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7
발행년 : 2010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동아대학교 대학원 : 윤리문화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1960867 

피험자 권리에 근거한 연구윤리


  • 기타서명 : Research ethics based on human subject rights

  • 저자 : 임선우
  • 형태사항 : ⅲ, 39장 ; 26 cm
  • 일반주기 : 참고문헌: p. 36-37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동아대학교 대학원 : 윤리문화학과 2010. 02
  • KDC : 195.2 5
  • 발행국 : 부산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10
  • 주제어 : 권리, 피험자, 인체실험, 자율성, 설명동의, 존엄성, 연구윤리




초록 (Abstract)

현대의학에서 생명의료과학기술이 급속히 발전해감에 따라 생명체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의 필요성도 커지고 있다. 여기서 무엇보다 존중되어야 하는 것은 피험자의 신체 자체, 그리고 자기 신체의 실험대상화에 대한 피험자의 의사이다. 그러나 과거 인간을 대상으로 한 잔혹한 실험들이 행해졌다는 것이 밝혀짐에 따라 피험자의 권리가 연구윤리에서 지켜져야 할 일차적 의무일 뿐만 아니라 피험자와 연구자 관계의 핵심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피험자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 무엇보다 필요한 것은 피험자의 자율성 존중이라 할 수 있다. 인간이 존엄하다는 것은 인간이 결코 다른 무엇을 위해 수단으로 이용되어서는 안 되는 목적적 존재라는 것을 의미한다. 피험자는 단순한 자발적 동의가 아니라 동의 능력을 지니고, 실험에 관한 충분한 정보를 알고 난 다음 자발적으로 동의를 행하여야 하며 연구자는 책임 있는 연구수행을 위하여 피험자의 권리 보호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연구자는 피험자가 자율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연구 과정에서 수반되는 위험과 이익에 관한 정보를 충분히 제공하고 피험자의 권리 보호를 위한 교육을 지속적으로 받음으로써 ‘인간을 위한’ 그렇기에 불가피한 ‘인간에 대한’ 실험의 신뢰도를 높여갈 수 있다는 것을 살펴보았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Ⅱ. 인체실험에서 권리의 중요성 4

    1. 인체실험의 역사 속에 나타난 권리의 중요성 4

    가. 나치의 인체실험 4

    나. 멩겔레의 쌍둥이실험 7

    다. 터스키기 매독실험 8

    라. 황우석 연구 9

    2. 인체실험 관련 제도에서 나타난 권리의 중요성 11

    가. 뉘른베르크 강령 11

    나. 헬싱키 선언 12

    다. 벨몬트 보고서 13

    Ⅲ. 인간의 존엄성과 권리 15

    1. 인간의 존엄성 15

    2. 자율성 16

    3. 인간의 권리 20

    가. 호펠드의 권리론 21

    나. 의사설(意思說) 23

    다. 이익설(利益說) 24

    Ⅳ. 설명동의(Informed consent) 26

    1. 설명동의의 의미 26

    2. 설명동의의 조건 31

    Ⅴ. 결 론 34

    참고문헌 36

    Abstract 3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847 18 인체실험 Costs and Benefits of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 Central Institutional Review Board 2010  98
    846 2 생명윤리 응급구조학과 대학생들의 생명의료윤리 의식에 대한 연구 / 최보람 2010  514
    845 14 재생산 기술 줄기세포(stem cell)연구에 대한 윤리신학적 고찰 / 김태정 2010  213
    » 18 인체실험 피험자 권리에 근거한 연구윤리 / 임선우 2010  462
    843 18 인체실험 줄기세포연구에 관한 법적 규제 / 전자영 2010  518
    842 20 죽음과 죽어감 일 종합전문요양기관 간호사의 심폐소생술 비시행(DNR)에 대한 윤리적 태도와 죽음에 대한 태도 / 한수옥 2010  776
    841 15 유전학 영양유전체학과 맞춤영양의 윤리적·법적 쟁점과 규제 프레임워크에 관한 연구 / 백수진 2010  793
    840 9 보건의료 DNR에 대한 응급의료종사자들의 인식과 윤리적 태도 / 박학영 2010  1060
    839 1 윤리학 개인의료정보보호에 관한 법제확립방안 / 정승일 2010  193
    838 2 생명윤리 생명권과 생명가치에 대한 연구 : 무의미한 연명치료중단을 중심으로 / 김휘원 2010  741
    837 15 유전학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전부개정(안)과 바이오뱅크를 이용한 연구에서의 피험자 보호방안 / 이정현 2010  283
    836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사결정의 속성-생전유언을 중심으로 / 김신미 2010  162
    835 2 생명윤리 관찰연구의 윤리 / 유상호 2010  86
    834 8 환자 의사 관계 독일의 환자사전의사표시법 / 이석배 2010  19874
    833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있어서 환자의 자기결정권과 사전의료지시서에 관한 연구 / 이석배, 이원상 2010  163
    832 15 유전학 [과학동아 다시 읽기] 유전자 조작 어떻게 바라볼까 / 김재현 2010  103
    831 19 장기 조직 이식 이종이식연구를 위한 단일법 제정에 대한 검토 / 양지예 2010  294
    830 15 유전학 유전자 조작 생물(GMO)에 대한 초,중,고 학생들의 인식 조사 / 이혜정, 이진경, 민윤숙, 최진영, 심규철 2010  2345
    829 20 죽음과 죽어감 미국헌법상 안락사와 존엄사에 관한 연구 / 김명식 2010  416
    828 20 죽음과 죽어감 독일의 안락사 논의와 입법 및 판례의 동향 / 홍석한 2010  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