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3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목포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법학과 민사법전공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9616353 

대리모계약에 관한 고찰 = (A) study on the surrogate motherhood


  • 저자 : 민경매
  • 형태사항 : 64 p. ; 26 cm.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목포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법학과 민사법전공 2003
  • KDC : 517.96 4
  • 발행국 : 전라남도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03
  • 주제어 : 대리모계약, 대리모, 법률




초록 (Abstract)

오늘날 기혼부부의 20% 정도가 불임부부라고 한다. 현대의 불임치료를 위한 인간생식기술은 인공수정·체외수정을 거쳐 대리모계약에 이르면서 그 마지막 단계에 이르렀다고 하겠다. 현재로서는 父에게 가장 유전적·혈통적으로 가까운 자를 출산하는 생식기술은 대리모계약이다. 우리나라에서도 대리모계약이 암암리에 행해지고 있을 것이란 추측은 과거 씨받이「씨내리」등의 풍습에 비추어 볼 때 그리 어려운 일은 아니다. 인공수정의 발달로 불임부부들은 생의 커다란 희망을 가지게 되었고, 인공수정으로도 불임문제를 해결할 수 없는 불임부부들은 입양의 방법을 택하여 불임문제를 해결하여 왔으나 입양 대상아의 수적 감소와 입양수요의 증가로 말미암아 이 또한 어렵게 되었다. 따라서 새로운 방법의 창출이 불가피하게 되었다. 이 새로운 방법이 대리모계약이다. 대리모계약은 부부 중 妻가 불임인 경우에 제3의 여인으로 하여금 夫의 子를 임신케 하여 인도해 줄 것을 내용으로 하는 계약이다. 의뢰자의 정자를 대리모에 인공수정하는 것이 보편적인 형태이나 영국의 대리모계약법은 반드시 인공수정에 의한 대리모출산에만 한정하지 않는다. 대리모계약에 대한 유효성, 무효성의 논쟁은 이미 구미 제국에서는 입법적으로 해결하고 있는 나라도 있다. 우리 현행법하에서 대리모계약은 무효인가 혹은 유효인가 이에 관하여 아직까지는 열띤 논쟁이 없었고 이에 관한 학설이나 대법원의 판례도 없지만 우리나라 학자들의 지배적인 견해는 대리모계약의 효력을 부인하고 있다. 또한 세계각국의 입법례를 통해볼 때 역시 대리모를 부인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입법적인 대책이 없는 실정이다. 그 어느 나라보다도 子에 대한 욕구가 강한 민족임을 생각할 때에 이는 상당히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그러나 대리모계약을 규제할 수 있는 법률이 존재하지 않는 등 기타 이유로 우리나라도 이 계약이 암암리에 이루어지고 있으며 앞으로 법적 논쟁이 심화되어질 가능성이 예견된다. 따라서 윤리적·도덕적 문제만 논하고 법적인 대응책을 마련하지 않는다는 것은 문제의 회피 내지는 유기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이에 대한 조속한 특별법제정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대리모계약과 관련된 특별법을 제정할 때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몇 가지를 제시한다면, 첫째 대리모계약은 부부의 불임을 극복하기 위한 최후수단으로만 이용되어야 한다. 둘째 유전적 대리모계약은 배제되어야 한다. 셋째 반대급부가 없어야 한다. 넷째 대리모계약은 이행에 앞서 가정법원에 의한 사전 검증작업 및 사전 허가가 요구된다. 다섯째 출산대리모의 경우 아이의 친자법적 지위를 정하는 기준이 마련되어 있어야 한다. 여섯째 대리모계약의 중개기관을 합법적으로 등록케 하고 관리하여 음성적으로 이루어지는 대리모출산을 사전에 억제하는 것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생모자관계를 대리모에게 인정해 주는 경우인데, 대리모와 의뢰인 부부 사이에 일정한 촌수의 친족관계를 넘는 경우에만 인정할 것인지에 대해서 정해야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대리모계약은 불임부부를 외면할 수 없는 불가피한 선택으로 이해한다면 미국과 같이 특별법을 만들어 엄격 제한적으로 인정해야 할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508 1 윤리학 사회 철학적 관점에서 본 순자 성악설 : 사회적 생명·윤리문제 측면에서 / 허영주 2016  1498
4507 18 인체실험 선진 외국의 동물대체시험법 개발현황과 전망 / 이진구 2016  1497
4506 5 과학 기술 사회 지능형 로봇의 범죄주체성과 형사책임 / 류화진 2016  1489
4505 1 윤리학 생명윤리에 대한 형법적 보호의 범위와 한계 / 이석배 2008  1472
4504 20 죽음과 죽어감 웰다잉 프로그램과 노인의 삶의질, 죽음불안과 자아통합감의 관계연구 / 정운경 2015  1471
4503 13 인구 저출산 문제점과 정책 실효성에 관한 연구 : 유형별 외국사례를 중심으로 / 정윤경 2007  1466
4502 5 과학 기술 사회 윤리적 인공지능은 가능한가? - 인공지능의 도덕적, 법적 책임 문제 / 이상형 2016  1447
4501 17 신경과학 뉴로마케팅(Neuromarketing)의 윤리적 문제 분석 / 추병완 2014  1443
4500 14 재생산 기술 동성결혼과 입양, 대리모 허용에 관한 헌법적 연구 / 박해영 2015  1438
4499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에 관한 윤리적 고찰 / 도봉희 2008  1429
4498 1 윤리학 한국과 일본 의료법 체계에 관한 연구 / 김계현 2002  1403
4497 1 윤리학 베트남 국제사법의 특징과 유의점 / 한종규 2016  1388
4496 20 죽음과 죽어감 웰다잉법의 시행을 둘러싼 제 문제 / 김민우 2019  1387
4495 1 윤리학 아리스토텔레스의 덕 이론 : 『니코마코스 윤리학』에 나타난 교육철학적 의의와 현대적 적용 / 윤대홍 2018  1385
4494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에 관한 법적 규율방안 / 임경숙 2019  1371
4493 9 보건의료 고위험신생아 치료중단에 대한 윤리적인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 전효숙 2002  1369
4492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수술 후 경과기간별 환자의 자가간호이행 / 배수정 2015  1364
4491 20 죽음과 죽어감 기독교 윤리학적 관점에서 본 안락사에 대한 문제 / 이영태 2003  1363
4490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 임종간호 스트레스 및 임종간호태도와의 관계 / 김경숙 2016  1360
4489 5 과학 기술 사회 로봇윤리의 기본 원칙: 로봇 존재론으로부터 / 고인석 2014  13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