리의 내용이다. 이렇게 재해석된 '효'는 전통적인 기독교에서 가르쳐온 자기포기나 희생의 윤리가 아닌, 서로를 돌보는 지속적인 사랑과 관심으로서 생명을 살리는 힘과 연결된다.
이와 같이 본 논문은 '효'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함에 있어서 기독교 사회윤리의 분석과 여성윤리의 내용에 의지하는 한편, 그 틀로는 월터 뮬더(Walter G. Muelder)의 책임사회 이념에 기초한 '인격적 공동체주의'를 제안하고자 한다. 책임사회는 자연히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책임있는 설계에 의해 형성되는 책임가족 위에서만 건립되며, 책임가족은 인격적 공동체주의가 최초로 실험되고 구현되는 장(場)이다. 가정과 교회, 그리고 사회속에서 노년의 시기를 자연스러운 삶의 한 과정으로 인식하고, 모든 인간의 '늙을 권리'를 지지해 주는 인격적 공동체가 확산될 때, 우리 사회의 인간 소외현상의 하나인 '연령차별주의'(Ageism)는 비로소 종식될 수 있을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3588 8 환자 의사 관계 보건의료전공 대학생들의 환자안전에 대한 태도와 수행자신감 / 위성욱 2019  107
3587 9 보건의료 의사의 의료행위와 한의사의 한방의료행위의 범위와 한계 / 정규원 2018  107
3586 18 인체실험 시험 불안과 임상진료시험성적과의 관련성 / 박경민 2019  107
3585 20 죽음과 죽어감 연구동향 : 한국 자살현상의 특징과 인류학적 연구의 가능성 / 이현정 2010  108
3584 20 죽음과 죽어감 의존상태 노인의 의료에서의 존엄 / 김도경 2014  108
3583 19 장기 조직 이식 생명과학기술의 발달로 인한 인체의 이용과 법적 규율 -인체의 소유권을 중심으로 / 양재모 2010  108
3582 9 보건의료 의료광고 규제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장해순 2007  108
3581 15 유전학 산전검사 대상 질환에 대한 법적 규제의 문제점에 대한 고찰 / 최지영 2007  108
3580 5 과학 기술 사회 IT기술의 발전과 개인정보보호 / 조대진 2017  108
3579 9 보건의료 전문의약품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 : 오리지널과 제네릭 의약품 비교를 중심으로/이성경 2016  108
3578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결정에서 의학적 무의미함에 대한 연구 2015  108
3577 20 죽음과 죽어감 의사조력자살에 대한 고찰 / 이기헌 2014  108
3576 9 보건의료 의료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 방향 / 이상일 , 석승한 , 민인순 2017  108
3575 5 과학 기술 사회 개인의료정보 재식별에 관한 국제 표준화 동향 - ISO DIS 25237을 중심으로 / 김철중 외 2017  108
3574 20 죽음과 죽어감 지방정부의 자살예방정책이 자살률에 미치는 영향 / 박영미, 김병규 2017  108
3573 9 보건의료 치매 진단 검사법의 비용-효과성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 장수현 외 2018  108
3572 20 죽음과 죽어감 웰다잉을 위한 프로그램의 효과분석 / 정의정 2012  108
3571 2 생명윤리 인격주의 생명윤리 측면에서의 『칠극』이해 - ‘해탐’(解貪)을 중심으로 - / 손보미 2018  108
3570 9 보건의료 노인돌봄서비스 제공기관의 돌봄제공자 정서지원서비스 현황 및 영향요인 / 김유미 외 2018  108
3569 10 성/젠더 한 중 미혼여성의 결혼 및 출산 가치관 비교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9  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