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4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 보건의료법윤리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9492629 

간호장교의 의료 윤리적 가치관 = Medico-ethical values of Korean nursing officer


  • 저자 : 최귀녀
  • 형태사항 : vi, 62장 : 도표 ; 26 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 손명세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 -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 보건의료법윤리학과 2004.8
  • 발행국 : 서울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04
  • 주제어 : 의료 윤리, 윤리적 가치관, 간호장교, 군병원, medico-ethics, ethical values, nursing officer, military hospital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간호장교들이 실무에 임하면서 어떠한 의료 윤리적 가치관을 가지고 있는지 조사,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바람직한 의료 윤리적 가치관을 확립하도록 도움을 주고 효과적인 대처 방안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 기간은 ‘04년 1월 27일부터 2월 26일까지 군단지원병원 4곳, 군지원병원 3곳, 후방병원 4곳을 선정하여 설문지 우편 발송을 통해 최종 273명을 선정하여 연구를 시작하였다.연구 도구는 이영숙(1990)이 고안하고 정희자(1995)가 수정·보완한 도구를 이 연구의 특성에 맞게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측정도구는 Likert Scale에 의한 5점 방법을 채택하였고, 부정문항을 역산 처리하였다.자료 분석은 SPSS 10.0에 의해 실수, 백분율,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변수의 특성에 따라 t-test, ANOVA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1. 간호장교의 의료 윤리적 가치관인간 생명 관계 영역의 의료 윤리적 가치관에서 점수가 가장 높은 항목은 <인간 배아나 태아도 생명체이므로 실험 대상이나 연구를 위한 도구로 사용 할 수 없다>로 인간 생명 존엄성을 중요시 하는 입장이었다. 반면 안락사나 임신 중절에 대한 항목에서는 생명 존중보다는 삶의 질을 더 중요시하는 결과를 나타냈다.환자 관계 영역의 의료 윤리적 가치관에 대한 항목에서는 <환자가 병사인 경우도 아랫사람이 아닌 환자에 대한 최선의 간호를 제공해야 한다>가 가장 높은 점수 결과를 보여 어떠한 상황에서도 환자의 생명을 보호하고 환자의 알 권리를 존중해야 한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환자의 자살계획이나 종교적 신념에 대해서는 환자의 비밀유지나 자율적 의사결정의 권리 보다도 환자의 생명을 보호하는 것을 중요한 책임과 의무로 생각하고 있었다.간호 업무 관계 영역의 의료 윤리적 가치관에 대한 항목에서는 <환자는 계급의 고위를 막론하고 모두 평등한 진료를 받도록 해야 한다>가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이 영역의 항목에서 환자의 권리나 자율성 보장을 중요시하며 모두가 평등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는 생각을 나타냈다.동료 관계 영역의 의료 윤리적 가치관은 가장 높은 윤리의식을 나타냈다. <업무 도중 동료 간호장교의 실수를 발견 한다면 그에게 충고한다>가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고, 모든 문항에서 고의적 비윤리적인 행위에 대해 거부하며 환자의 건강과 안전을 중요시하는 입장을 나타냈다.2. 의료 윤리 문제에 대한 인식군 병원에서 가장 심각한 의료 윤리 문제로 간호장교들이 생각하는 문제를 알아보았다. 1순위로는 ‘적절한 간호 인력 부족으로 인한 문제’, 다음으로 ‘필요한 의료 자원 부족으로 인한 문제’, ‘후송 계로 준수에 따른 치료 지연’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3. 간호장교의 의료 윤리적 가치관과 제 변수와의 관계일반적 특성 중 간호장교의 의료 윤리적 가치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변수는 연령, 계급, 학력, 결혼 상태, 종교, 종교 참여도, 직업에 대한 태도 등이었다.결론적으로 간호장교들을 위한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의료 윤리 교육이 교과 과정에서 뿐 아니라 임상에서도 지속될 필요성이 있다. 간호 전문인으로서 자신의 결정이나 선택에 대하여 확고한 이론과 원리가 있어서 행동을 선택하게 되었음을 분명히 표명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빠른 시대적 변화에 적응하고 적절히 대응하는 것이 전문직으로서 더욱 질적 성장이 가능하리라 본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 생명윤리 독일 장기와 조직의 기증, 적출 및 이식에 관한 법 개정에 대한 일고찰 / 이현아, 김명희

발행년 2017 

  • 조회 수 76

19 장기 조직 이식 기획논문 : 뇌사와 장기이식 ; <장기 등 이식에 관한 법률>의 이해

발행년 2000 

  • 조회 수 76

9 보건의료 혁신기반 의료산업 발전 방안 / 김석관

발행년 2012 

  • 조회 수 76

9 보건의료 고위험병원체 관련 범죄에 대한 형사입법 고찰/이인영

발행년 2009 

  • 조회 수 76

2 생명윤리 의사윤리 개정의 필요성과 개정방향 / 유상호

발행년 2015 

  • 조회 수 76

9 보건의료 보건의료관련 학과 간 환자안전 교육 / 하성민 외

발행년 2019 

  • 조회 수 75

5 과학 기술 사회 사물인터넷 시대의 개인정보 보호의 과제 - 일본의 2015년 9월 개정 개인정보보호법을 중심으로 / 손영화

발행년 2017 

  • 조회 수 75

12 낙태 소셜 빅데이터를 이용한 낙태의 경향성과 정책적 예방전략 / 박명배 외

발행년 2017 

  • 조회 수 75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과오소송에서 손해배상에 관한 연구 / 조민석

발행년 2016 

  • 조회 수 75

19 장기 조직 이식 이종장기 임상적용에 대한 불교적 관점 / 김민주 외

발행년 2017 

  • 조회 수 75

9 보건의료 보건의료와 출산 간의 연계성에 관한 거시-미시 접근 / 김동식 외

발행년 2016 

  • 조회 수 75

17 신경과학 신경윤리의 성찰과 전망 / 최경석

발행년 2011 

  • 조회 수 75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 결정 제도화’에 대한 그리스도교의 윤리 신학적 고찰 / 이병근

발행년 2017 

  • 조회 수 75

9 보건의료 의료인의 거짓 경력에 관한 의료광고에 대한 고찰 / 백경희

발행년 2016 

  • 조회 수 75

5 과학 기술 사회 독점금지법상 ‘지적재산권의 부당한 행사에 대한 가이드라인’의 개선방안 / 손진화

발행년 2009 

  • 조회 수 75

18 인체실험 Oversight of Human Participants Research: Identifying Problems To Evaluate Reform Proposals

발행년 2004 

  • 조회 수 75

9 보건의료 의료기관 종사자의 직무만족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직무스트레스 영향요인 / 김혜경, 김성수

발행년 2019 

  • 조회 수 74

14 재생산 기술 코호트 완결출산율 분석 결과와 시사점 / 신윤정

발행년 2019 

  • 조회 수 74

9 보건의료 바이오헬스 혁신시스템에서 규제의 역할과 새로운 방향성/ 이명화

발행년 2018 

  • 조회 수 74

15 유전학 유전자 차별금지 법제도 개선방안 : 비교법제도론적 고찰을 중심으로

발행년 2017 

  • 조회 수 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