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0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울산대학교 : 임상전문간호학전공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1929652 

일 종합전문요양기관 간호사의 심폐소생술 비시행(DNR)에 대한 윤리적 태도와 죽음에 대한 태도 = The ethical attitude related to DNR and attitude to death in a tertiary hospital nurses


  • 저자 : 한수옥
  • 형태사항 : 47 ; 26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 :박광옥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울산대학교 : 임상전문간호학전공 2010. 2
  • 발행국 : 울산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10
  • 주제어 : DNR(심폐소생술 비시행), 죽음에 대한 태도, DNR에 대한 윤리적 태도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DNR에 대한 윤리적 태도와 죽음에 대한 태도를 파악하여 DNR 대상 환자 간호와 임종간호에 도움이 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수집은 서울 소재 C 대학교 병원에서 DNR 상황을 접하는 부서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163명을 대상으로 2008년 12월 15일부터 12월 19일까지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DNR에 대한 윤리적 태도, 죽음에 대한 태도에 대한 설문지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DNR에 대한 윤리적 태도의 연구도구는 Lee(1990)와 Han(1992)의 도구를 기초로 하여 Ko(2004)가 수정 보완하여 19문항으로 만든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신뢰도는 Cronbach's α = .64이었다. 죽음에 대한 태도는 Jeon(2008)의 연구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죽음에 대한 태도에 있어 하위영역은 죽음긍정, 죽음부정, 죽음불안, 죽음관심, 생명존중의지로 구성되며, 이는 5점 척도 35문항으로 구성되며, 점수가 높을수록 하위영역의 정도가 높다. 본 연구에서의 신뢰도는 Cronbach's α = .72 ~ .85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win 13.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일반적 특성에 있어 연령 분포는 30세 이하의 간호사가 87.8%를 차지하였다. 종교가 없는 간호사는 43.6%로 나타났다. 임상근무 경력에 있어 3-5년미만이 30.1%로 가장 많은 비율을 나타냈으며 5년 이상이 28.8%, 1-3년미만이 27.6% 순으로 차지하였다. 근무부서는 병동 간호사가 72.4%를 차지하였으며 결혼상태에서는 대부분의 간호사가 미혼으로 85.9%였다. 교육정도에 있어서는 3년제 간호학과를 나온 간호사가 66.3%로 나타났으며 DNR에 대한 교육경험에 있어 69.3%의 간호사가 교육경험이 없다고 하였다
2) DNR에 대한 윤리적 태도에 있어 간호사는 DNR에 대해 찬성하고 있으나 DNR 결정 후 의료행위에 있어 의도적인 연명치료 중단은 반대하고 있으며 기본간호를 유지해야 한다고 하여 생명윤리를 존중하는 태도를 보였다. 그러나 중환자실에서의 보호자 상주, 보호자 요구에 의한 적극적인 치료에 대해 중립적인 태도를 보여 업무 시 갈등의 소지를 보였다. DNR 결정과정에 있어서는 지침서에 의해 이루어져야 하며 주치의에 의한 DNR 결정에 대해서는 반대하고 있었다. DNR에 대해 대부분의 간호사가 사실대로 설명해야 한다고 하였으나 임상현실을 고려하여 중립적인 태도를 보이는 간호사도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3) 간호사의 특성에 따른 죽음에 대한 태도는 근무부서와 직위, DNR에 대한 교육경험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죽음에 대한 긍정도와 부정도, 관심에서 근무부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긍정도는 중환자실 간호사가 응급실, 병동 간호사보다 높게 나타났다. 죽음에 대한 부정도는 응급실, 중환자실 간호사가 병동 간호사보다 높게 나타났다. 죽음에 대한 관심는 중환자실 간호사가 응급실 간호사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일반 간호사가 책임간호사이상의 간호사에 비해 관심이 높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DNR 교육경험이 없는 간호사가 교육경험이 있는 간호사에 비해 부정도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4) 죽음에 대한 태도의 하위영역에서 긍정도는 관심, 생명존중의지와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부정도와도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죽음에 대한 불안은 부정도와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토대로 DNR 상황에서 간호사가 윤리적 가치관을 가지고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DNR과 관련된 법적, 제도적, 윤리적인 기준이나 지침이 마련되어야 하며, DNR 결정 후 변화될 수 있는 의료행위나 태도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이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간호사의 자율성 확립과 권한 확대 및 간호윤리, 가치관과 죽음에 대한 태도 정립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리라 본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588 5 과학 기술 사회 신체증강 기술과 덕 윤리 / 김광연 2018  77
587 5 과학 기술 사회 치의학분야 3D 프린팅 기술이 적용된 의료기기의 인·허가전략과 과제/신은미, 양승민 2018  77
586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 완화의료의 인지도 제고를 위한 PR전략 탐색 /김병희 외 2018  77
585 9 보건의료 제네릭 의약품 가격이 점유율에 미치는 효과분석 / 신주영, 최상은 2008  77
584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들 / 심세화 2017  77
583 20 죽음과 죽어감 비교법미국의 자연사법(natural death act) 규범과 의료인의 면책규정이 주는 시사점 / 이인영 2008  77
582 9 보건의료 병원 헬스케어 서비스 혁신: ICT 조직기능 연관성(ICT Relatedness)에 기반한 상호작용과 지식공유 / 김찬영 2015  77
581 14 재생산 기술 불임관련 기술 사용시 여성이 자신의 임신, 출산에 대해 가지는 통제권에 관한 연구 / 조영미 1994  77
580 9 보건의료 의료 소비자의 의학적 지식 유무와 의료서비스만족도 관계 / 최형석, 김규형 2018  76
579 12 낙태 온라인 기반 낙태 이슈 변화 분석 / 김찬우 2018  76
578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의 복음적 이해와 목회상담적 돌봄방안 / 양병모 2018  76
577 9 보건의료 프랑스의 공법상 의료피해구제제도에 관한 연구 / 황정현 2018  76
576 13 인구 한국의 초저출산과 국민연금 기금의 사회적 투자 / 조원희 외 2018  76
575 20 죽음과 죽어감 비뇨의학전문의로서 연명의료결정법의 이해 / 허정식 2018  76
574 23 연구윤리 새로운 의료시술의 도입과 임상적용 시의 윤리적 절차 / 강명신 외 2013  76
573 9 보건의료 일반병원직원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교육 요구도에 관한 융합 연구 / 권춘혜 2017  76
572 2 생명윤리 미국에서의 생명정치(Bio-Politique), 1890년대-1930년대 / 김호연 2018  76
571 1 윤리학 강제입원의 위법과 손해배상책임 / 신권철 2017  76
570 9 보건의료 한국의 의약품 허가-특허연계제도에서 제네릭 시장독점제도의 도입 필요성에 관한 연구 / 정용익 2014  76
569 2 생명윤리 독일 장기와 조직의 기증, 적출 및 이식에 관한 법 개정에 대한 일고찰 / 이현아, 김명희 2017  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