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5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간호과학과 (박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0026507 

정신과 병동 간호사가 인식하는 윤리 문제에 대한 사례 분석 : 원칙주의를 중심으로


  • 저자 : 조민정
  • 형태사항 : vii, 171 p. : 삽도.
  • 일반주기 : 참고문헌: p. 158-165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박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간호과학과 2005. 8. 졸업
  • 발행국 : 서울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05



초록 (Abstract)

정신보건영역은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대상자의 특성으로 인해 다른 어떤 의료분야보다 강제성을 띤 처치들이 많이 수행되며 대상자의 권리가 자주 제한되는 분야이다. 정신질환자는 자신의 권리와 이익을 많은 부분 치료자의 손에 내맡김으로써 늘 잠재적인 위험 상황에 처해 있고 치료자 또한 자신의 결정과 행위가 대상자에게 선한 행위인지, 옳은 결정인지를 매순간 판단하고 반성해야하는 윤리적 부담을 크게 경험하게 된다.
간호는 개인적 관계를 통해 보살핌을 제공함으로써 환자의 안녕을 증진하기 위해 윤리적인 요구에 바탕을 둔 윤리적 실무이다. 따라서 양질의 간호를 제공하는 것은 과연 내가 대상자를 위해 옳은 일은 하고 있는가하는 윤리적 배려와 깊이 연관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신보건 영역에서 어떠한 윤리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지. 각 문제는 어떠한 윤리적 갈등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그러나 정신보건 영역에서 발생하는 윤리 문제는 너무 넓은 범위를 포함하므로 그 중 가장 윤리적인 갈등이 클 것으로 예상되는 정신과 병동 간호사가 지각한 윤리 문제로 한정하였다.
이러한 주제에 따라 2004년 9월에서 2005년 2월까지 질적 인터뷰를 통해 정신과 병동 경험이 1년 이상인 간호사 8명을 대상으로 정신과 병동간호사가 경험한 윤리 문제를 수집하였다. 분석은 근거이론의 개방 코딩에 의해 인터뷰 내용에서 윤리 문제를 포함한 사례를 추출한 다음 그 중 윤리 문제이고 또한 대상이 정신질환자이기 때문에 발생하거나 정신질환자와 관련하여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문제들만을 골라 유사한 문제를 범주화한 결과 모두 9개의 영역과 21개의 사례로 나타났으며 각각의 영역과 사례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영역은 억제와 격리 시행과 관련된 문제로 <사례 1>벌의 의미로, 치료자의 편의와 행동 수정을 위한 억제와 격리 시행 <사례 2>시행 과정에서의 비윤리적인 태도와 방법, <사례 3>억제와 격리 시행에 대한 형평성의 문제가 포함되었다.
두 번째 영역은 병동 규칙 및 관행과 관련된 문제로 <사례 4>소지품을 제한하는 규칙, <사례 5>입원 초기에 모든 환자의 전화를 금지하는 규칙, <사례 6>개인의 사생활을 침해하는 규칙이 포함되었다.
세 번째 영역은 치료 및 간호를 강제적으로 제공하거나 강요하는 문제로 <사례 7>적절하지 않은 강제 투약, <사례 8>거부하는 환자에게 식사, 씻기, 프로그램 참여에 대한 과도한 권유가 포함되었다.
네 번째 영역은 환자에 대한 정보 노출과 관련된 문제로 <사례 9>배우자에게 환자의 병력을 알리는 문제, <사례 10>부모에게 환자가 원하지 않는 정보를 알리는 문제, <사례 11>홈페이지나 소식지를 통한 환자의 신상 노출이 포함되었다.
다섯 번째 영역은 입원 및 퇴원과 관련된 문제로 <사례 12>호전된 환자에 대한 가족과 병원의 퇴원 제지, <사례 13>치료가 필요한 환자에 대한 가족의 퇴원 결정, <사례 14>가족의 정보에 의존한 부적절한 강제 입원이 포함되었다.
여섯 번째 영역은 이성관계, 결혼, 임신과 관련된 문제로 <사례 15>병동에서의 환자들 간의 이성 관계 규제, <사례 16>환자의 결혼과 출산에 대한 치료자의 갈등이 포함되었다.
일곱 번째 영역은 치료자의 역량과 태도와 관련된 문제로 <사례 17>치료자의 역량 부족, <사례 18>환자와 가족에 대한 존중과 공감이 결여된 태도가 포함되었다.
여덟 번째 영역은 의료기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질의 문제로 <사례 19>의료기관이 물리적 또는 인적으로 질 낮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과 의료보호 환자에게 의료보험 환자에 비해 질 낮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포함되었다.
아홉 번째 영역은 약물임상시험과 관련된 문제로 <사례 21>약물임상시험으로 인해 환자에게 치료적, 재정적 피해 제공이 포함되었다.
상황에 따라 분류한 문제들을 다시 관련된 윤리적 원칙으로 분류해보면 첫째 자율성의 원칙과 선행의 원칙이 갈등하고 있는 온정적 간섭주의가 관련된 경우인데 모두 21개의 사례 중에서 10개의 사례가 포함되었다. 온정적 간섭주의의 목적은 자해와 타해로 부터 환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환자를 문제 상황으로부터 보호하고, 회복을 돕기 위한 목적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온정적 간섭주의의 수단으로 나타나는 치료자의 행동은 강제 행위와 그보다는 약한, 결정에 대한 간섭 행위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10개의 사례 중 6개의 사례가 온정적 간섭주의로서 강제 행위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 해당되었으며, 여기에는 <사례 1>벌의 의미로 치료자의 편의와 행동 수정을 위한 억제와 격리 시행, <사례 4>소지품을 제한하는 규칙, <사례 5>입원 초기에 모든 환자의 전화를 금지하는 규칙, <사례 6>개인의 사생활을 침해하는 규칙, <사례 13>치료가 필요한 환자에 대한 가족의 퇴원 결정, <사례 15>병동에서의 환자들 간의 이성 관계 규제가 포함되었다.
간섭 행위에는 모두 4개의 사례로 <사례 8>거부하는 환자에게 식사, 씻기, 프로그램 참여에 대한 과도한 권유, <사례 9>배우자에게 환자의 병력을 알리는 문제, <사례 10>부모에게 환자가 원하지 않는 정보를 알리는 문제, <사례 16>환자의 결혼과 출산에 대한 치료자의 갈등이 해당되었다.
다음으로는 악행금지의 원칙과 관련한 것으로는 치료자 개인과 가족 및 의료기관에 의해 환자가 피해를 입는 9개의 사례가 포함되었다. 그중 치료자 개인의 문제로는 7개의 사례로, <사례 2>시행 과정에서의 비윤리적인 태도와 방법, <사례 7>부적절한 강제 투약, <사례 11>홈페이지나 소식지를 통한 환자의 신상 노출, <사례 14>가족의 정보에 의존한 부적절한 강제 입원, <사례 17>치료자의 역량 부족, <사례 18>환자와 가족에 대한 존중과 공감이 결여된 태도, <사례 21>약물임상시험으로 인해 환자에게 치료와 재정에 피해를 제공하는 것이 포함되었다. 가족 및 의료기관의 문제는 모두 2개의 사례로 <사례 12>호전된 환자에 대한 가족과 병원의 퇴원 제지, <사례 19>의료기관이 물리적 또는 인적으로 질 낮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포함되었다.
마지막으로 정의의 원칙과 관련된 것으로는 2개의 사례가 포함되었는데 처벌적 정의로서 <사례 3>억제와 격리 시행에 대한 형평성의 문제와 분배적 정의로는 <사례 20>의료보호 환자에게 의료보험 환자에 비해 질 낮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해당되었다.
정신과 병동 간호사가 지각하는 윤리 문제는 대부분이 의사의 지시나 기관의 지침 또는 병동의 관행이나 분위기, 때로는 가족에 의한 의사결정을 따라야 하는 입장에서 그러한 결정이 자신의 윤리적 판단과 다른 상황에 많이 노출되어 있고 그로 인한 윤리적인 갈등, 자신 또는 다른 치료자의 비윤리적인 행동에 대해 갈등 하는 도덕적 고민(moral distress)에 해당하였다.
이러한 윤리 문제는 자율성 존중의 원칙, 악행금지의 원칙, 선행의 원칙, 정의의 원칙이라는 네 가지 생명의료윤리의 원칙에 준하여 갈등을 해결할 수 있는 지침을 찾고 동시에 윤리적으로 민감한 태도를 유지하려는 치료자의 덕성과, 대상자와의 관계에 전념하여 진심으로 돕고자하는 마음과 이해하고 공감하고자 노력하는 돌봄의 윤리를 보완적으로 적용함으로서 보다 원만하게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328 20 죽음과 죽어감 일반인의 심폐소생술 금지에 대한 인식과 태도 조사연구 / 신희숙 2013  900
327 15 유전학 성범죄 사건에서 정액 검사와 유전자 분석에 대한 다양한 결과 / 김진영 외 2016  900
326 19 장기 조직 이식 중국에서 신장 이식수술을 받은 환자의 임상 고찰 / 이태환 2007  905
325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환자의 이식 후 고혈당 발생현황과 혈당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 예측 / 제민영 2008  912
324 1 윤리학 지식정보 자산인 빅데이터(Big Data)활용에 관한 연구 / 김선영 2016  913
323 13 인구 비혼(非婚)을 통해 본 현대 일본의 가족 관계와 젠더 질서 / 지은숙 2016  913
322 18 인체실험 배아줄기세포 연구에 대한 불교적 관점 / 윤종갑 2012  915
321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 다학제 팀 내에서의 간호사의 역할 인식과 수행 정도/ 김정영 2019  918
320 14 재생산 기술 독일에서의 베이비박스와 비밀출산법제 / 신동현 2015  925
319 15 유전학 크리스퍼 유전자가위에 의한 인간 생식세포 유전체 편집의 윤리적 프레이밍 / 전방욱 2018  930
318 14 재생산 기술 생명복제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성찰 : 인간복제에 대한 윤리적, 법적 규제를 중심으로 / 구홍일 2007  932
317 15 유전학 유전자 재조합 식품(GMO)의 유용성 및 유해성에 대한 비교분석 / 김태형 2001  933
316 18 인체실험 인간배아복제 연구에 관한 헌법학적 고찰 / 민경식 외 2014  937
315 5 과학 기술 사회 후쿠시마원전사고와 전문가 윤리- 공학윤리적 관점에서/이재숭 2014  938
314 13 인구 저출산 시대의 보육정책 방향에 관한 연구 / 이정미 2005  939
313 18 인체실험 한국에서 생명공학의 발전과 생명윤리 / 한지영 2015  944
312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대학생의 말기환자에 대한 생명의료윤리 인식과 죽음에 대한 태도 / 김영희, 유양숙, 조옥희 2013  945
311 2 생명윤리 생명윤리와 미디어 : 생명윤리에 대한 미디어의 작동방식 고찰 / 성기헌 2019  946
310 18 인체실험 황우석 사태 이후의 배아줄기세포 연구 / 김병수 2014  948
309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환자의 무의미한 연명치료중단과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의료인(의사, 간호사)의 인식 : 포커스그룹 인터뷰 분석기법 / 이지애 2009  9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