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 도덕.윤리교육전공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1192860 

임신중절의 핵심쟁점과 윤리적 논쟁들에 관한 연구


  • 기타서명 : (A)Study on the core issues and ethical controversies of artificial abortion

  • 저자 : 문수례
  • 형태사항 : iv, 51장 ; 26 cm.
  • 일반주기 :

    참고문헌: p. 47-49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 도덕.윤리교육전공 2007
  • KDC : 510.19 4
  • 발행국 : 부산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07
  • 주제어 : 임신중절, 생명권, 자율권, 탐슨, 공리주의, 의무론, 덕 윤리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다른 생명의료윤리의 교두보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된 임신중절의 핵심쟁점과 그에 따른 윤리적 접근방법을 고찰하고 있다. 임신중절에 대한 가장 근본적인 문제는 임신중절의 정당화에 있다. 임신중절의 도덕적 정당화에 대한 논의에는 기본 쟁점이 되는 두 가지 문제가 있다. 첫째, 태아가 생명권을 지닌 인간인지 여부에 관한 문제이다. 태아가 생명권을 지닌 인간이라면 생명의 시작점은 어느 시점으로 보아야 하는지 따른 답변을 제시함에 있어 자유주의, 보수주의, 절충주의의 입장을 살펴보고자 한다. 둘째, 태아의 생명권과 임신부의 자율권의 상충에 관한 문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 문제에 있어 탐슨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그녀는 처음부터 태아에게 성인과 동등한 생명권을 인정함에도 불구하고 자유로운 임신중절의 결정이라는 결론에 이른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임신중절의 도덕성에 관한 논쟁점들을 검토하고, 공리주의, 의무론 그리고 덕 윤리에 근거하여 고찰하고자 하였다. 다시 말해, 임신중절의 문제를 다른 오늘날 규범 윤리학을 주도하고 있는 이론 즉, 권리나 지위에 바탕을 둔 접근 방식인 공리주의적 관점과 의무론적 관점 그리고 덕 윤리적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공리주의적 관점에서 특정한 임신중절 행위가 도덕적으로 허용될 수 있기 위해서는 그것이 욕구의 만족을 극대화 하는 결과를 가져와야 한다. 의무론적 분석은 태아의 발달에 있어 비교적 초기 단계에서부터 임신중절은 도덕적으로 거의 허용될 수 없는 것이라는 결론을 내리게 된다. 덕 윤리에 근거하여 임신중절의 도덕성을 논하고자 할 때 우리에게 필요한 물음은 이 문제를 유덕한 사람은 어떠한 실천적 추론, 행위와 가정, 사고와 반응을 통해 해결하는가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Ⅱ. 임신중절의 핵심쟁점 4

    1. 태아의 생명권 4

    2. 생명의 시작점 5

    1) 여러 학파의 입장 5

    2) 보수주의적 입장 9

    3) 자유주의적 입장 11

    4) 절충주의적 입장 12

    3. 임신부의 권리 13

    Ⅲ. 임신중절에 대한 공리주의적 접근 18

    1. 공리주의적 분석의 기초 18

    2. 공리주의에서 본 임신중절의 도덕성 23

    Ⅳ. 임신중절에 대한 의무론적 접근 27

    1. 의무론적 분석의 기초 27

    2. 의무론에서 본 임신중절의 도덕성 32

    Ⅴ. 임신중절에 대한 덕 윤리적 접근 36

    1. 덕 윤리적 분석의 기초 36

    2. 덕 윤리에서 본 임신중절의 도덕성 39

    Ⅵ. 결론 44

    참고문헌 47

    Abstract 5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4628 20 죽음과 죽어감 인간존엄의 비교법적 고찰과 그 시사점 / 강승식 2013  37
    4627 9 보건의료 인터넷 의료광고의 규제방향에 대한 법적 검토 / 이경권 2008  37
    4626 9 보건의료 의료데이터 공유 및 활용 서비스를 위한 보안/프라이버시 요구사항 2010  37
    4625 1 윤리학 성공적인 지능정보행정 도입을 위한 정부부문의 역할에 관한 연구 / 전대성 외 2017  37
    4624 9 보건의료 개정 의료분쟁조정법의 전망과 과제 / 이얼 외 2017  37
    4623 9 보건의료 보건의료산업관련 입법영향요인 분석: 질적비교연구방법론을 이용하여 / 한승헌 외 2018  37
    4622 15 유전학 인간 유전정보 보호와 시민참여 / 이영희 2003  38
    4621 15 유전학 23andMe: how to make (a lot of) money out of your customers / Jordan, Bertrand 2015  38
    4620 9 보건의료 장애관련 자료의 정보요구에 관한 연구 / 장우권 2016  38
    4619 15 유전학 인간 유전체 연구 관련 국제 특허성 연구(II) / 김한나 2016  38
    4618 8 환자 의사 관계 개정된 의료분쟁조정법 시행 관련 정책적 함의 및 향후과제 / 성용배 2017  38
    4617 9 보건의료 보건/의료산업 융합에 따른 의료정보화 시스템 연구 / 이동우 2014  38
    4616 9 보건의료 의료협동조합 의원을 이용하는 환자의 ‘일차의료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미지 2016  38
    4615 4 보건의료 철학 임상실습 경험에 따른 의학전문대학원생들의 ‘행복한 의사’ 개념 인식 비교 / 유효현 외 2017  38
    4614 22 동물복지 동물유전체 빅데이터 공개로 민관협업체계 조성 및 산업 활성화 / 임다정 2018  38
    4613 8 환자 의사 관계 한방의료분쟁의 합리적인 해결방안 연구 / 정미영 2008  38
    4612 18 인체실험 한의표준임상정보화의 과제와 전망 - 지정토론문 / 김태훈 2018  38
    4611 19 장기 조직 이식 Death Determination in Pediatric Organ Donation / Shemie, Sam D. 2016  39
    4610 9 보건의료 바이오 및 제약산업의 글로벌 지식네트워크 구축방안 / 김형주 2010  39
    4609 19 장기 조직 이식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와 건강인의 신체 활동 비교/한아름,박정윤 2014  39